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 조사
Investigation of Scientific Terms in Physics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8, 2011년, pp.1175 - 1185  

윤은정 (경북대학교) ,  박윤배 (경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과학 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7학년 249개, 8학년 170개, 9학년 137개, 총 556개의 과학 전문 용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다루는 어휘수의 차이가 매우 심함을 알 수 있었고, 교육인적자원부의 편수자료와 물리학용어집, 표준국어대사전 간에 불일치가 상당히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수정, 보완 작업을 거쳐서 수준별로 평정된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이 완성되면 도서 및 사전 편찬, 각종 검사 제작, 교사 교육, 학습능력 향상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guage skills in science education seem to have a great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Most of the language skills affecting students' science learning can be accounted for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 term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selecting and grading the scientific terms for s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능력 가운데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과학 전문 용어에 대한 이해이다. 과학 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의 선정과 학년별 수준화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본 연구는 전문 용어 가운데 가장 기초적이고 정선된 용어인 교과서 수록 과학 전문 용어를 조사하였다.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총 27권의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를 조사한 결과 7학년 249개, 8학년 170개, 9학년 137개로 총 556개의 과학 전문 용어를 얻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필요성이나 활용도를 감안할 때 과학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은 충분히 만들어질 가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완성도 높은 용어 목록을 기대하기 보다는 완성된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뼈대를 만드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과학 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연구로써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 단원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7학년 249개, 8학년 170개, 9학년 137개, 총 556개의 과학 전문 용어를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학년별로 수준화된 과학 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조사로, 학생들이 배워야하는 과학 전문 용어들의 기본 집합인 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과학 용어를 조사하고자 한다. 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과학 용어의 양이 매우 많으므로 한꺼번에 처리하지 못하고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리 단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 이제는 한 분야 내에서만 소통이 되는 전문 용어가 아니라 국가적으로 통용되는 표준화된 전문 용어의 사용이 지향되고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표준화된 기준을 사용하여 과학 전문 용어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과학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를 선정하여 학년별로 수준화된 목록을 얻는 것이다. 국어교육용 수준별 어휘 선정이 이토록 오래 기간을 두고 어렵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을 볼 때, 과학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를 선정하고 이를 수준별로 나누는 것 역시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 동사형을 모두 명사형으로 고쳤으며 표기가 잘못된 어휘나 교과서에 다른 의미로 사용된 어휘 등을 삭제하였다. 완성된 용어 목록 가운데 물리 영역의 용어는 물리학용어집(한국물리학회, 2005)과 교과서 편수자료(교육인적자원부, 2007)에 수록된 용어와 비교하여 자료별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보았다. 교과서 편수자료는 현재 한국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에서도 열람이 가능하다.
  • 예를 들어 하나의 과학 용어에 대하여 이 용어가 몇 학년 정도 수준의 용어인지를 확인할 도구가 없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장기적인 목표는 학생들에게 교육할 과학 용어들을 선정하고 수준을 정하여 나누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어 어휘 연구의 한계는? 이 어휘 목록에 대하여 저자 스스로도 교육용 어휘 선정 및 평정 과정이 매우 어려운 일이며 결과물의 신뢰도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많음을 언급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필요성을 생각할 때 등급별 교육용 어휘는 반드시 만들어져야 하고 완성도 높은 어휘 목록을 얻기 위해서 는 비록 완전하지는 못하더라도 뼈대가 되는 목록을 만들고 다듬는 과정을 거칠 수 밖에 없다고 하였다(김광해, 2003). 국어 어휘 연구는 그 양이 매우 방대할 뿐더러 결과물의 신뢰도가 높아야 활용 가치가 높을 것이므로 개인이나 일반 단체의 연구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의 범위 및 결과물의 공신력을 위하여 2000년대 이후부터는 국가 주도로 어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저자가 완성도 높은 용어 목록을 기대하기 보다는 완성된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뼈대를 만드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하는 이유는? 언어의 특성상 어휘는 열린 집합이며 절대적인 어휘 목록이란 불가능하다(김광해, 2002).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필요성이나 활용도를 감안할 때 과학교육용 과학 전문 용어 목록은 충분히 만들어질 가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완성도 높은 용어 목록을 기대하기 보다는 완성된 목록을 만들기 위한 기초 뼈대를 만드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과학 교과서에 사용되는 과학 용어에 대한 내용을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에 어떻게 명시되어 있는가? 과학 교과서에 사용되는 과학 용어에 대한 내용을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교육과학기술부, 2008)에서 살펴보면, “교과서의 표현 및 표기는 어문 규정을 준수하고 지명∙인명∙용어 등은 편수자료 및 관련 자료에 의거하여 표기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편수자료(교육인적자원부, 2007)는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으로 상한선만 정해 놓은 용어 목록이며, 편수자료 내에서 용어들의 수준을 세부적으로 구별하고 있지는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과서 편수자료, 3: 기초과학편. 교육인적자원부. 

