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 조경 수역 및 어장에 관한 오개념 분석
Analysis of Misconceptions on Oceanic Front and Fishing Ground in Secondary-School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5, 2020년, pp.504 - 519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재연 (청담중학교) ,  강창근 (광주과학기술원) ,  김창신 (국립수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의 서로 다른 물성이 만나는 해양 전선은 해수의 열교환 및 운동량 교환, 물성의 혼합과정과 같은 해양 역학적 과정과 해양-대기 상호작용으로 기상변화와 기후 변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양 전선이 중등학교 교과서에는 해류가 만난다는 의미를 가지는 '조경 수역'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해 어장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교육과 해양과학자들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이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어서 용어의 적절성이 조사되어야 하며 오개념을 제거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교육과정에 기반한 중등학교 교과서 11종(중학교 5종, 고등학교 6종)을 활용하여 이와 관련된 교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등학교 과학교사 30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이 문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 정도를 분석하였다. 조경 수역과 어장에 관한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상당히 많은 오류와 오개념이 발견되었다. 교과서에서 조경 수역이라는 개념이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의미로 주로 활용되고 있으나, 수온, 염분, 밀도, 유속 등 해양의 서로 다른 물성이 접하는 '해양 전선'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과서에서는 어장의 계절변동을 겨울에 남하하고 여름에 북상하고 북한한류의 계절변동과 연결하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북한한류의 여름철 강화에 관한 그동안의 과학적 사실에 위배되는 내용이다. 동해의 어장은 동해안 좁은 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훨씬 더 넓은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교사들의 설문 결과는 이러한 오개념이 지난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왔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조경 수역, 어장, 북한한류와 관련된 오개념을 수정하기 위한 과학적 지식의 중요성과 교육과정으로의 전달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향후 이 연구가 교과서 수정과 교사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ceanic fronts, which are areas where sea water with different properties meet in the oce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weather and climate change through air-sea interactions and marine dynamics such as heat and momentum exchange and processes by which properties of sea water are mix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에서 볼 수 있듯이 동해의 수온전선은 동해 전체 영역에 산재해 있으며 크기의 정도는 달라도 상당한 시간적 공간적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수온 전선의 개념으로 본 조경 수역은 동해안의 좁은 영역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이러한 수온전선의 시공간변동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에 의하면 조경의 정의는 무엇인가? go.kr)에 의하면 조경(潮境)이란 ‘성질이 다른 해류가 만나서 불연속선을 이루는 수렴선. 그 경계에는 소용돌이가 생겨 해류의 교환과 혼합이 심해서 영양 염류가 풍부하고, 부유 생물이 모임에 따라 고기 떼가 몰려 큰 어장이 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해양 전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수의 서로 다른 물성이 만나는 해양 전선은 해수의 열교환 및 운동량 교환, 물성의 혼합과정과 같은 해양 역학적 과정과 해양-대기 상호작용으로 기상변화와 기후 변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양 전선이 중등학교 교과서에는 해류가 만난다는 의미를 가지는 '조경 수역'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해 어장과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다.
동해는 대양과 어떤 비슷한 점을 가지고 있는가? 동해는 작은 대양으로 불린다. 대양과 같이 수심도 깊으며, 해빙, 난류, 한류, 전선 등 대양에 있는 현상과 매우 유사한 요소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Kim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 K.D., Kim, S.W., Kang G.H., Lee, C.I., Kim, D.S., Choi, Y.S., and Choi, K.H., 2004, Relationship between Fishing Condition of Common Squid and Oceanic Condition in the East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ty, 10(1), 61-67. 

  2. Choi, B.J., Haidvogel, D.B., and Cho, Y.K., 2009,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 East Sea from summertime hydrography and sea level data. Journal of Marine Systems, 78, 351-362. 

  3. Choi, K.H. and Kim, S.J., 1996, The development of evaluating framework for a science textbook in a second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6(3), 303-313. 

  4. Choi, S.I. and Cho, H.H., 1987, An analysis of misconceptions about the concepts of cell-division, reproduction and fertilization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7, 19-31. (in Korean) 

  5. Gong, Y. and Son, S.J., 1982, The study of the the study on the marine thermo-front in the East sea of Korea. Rep Nat Fish Res and Dep Inst 28, 24-25. 

  6. Jo, M.J., Kim, J.J., Yang, J.H., Kim, C.S., and Kang, S.K., 2019, Changes i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odarodes pacificus associated with long-term catch variations in jigging fishery,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2(6), 685-695. 

  7. Kim, H.R., Kim, S.H., Kim, M.S., Lee, Y.S., Hwang, S.Y., Lee, S.H., Noh, D.K., Lim, H., Bae, M.J., Lee, T.W., Kwon, O.S., Park, K.T., and Song, S.J., 2019, Middle school science 2. Doosan Dong-A, Seoul, Korea, 331 p. (in Korean) 

  8. Kim, J.S., Lee, H.K., Kwon, O.S., Chang, S.K., Kwon, H.J., and Park, H.K,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 YBM, Seoul, Korea, 240 p. (in Korean) 

  9. Kim, K., Kim, K.-R., Min, D.H., Volkov, Y., Yoon, J.-H., and Takematsu, M., 2001, Warming and structural changes in East (Japan) Sea: a clue to future changes in global ocea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8, 3293-3296. 

  10. Kim, S.J, Cho, Y.K., Choi, M.H., Kim, H.S., Chang, C.H., Kim, H.K., Kwon, H.S., Oh, H.S., Koo, H.M., Kang, H.J., Kim, D.J., Lee, J.W., Ryu, H.K., Moon, M.H., Lee, Y.J., and Yoo, M.I., 2019, Middle school science 2. Mirae-N, Seoul, Korea, 337 p. (in Korean) 

  11. Kim, Y.H., and Min, H.S., 2008.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in the East Sea reanalysis data. Ocean and Polar Research, 30(1), 21-31. 

