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Investigation on the Difficulties During Middle School Students' Finding Inquiry Topics on Open-Inquiry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8, 2011년, pp.1199 - 1213  

정우경 (이리남성여자중학교) ,  이준기 (전북대학교) ,  오상욱 (전북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자유탐구의 주제 선정과정에서 중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11명이 참여하였고, 자유탐구 활동지와 심층면담의 분석을 통해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자유탐구를 경험하면서 주제선정단계에서 한번 이상의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어려움의 경중은 개인차가 있었지만 주제 선정과정의 체계화된 안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자유탐구활동의 주제선정단계 중 탐구대상선정의 어려움으로는 제한 없는 탐구대상 선정에 대한 부담감, 과학적 탐구대상의 이해 부족, 학생들의 과학적 탐구 호기심 부족이 나타났다. 탐구대상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서는 학생 선택이 필요하다. 대상선택의 기회제공 유무를 판단하여 자유탐구의 본 취지가 수용된 전략적 지도가 필요하다. 자유탐구활동의 주제선정단계에서는 과학적이지 못한 주제 선정, 단답형식의 해결 가능한 주제 선정, 탐구의 실현 가능성 여부, 주제에 관한 선언적 지식의 부족, 재미에만 집중된 주제를 선택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학생들은 자유탐구활동에 대한 경험 부족, 주제선정단계별 실패로 인한 흥미 저하, 자유탐구활동 자체에 대한 부담감을 이유로 자유탐구활동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탐구활동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주제선정단계에 대한 구조화된 안내가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in engaging in open-inquiry activities - especially finding inquiry topics for student themselves.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1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open-inquiry worksheets from 4 months of activitie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제선정의 성공과 실패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가? 주제선정의 성공과 실패는 학생이 탐구활동을 계속 진행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영향을 미친다. 학생 I는 주제선정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하면서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에 해당되었다.
자유탐구는 무엇인가? 자유탐구는 주제선정에서부터 계획수립, 탐구수행, 결과발표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수행하며, 비교적 긴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탐구로, 종합적인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이다(교육 과학기술부, 2008). 내용보다는 그 과정을 학생 스스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과정으로서의 과학탐구를 익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신현화, 김효남, 2010).
자유탐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자유탐구는 주제선정에서부터 계획수립, 탐구수행, 결과발표에 이르기까지 학생들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수행하며, 비교적 긴 기간 동안 이루어지는 탐구로, 종합적인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활동이다(교육 과학기술부, 2008). 내용보다는 그 과정을 학생 스스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과정으로서의 과학탐구를 익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신현화, 김효남, 2010). 이러한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많은 교사와 학생들은 자유탐구를 운영함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하고 있다(진순희, 장신호,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은형(2001). 중학생 자유주제 과학탐구의 문제해결 유형과 탐구수준 평가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중등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27(3), 260-268. 

  3. 교육과학기술부(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 2007-79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서 III.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4. 교육과학기술부(2009). 중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교육과정평가원. 

  5.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2003). 과학적 가설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6. 김재우, 오원근, 박승재(1998).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탐구보고서에서 나타난 변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279-301. 

  7. 나현영(2011). 효과적인 자유탐구를 위한 단계별 지도방안 탐색.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승재, 조희형(1995). 과학학습지도. 서울: 교육과학사. 

  9. 박정희, 김정률, 박예리(2004).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교사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31-738. 

  10. 박종선, 송영욱, 김범기(2011). 초등학생들이 선정한 자유탐구활동 주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43-152. 

  11.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0(20), 271-280. 

  12. 신미영, 최승언(2008). 8학년 학생들의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방법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29(4), 341-351. 

  13.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14. 양문천(2010). 중등 과학교과의 자유탐구 과정에대한 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봉우(2005). 외국 과학교육 과정의 탐구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73-884. 

  16. 이혜정, 정진수, 박국태, 권용주(2004).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18-1027. 

  17.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18. 전민지(2009). 효과적인 초등학교 과학 자유탐구 지도방안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전영석, 전민지(2009). 과학 자유 탐구를 지도할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20.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21. 진순희, 장신호(2007).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 사들의 지도 경험. 초등 과학교육, 26(2), 181-191. 

  22. 한재영, 이지영, 이혜인, 노태희(2006).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열린교육연구, 14(3), 103-117. 

  23. Abe-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4), 417-436. 

  24.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 12. 

  25. Christenbury, L & Kelly, P. (1983). Questioning: A path to critical thinking. Urbana, IL: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26.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hool Review, 79(2), 171- 212.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28. Schwab, J. J. (1960). Inquiry - The Science teacher and the educator. The Science Teacher, 68(2), 176-1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