  2. 국립국어연구원(2000).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 국립국어연구원 

  3. 국립국어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상, 중, 하.두산동아. 

  4. 국립국어원(2007). 전문 용어 연구. 태학사. 

  5. 국립국어원(2008). 개정 표준국어대사전. http:// stdweb2.korean.go.kr/main.jsp. 

  6. 기유리(2009). 과학 뜻풀이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용어 개념에 대한 효과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광해(1990). 어휘 교육의 방법. 국어생활, 22, 108-125. 

  8. 김광해(2003). 등급별 국어 교육용 어휘. 박이정. 

  9. 김문오(2007). 남북 교과서 학술 용어 비교 연구. 국립국어원. 

  10. 김양진(1997). 중학교 과학 교과서"힘과 운동"단원의 용어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한샘(2008). 전문용어 정비의 현황과 과제. 한말연구, 23, 93-120. 

  12. 김한샘(2010). 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분석. 국어교육연구, 47, 63-90. 

  13. 김현주(1997). 학생과 교사의 지리용어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남경식(2008). 과학 용어로 인한 중학생의 어려움과 과학 용어 활용 글쓰기를 통한 해결 방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종원(2010). 과학문장 읽기를 통한 학생들의 과학적 이해 과정 분석 :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27-41. 

  16. 방상규(2005).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어휘 분석과 한자 용어 이해 증진에 관한 연구 : 9학년 '화학단원' 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손명희(2007). 6학년과 7학년 과학교과서 물리영역 어휘 등급의 연계성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신명선(2004). 어휘 교육의 목표로서의 어휘 능력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113, 263-296. 

  19. 윤은정(2004). 중학생용 과학적 문장이해력 검사도구 개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윤은정, 박윤배(2009).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및 실험 관찰 물리영역에 수록된 과학 전문 용어 조사. 초등과학교육, 28(3), 331-339. 

  21. 이상미(2007). 9학년 과학교과서의 물리영역 어휘 등급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상현(1999).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물리용어 조사. 과학과교육, 7, 159-176. 

  23. 이선영(2002). 어휘 지도가 내용 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수현(2005).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혜영(2008). 8학년 과학교과서의 물리 영역 어휘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임종효(2004). 초등학교 과학과 물리 영역의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최기선(2006). 전문 용어의 정비. 국립국어원. 

  28. 한국물리학회(2005). 물리용어조정안. http:// www.kps.or.kr. 

  29. 한재영(1994).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비전문 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Church and Mercer(1993).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using large corpora. Computational Linguistics, 19(1), 1-24. 

  31. Gardner, P.L. (1974). Language difficulties of science students. Th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20(1), 63-76. 

  32. Merzyn, G. (1987). The language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4), 483-489. 

  33. Wellington and Osborne(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임칠성 등 역(2010). 과학 교실에서 언어와 문식력. 교육과학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