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선행지식과 개발 절차가 교수학습 자료에 미치는 영향: 교정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Development Procedure to Teaching Materials Developed by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Focused on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Schoolyard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1, 2011년, pp.140 - 151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영재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개발한 교정 교수학습자료의 문제점과 개발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지구과학전공)에 재학 중인 54명(남자 18명, 여자 36명)으로부터 258개의 교정 교수학습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교정 교수학습자료는 개발하는 절차와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선행 지식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교정 탐색 우선형은 이미 형성된 선행 지식 범위 내에서 자료를 개발하기 때문에 이들이 개발한 자료는 교육과정의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비해 개념 탐색 우선형은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접근하지 못한 영역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올바른 선행 지식을 형성하지 못한 예비 지구 과학교사들은 잘못된 소재를 선택할 뿐 아니라 개념 연결에서도 오류를 범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지질현상에 대한 과학개념을 형성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생성과정을 무시하고 소재의 형태만을 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질조사 및 고체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충분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구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충실히 반영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의 지질학적 내용지식, 야외 교수학습 전략, 자료개발 절차 등이 하나의 통합적인 개념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roblems of schoolyard teaching material developed by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nd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material making. The 258 schoolyard teaching materials was collected from 54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male: 18, female: 36) major in E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정에서 관찰가능한 현상은 연구대상이 재학 중인 캠퍼스 내에서 찾도록 한정하였고, 학교 건물, 인공구조물, 자연석, 조경석, 암석원 등 교정에서 관찰 가능한 모든 것을 활용하되 반드시 사진을 촬영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실제 자연에서 관찰 가능한 현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연구자가 소장하고 있는 사진자료들을 제공하였다. 사진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활용하되 출처를 표시하도록 지도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에게 교정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도록 하고, 이를 일선 학교에서 실제 활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대안을 찾고자함이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개발한 교정 교수학습자료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 셋째, 54명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은 개별활동을 통해 1인당 3개 이상씩 총 258개를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또,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개발한 교수학습자료의 이해를 위해 자료 개발의 의도와 자료의 해설에 관해 발표하도록 하였다. 발표하는 과정에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질문을 통해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선행지식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에 재학 중인 54명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개발한 교정에서의 교수학습자료 분석을 통하여 교정 교수학습자료 개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대안을 찾고자함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76개의 개념을 활용하여 개발한 258개의 교정 교수학습자료가 수집되었다.
  • 이 연구는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개발한 교정 교수학습자료를 통해 개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그 문제점을 탐색한 것으로 지구과학교사들이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할 기초 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앞으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더 많은 교정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우리 주변과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는 소재로 구성된 지구과학 수업을 더욱 흥미롭게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외 학습을 위한 적절한 장소는 어떤 장소인가? 야외 학습을 위한 적절한 장소는 먼저 학습 주제나 목표와 부합되는 곳이어야 하며, 지리적으로 가깝고 안전한 곳이어야 한다(이선경 외, 2008). 그러나 실제 활용되는 야외활동 장소의 현황을 보면 도서 및 해안(50%), 삼림(17%), 계곡(17%), 학교 주변의 초지(17%) 순으로 학교 주변의 이용률이 매우 낮다(홍정수와 정남기, 1997).
야외지질학습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야외지질학습은 교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물질과 현상을 관찰하고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Orion, 1989). 또한 체험활동으로서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의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여 교육과정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교정 탐색 우선형과 다른 개념 탐색 우선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교정 탐색 우선형은 이미 형성된 선행 지식 범위 내에서 자료를 개발하기 때문에 이들이 개발한 자료는 교육과정의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비해 개념 탐색 우선형은 대부분의 예비 지구과학교사들이 접근하지 못한 영역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올바른 선행 지식을 형성하지 못한 예비 지구 과학교사들은 잘못된 소재를 선택할 뿐 아니라 개념 연결에서도 오류를 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지현, 2002, 야외 학습 모듈을 이용한 제주도 송악산 일대 야외학습장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2 p. 

  2. 권진홍, 김찬종, 2007, 야외지질학습장에 대한 초임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14-23. 

  3.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8,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9, 506-519. 

  4. 김찬종, 이조옥, 1996,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8-21. 

  5. 노병섭, 양우헌, 조규성, 2009,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지질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30, 869-882. 

  6. 맹승호, 위수민, 2005,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 9-29. 

  7. 박진홍, 2001, 야외 지질 학습장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암석과 지질구조 동정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7 p. 

  8.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 2000,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동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1, 13-21. 

  9. 전영호, 권홍진, 최변각, 박정웅, 김찬종, 2007,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84-696. 

  10. 정남식, 1994, 야외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개념 변화. 과학교육, 352, 52-58. 

  11.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49-658. 

  12. 홍정수, 장남기, 1997, 중등학교 과학과 야외활동의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85-92. 

  13. Barstow, D. and Yazijian, H., 2004, Placing urban schools as the forefront of the revolution in earth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5, 416-419. 

  14. Birnbaum, S., 2004,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an urban setting through field-based earth systems inquiry.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2, 407-410. 

  15. Endreny, A. and Siegel, D.I., 2009, Investigating earth science in urban schoolyard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8, 191-195. 

  16. Gilbert, J.K., Osborne, R.J., and Fensham, P.J., 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 623-633. 

  17. Harnik, P.G. and Ross, R.M., 2004, Models of inquirybased science outreach to urban school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2, 420-428. 

  18. Kean, W. and Enochs, L., 2001, Urban field geology for K-8 t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9, 358-363. 

  19.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20. McNamara, E.S., 1971, A Comparison of the learning behaviors of eighth and ninth grade ESCP earth science students; One help experiencing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the indoor environment, the other half experiencing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the outdoor environmen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362 p. 

  21. Novak, J.D. and Gowin, D.B., 1984,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USA, 199 p. 

  22.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23. Riban, D.M. and Kobal, D.B., 1971,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 field studies in science on the learning of the method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55, 291-294. 

  24. Wetzel, L., 2002, Building Stones as Resources for student research.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0, 404-4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