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의 전시 패널 글에 반영된 과학의 인식론적 측면 탐색
Exploring Epistemological Features Presented in Texts of Exhibit Panels in the Science Museum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1, 2011년, pp.124 - 139  

이선경 (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 과학교육연구사업단)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이규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최취임 (서울대학교 BK21 미래사회 과학교육연구사업단) ,  백두성 (서대문자연사 박물관) ,  정광훈 (국립과천과학관) ,  유만선 (국립과천과학관) ,  김선자 (국립과천과학관) ,  손성근 (국립과천과학관) ,  최현숙 (국립과천과학관) ,  이강환 (국립과천과학관) ,  이정구 (국립과천과학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소재의 한 과학관 전시 설명에 반영된 과학의 인식론적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과학의 인식론적 이해는 오랜 시간 다양한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암묵적 차원이 크기 때문에, 학교 밖의 일상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다소 안정된 과학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학교 밖 과학교육 맥락의 하나인 과학관의 전시 설명으로 정하고, Ryder 등(1999)의 인식론적 범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근거와 지식주장의 관계', '과학적 탐구의 본질', '과학의 사회적 차원'의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에 대한 인식론적 특징을 세부적으로 탐색하고 해당 범주의 전시 설명 사례를 제시하였다. 전시 설명 사례는 주로 한 범주의 인식론적 특징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의 근거와 하나의 지식주장을 연결하거나, 개인적 흥미 혹은 과학 학문내적 탐구를 통해 지식을 생성하는 과정을 기술하거나, 과학 공동체 혹은 기관 차원의 과학 활동을 소개하는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과학관 전시물의 여러 매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범위의 인식론적 특징을 반영할 것이 제안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plore epistemological features presented in texts of exhibit panels in the science museum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Out-of-school or daily experiences allow more properly and potentially students to form informative science image, because the understandings of scientific epis...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김미경, 2008,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1 p. 

  2. 김미경, 김희백, 2007, 학생들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 분석을 통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의 인지적 추론 측면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 930-943. 

  3. 김미경, 김희백, 2008,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565-578. 

  4. 박병기, 채선영, 2006, 사적 인식론의 재개념화 및 그 타당성 검토. 교육심리연구, 20, 829-854. 

  5. 박은이, 홍훈기, 2010,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249-260. 

  6. 이선경, 유은정, 최종림, 김찬종, 한혜진, 신명경, 2010, 과학 및 과학 교수학습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론적 이해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218-233. 

  7. 최준환, 남정희, 고문숙, 고미례, 2009,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221-239. 

  8. Abd-El-Khalick, F., Bell, R.L., and Lederman, N.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 417-436. 

  9. Bell, R. and Lederman, N.G., 1996, Undergraduate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Is any progress being mad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St. Louis, MO. 

  10. Chinn, C.A. and Malhotra, B.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11. Havdala, R. and Ashkenazi, G., 2007, Coordination of theory and evidence: Effect of epistemological theories on students’ laboratory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1134-1159. 

  12. Hofer, B.K., 2000, Dimensionality and disciplinary differences in personal epistemology.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378-405. 

  13. Khishfe, R. and Abd-El-Khalick, F., 2002, The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551-578. 

  14. Knorr Cetina, K., 1990, Epistemic cultures: How the sciences make knowledge. Havard University Press, USA, 299 p. 

  15. Lidar, M., Lundqvist, E., and Ostman, L., 2006,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cience classroom: The interplay between teachers’ epistemological moves and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y. Science Education, 90, 148-163. 

  16. Lederman, N.G., Abd-El-Khalick, F., Bell, R.L., andSchwartz, R.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VNOS):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497-521. 

  17. Long, M. and Steinke, J., 1996, The Thrill of Everyday Science: Images of Science and Scientist on Children’s Educational Science Programmes in the United Stat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5, 101-119. 

  18. McComas, W.F., Clough, M.P., and Almazroa, H., 1998,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In McComas, W. (ed.),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Los Angeles, USA, 3-39. 

  19. McManus, P.M., 1989, Oh, Yes, They Do: How Museum Visitors Read Labels and Interact with Exihibi Texts. Curator: The Museum Journal, 32, 174-189. 

  2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72 p. 

  21. Park, J., 2008, Discussion for link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with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 749-758. 

  22. Ramey-Gassert, L., Walberg, H.J.,III., and Walberg, H.J., 1994, Re-examining connections: Museums as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Science Education, 78, 345-363. 

  23. Roth, W.-M., 1995, Authentic school science: Knowing and learning in open-inquiry science laboratories. Kluw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97 p. 

  24. Ryder, J. and Leach, J., 1999, University science students’ experiences of investigative project work and their images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945-956. 

  25. Ryder, J., Leach, J., and Driver, R., 1999, Undergraduate science students’ image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201-219. 

  26. Sandoval, W.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 634-656. 

  27. Schwartz, R.S., Lederman, N.G., and Crawford, B.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 610-645. 

  28. Steinke, J., 2004, Science in cyberspace: Science and engineering web sites for girl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13, 7-74. 

  29. Tsai, C.-C. and Liu, S.-Y., 2005,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towar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 1621-1638. 

  30. Van Eijck, M., Hsu, P.-L., and Roth, W.-M., 2009, Translations of scientific practice to “students’ images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93, 611-634. 

  31. Wellington, J., 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In Wellington, 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London, 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