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물리 교사들이 교과서 탐구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High-School Physics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Textbook Physics Inquir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8년, pp.519 - 526  

이세연 (단국대학교) ,  이봉우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물리 교사들이 물리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를 지도할 때의 어려움 정도와 어려움의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물리 교사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물리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에 대해 지도하는 데의 어려움 수준을 표시하고, 지도하기 어려운 탐구에 대해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 교사들의 교과서 탐구 지도의 어려움 수준은 평균 2.79로 보통 이하의 수준이었다.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탐구는 '마이스너 효과 실험'과 '$Cu_2O$판과 ZnO가루를 이용한 다이오드 특징 탐색'이었다. 둘째, 교사들의 물리 교과서 탐구 지도의 어려움 요인은 환경 영역, 교과서 영역, 학생 영역, 교사 영역의 순으로 많이 제시되었으며, 특히 환경 영역에서 '실험기구 준비의 어려움'과 '안전 문제'와 관련하여 탐구 지도가 어렵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교과서 영역에서는 '실험 자체의 문제점', 학생 영역에서는 '조작 능력 부족'과 관련한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의 탐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high-school physics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textbook physics inquiries. For this purpose, 63 high school physics teac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We asked teachers to evaluate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eaching textbook physics inq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탐구는 과학적 연구방법을 익히는 과정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물리교사들이 물리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를 지도하는데 어려워하는 정도는 어떠한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들이 교과서 물리 탐구를 지도하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에서는 물리Ⅰ, 물리Ⅱ 과목을 통해 물리학의 기본적인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게되어 중학교 ‘과학’보다는 수준 높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그러나 수레와 추가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추를 증가시킬 때 힘이 작용하는 물체의 질량도 증가하게 된다. 수레 위에 여러 개의 추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반대쪽으로 추를 하나씩 이동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면 조작변인인 작용하는 힘을 변화시키면서 통제변인인 질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해야 하는 이유를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하므로 본 탐구의 목표인 힘/질량과 가속도와의 관계의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다.
  • 가장 많은 의견이 제시된 탐구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의 자기장’으로 총 12명의 교사가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실험은 전류가 흐르는 직선 도선 주위에 나침반을 놓고 나침반의 바늘이 회전하는 정도를 관찰하는 것이다. 이때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거나, 도선과 나침반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자기장의 세기와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관찰하게 한다.
  • ‘힘과 가속도, 질량과 가속도의 관계’ 탐구에서 9명의 교사가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탐구는 수레에 용수철저울을 연결하여 당기면서 수레의 운동을 측정한 후, 작용하는 힘(용수철저울의 눈금)과 가속도,수레의 질량과 가속도의 관계를 알아보는 탐구이다. 이때 수레에 작용하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용수철저울의 눈금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당기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 교사들이 의견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은 과학 탐구 교육을 통해 어떤 것을 얻게 되는가? 지식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지식의 학습보다는 방법적 측면의 학습이 중요하며, 이에 과학적 탐구의 중요성이 더욱 더 커지고 있다. 학생들은 과학 탐구 교육을 통해 과학 지식을 습득할 수도 있으며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자연 세계를 연구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며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를 갖출 수 있다(Abd-El-Khalick et al., 1998).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탐구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탐구는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자유 탐구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중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제적인 과학교육 개혁(교육과정 개정 포함)에서도 과학적 방법인 탐구가 강조되고 있는데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에서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가? 최근 이루어진 국제적인 과학교육 개혁(교육과정 개정 포함)에서도 과학적 방법인 탐구가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과정(NGSS)에서는 ‘과학적 공학적 실행(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을 제시하여 과학적 과정(process) 또는 탐구(inquiry), 기능(skill) 등의 용어 대신 ‘실행(practice)’을 사용하면서 과학적 탐구에 참여하는 것이 기능뿐만 아니라 실행에 구체화된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NRC, 2011). 영국에서는 탐구를 독립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 내용(물리, 화학, 생물)과 함께 학습되는 것을 강조하면서, ‘과학적으로 수행하기(Working scientifically)’를 통해서 매 학년 교육과정에 탐구 관련 내용을 제시하였고, 학년군별 탐구기능(과정)을 질문하기, 계획하기, 자료수집하기, 수행하기, 기록하기, 결론/보고하기, 평가하기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Department of Education, 2015). 한편 캐나다 온타리오주 교육과정에서는 시작과 계획(initiating and planning), 수행과 기록(performing and recording), 분석과 해석(analysing and interpreting),의사소통(communicating) 등의 탐구 기능 4가지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서 연속성(Beginning → Exploring → Emerging → Competent →Proficient)을 제시하였다(Ministry of Education, 2007). 또한 호주에서는 과학 탐구 기능(Science inquiry skills)을 질문하고 예상하기, 계획하고 수행하기, 데이터와 정보를 처리하고 분석하기, 평가하기,의사소통하기 등의 5가지 세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ACARA,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Science Education, 82, 417-436. 

  2.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ACARA] (2014). The Australian Curriculum. 

  3. Bell, R., Blair, L., Crawford, B.,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The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487-509. 

  4. Byun, S. M. & Kim, H. J. (2011). Recognition of free inquiry activity and its effects on the science inqui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210-224. 

  5. Chinn, C., and B. Malhotr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6. Department of Education. (2015).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Science programmes of study. 

  7. Hodson, D. (1982). Is there a scientific method? Education in Chemistry, 19(4), 112-126. 

  8. Kim, H., Yoon, H., Lee, K., & Cho, H. (2010).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Free inquiry’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condary Educational Research, 58(3), 213-235. 

  9. Kim, T., Lee, J., Shin, K., Park, J., Kim, D., & Lee, 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s Inquiry Activities of Science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Singapor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7), 547-558. 

  10. Lee, S., and Lee, B., (2018).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tific character instruction. New Phys.: Sae Mulli, 68, 611-622. 

  11. Ministry of Education (2007).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8: Science and Technology. 

  12. Ministry of Education.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No. 2015-74.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1).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4. Park, H., Jeong, D., and Choi, W. (2011).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practice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Science Education, 31, 61-77. 

  15. Park, J., & Lee, K. (2011). Actual Conditions of Free Inquiry Implementation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3), 603-632. 

  16. Smolleck, L. D., Zembal-Saul, C., & Yoder, E. P. (200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in regard to th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 137-163. 

  17. Wellington, J. J. (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time for a reappraisal. In J. J. Wellington(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3-15). NY: Routledge. 

  18. Windschitl, M. (2004). Caught in the cycle of reproducing folk theories of "Inquiry": How preservice teachers continue the discourse and practices of an atheoretical scientific method.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481-512. 

  19. Zion, M, Slezak, M, Shapira, D, Link, E, Bashan, N, Brumer, M, Orian, T, Nussinowitz, R, Court, D, Agrest, B, Mendelovici, R, and Valanides, N. (2004). Dynamic, open inquiry in biology learning. Science Education, 88(5), pp 728-7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