$\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판 잎차 형태 녹차의 이화학 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oose-leaf Green Tea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4, 2015년, pp.419 - 424  

이란숙 (한국식품연구원) ,  김상희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  김영붕 (한국식품연구원) ,  김영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 보성, 하동산 차엽의 우전, 세작, 중작 및 대작 상품명을 쓰고 있는 시판 잎 녹차의 색은 녹차 등급이 높을수록 즉 채엽시기가 빠를수록 L값과 녹색도인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산 녹차가 보성 및 하동산 녹차에 비해 L값과 b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테킨 분석 결과 EGC 함량은 차엽 산지에 관계없이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카테킨, GCg, ECg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카테킨류 중 EGCg 함량이 95.39-116.25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보성산 녹차가 다른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모든 차엽에서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제주산 우전의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테아닌 함량은 각각 33.43, 17.84, 20.84 mg/g으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산화방지 활성은 측정방법에 상관없이 등급이 높은 우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 및 하동산 녹차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보성산 녹차는 채엽시기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녹차의 주요 산화방지 성분인 개별 카테킨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DPPH 활성은 EGCg, ECg 및 총카테킨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BTS 활성은 EGC 함량과는 음의 상관관계 그리고 카테킨, GCg 및 ECg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 variety of commonly consumed commercial green tea. Green tea samples with the same commercial name produced at different regions were analyzed. High-grade tea samples showed higher values of lightn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차 주생산지인 제주, 보성, 하동 지역의 우전, 세작, 중작 및 대작 상품명을 쓰고 있는 시판 잎 녹차를 대상으로 하여 색도, 카테킨, 카페인 및 테아닌 등 이화학적 특성과 산화방지 활성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를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이 있는가? 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가공한 것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물 다음으로 많이 음용되는 기호식품으로 다양한 생리 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차는 발효 정도, 제조공정 및 채엽시기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발효 정도에 따라서는 불발효차, 반발효차 및 발효차로 그리고 제조공정에 따라서는 덖음차와 증제차로 분류되고 있다.
phytochemical을 함유한 녹차의 상품 값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녹차는 폴리페놀, 카페인, 테아닌 등 다양한 phytochemical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성분은 품종, 가공방법 등 여러 가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4-6). 특히 채엽시기는 녹차의 상품 값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채엽시기에 따른 녹차의 이화학적 특성 등에 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많이 보고되어 있다(7-11). 그러나 이들 연구 대부분은 직접 채취해서 차로 제조 후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실제로 상품으로 유통되고 있는 잎 녹차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패턴인식법에 의한 시판 녹차의 산지 및 채엽시기 추정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12).
차란 무엇인가? 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가공한 것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물 다음으로 많이 음용되는 기호식품으로 다양한 생리 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차는 발효 정도, 제조공정 및 채엽시기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abrera C, Artacho R. Gime'nez R. Beneficial effects of green tea-A review. J. Am. Coll. Nutr. 25: 79-99 (2006) 

  2. Khan N, Mukhtar H. Tea polyphenols for health promotion. Life Sci. 81: 519-533 (2007) 

  3. Chung DH. Components and Efficacy of Tea. Hongikjae, Seoul, Korea. pp. 43-46 (2004) 

  4. Khokhar S, Magnusdottir SGM. Total phenol, catechin, and caffeine contents of teas commonly consumed in the United Kingdom. J. Agr. Food Chem. 50: 565-570 (2002) 

  5. Lin YS, Tsai YJ, Tsay JS, Lin JK. Factors affecting the levels of tea polyphenols and caffeine in tea leaves. J. Agr. Food Chem. 51: 1864-873 (2003) 

  6. Sabhapondit S, Karak T. Bhuyan LP. Goswami BC. Hazarika M. Diversity of catechin in northeast Indian tea cultivars. Sci. World J. 2012: 1-8 (2012). 

  7. Lee JY, Wang LF, Baik JH, Park SK.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of green tea during growing season at different culture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46-254 (2007) 

  8. Oh MJ, Hong BH. Variation in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resulted from developing stages and processing recipe. Korean J. Crop Sci. 40: 518-524 (1995) 

  9. Oh MJ, Hong BH. Variation of pectin, catechins and caffein contents in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by harvesting time and processing Recipe. Korean J. Crop Sci. 40: 775-781 (1995) 

  10. Wee JH, Moon JH, Park KH. Catech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tra leaves at different pluck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0-23 (1999) 

  11. Kim SH, Han DS, Park JD.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 (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42-546 (2004) 

  12. Zhu H, Kim JS, Park KL, Cho CW, Kim YS, Kim JW, Ryu SY, Kang JS. Estimation of harvest period and cultivated region of commercial green tea by pattern recognition. Yakhak Hoeji 53: 51-59 (2009) 

  13. Lee LS, Kim SH, Kim YB, Kim YC. Quantitative analysis of major constituents in green tea with different plucking perio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Molecules 19: 9173-9186 (2014) 

  14.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1995) 

  15.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Hawkins Byrne D.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 669-675 (2006) 

  16. Hirun S, Utama-ang N, Vuong QV, Scarlett CJ. Investigating the Commercial microwave vacuum drying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ai green tea. Dry. Technol. 32: 47-54 (2014) 

  17. Lee LS, Choi JH, Son N, Kim SH, Park JD, Jang DJ, Kim HJ. Metabolomic analysis of the effect of shade treatment on the nutritional and sensory qualities of green tea. J. Agr. Food Chem. 61: 332-338 (2013) 

  18. Park KR, Lee SG, Nam TG, Kim YJ, Kim YR, Kim DO. Comparative analysis of catechin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various grades of organic green teas grown in Boseong,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82-86 (2009) 

  19. Chen CN. Liang CM. Lai JR. Tsai YJ, Tsay JS, Lin JK. Capillary electrophoretic determination of theanine, caffeine, and catechins in fresh tea leaves and oolong tea and their effects on rat neurosphere adhesion and migration. J. Agr. Food Chem. 51: 7495-7503 (2003) 

  20. Lin YL. Juan IM. Chen YL Liang YC, Lin JK. Composition of polyphenols in fresh tea leaves and associations of their oxygen-radical-absorbing capacity with antiproliferative actions in fibroblast cells. J. Agr. Food Chem. 44: 1387-1394 (1996) 

  21. Huang D, Ou B, Prior RL.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 Food Chem. 53: 1841-185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