  12. Kim, Y.S. and Nam, M.M., 2003, Fish fauna in the East Sea. In: Son YM (ed.), Current and preservation of Korean fishes. Sym Kor Ichthyol Soc, 5-36. 

  13. Kook, D.S., 2003, An Analysis of 10th grade science textbook as an origin of misconception on greenhouse effect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5), 592-598. (in Korean) 

  14. Kwon, S.M., Lee, H.N., Jin, M.S., Boo, Y.P., Kim, T.J., and Cho, Y.W.,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 Kumsung, Seoul, Korea, 248 p. (in Korean) 

  15. Lee, J.W., Ryu, H.K., Chu, B.S., Moon, M.H., Lee, I.S., Seo, K.W., and Cho, M.A.,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 Mirae-N, Seoul, Korea, 247 p. (in Korean) 

  16. Lee, K.Y., Kim, H.S., Park, J.Y., Lee, S.M., Jeong, J.H., and Choi, Y.O.,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 Visang Education, Seoul, Korea, 240 p. (in Korean) 

  17. Lee, Y.J., Park, S.I., Lee, J.K., Chang, H.Y., Kim, Y.K., and Chang, Y.S.,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 Kyohak, Seoul, Korea, 304 p. (in Korean) 

  18. Lim, T.H., Back, J.M., Nam, K.W., Kang, T.W., Kang, D.H., Lee, B.Y., Chang. H.S., Kim, M.K., Hwang, I.S., Lee, Y.C., Ko, H.D., and Shin, M.Y., 2019, Middle school science 2. Visang Education, Seoul, Korea, 342 p. (in Korean) 

  19. Martin, S. and Kawase M., 1998, The southern flux of sea ice in the Tatarskiy Strait, Japan Sea and the generation of the Liman Current. J. Mar. Res., 56, 141-155. 

  20. Noh, S.K., Lee, C.H., Kim, J.W., Park, Y.H., Kim, H.S., Lee, J.M., Bae, Y.J., Lee, B.R., Moon, T.J., Park, J.Y., Park, J.I., Kim, Y.K., and Lim, J.S., 2019, Middle school science 2. YBM, Seoul, Korea, 336 p. (in Korean) 

  21. Noh, T.H., Lee, B.W., Kim, S.K., Chang, J.W., Kim, S.J., Lim, H.Y., Yang, C.H., Park, J.K., Min, J.S., Bae, Y.H., Oh, P.S., Kim, Y.K., and Park, C.Y., 2019, Middle school science 2. Chunjae Education, Seoul, Korea, 340 p. (in Korean) 

  22. Oh, P.S., Cho, H.K., Oh, S.J., Lee, H.I., Moon, B.K., So, Y.W., Jeon, H.J., and Park, C.E., 2019, High school earth science I, Chunjae Education, Seoul, Korea, 222 p. (in Korean) 

  23. Park, J.-E., Park, K.-A., Kang, C.-K., and Park, Y.J., 2020, Short-term response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to change in sea surface wind field over mesoscale eddy. Estuaries and Coasts, 43(3), 646-660. 

  24. Park, K.-A., Chung, J., and Kim, K., 2004, Sea surface temperature fronts in the East (Japan) Sea and temporal variations, Geophys. Res. Lett., 31, L07304. 

  25. Park, K.-A., Ullman, D.S., Kim, K., Chung, J.Y., and Kim, K.R., 2007,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atellite-observed Subpolar Front in the East/Japan Sea. Deep-Sea research, 54, 453-470. 

  26. Park, K.-A., Park, J.-E., Seo, K.S., Choi, B.J., and Byun, D.S., 2011, Analysis of oceanic current maps of the East Sea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832-859. (in Korean) 

  27. Park, K.-A., Park, J.-E., Choi, B. J., Byun, D.S., and Lee, E.I, 2013, An oceanic current map of the East Sea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cquired from oceanic measur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8, 234-265 (in Korean) 

  28. Park, K.-A., Lee, J.Y., Park, J.J., Lee, E.I., Byun, D.S., Kang, B.S., and Jeong, K.Y., 2020, Analysis of Integrated Oceanic Current Maps in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Education Science Society, 41(3), 248-260. (in Korean) 

  29. Park, K.-A.,, Lee, J.-Y., Lee, E.-Y., Kim, Y.H., and Byun D.-S.. 2020, Analysis of Misconception on the North Korea Cold Current in Secondary-School Science and Earth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1(5), 490-503. (in Korean) 

  30. Senjyu, T., 1999, The Japan Sea Intermediate Water; Its characteristics and circulation. Journal of Oceanography, 55, 111-122. 

  31. Senjyu, T., Shin, H.R., Yoon, J.-H., Nagano, Z., An, H.-S., Byun S.-K., and Lee, C.-K., 2005, Deep flow field in the Japan/East Sea as deduced from direct current measurements. Deep-Sea Res., 52, 1726-1741. 

  32. Song, J.W., and Na, J.Y., 2015, Directions and Issues of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Implications to Science Classroom Culture. School Science Journal, 9, 7284. (in Korean) 

  33. Talley, L.D., Min, D.H., Lobanov, V.B., Luchin, V.A., Ponomarev, V.I., Salyuk, A.N., Shcherbina, A.Y., Tishchenko, P.Y., and Zhabin, I., 2006, Japan/East Sea water masses and their relation to the Sea's circulation. Oceanography, 19, 32-49. 

  34. Yashayaev, I.M., and Zveryaev, I.I., 2001, Climate of the seasonal cycle in the North Pacific and the North Atlantic ocea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1, 401-417. 

  35. Yoon, J. H. and Kawamura, H., 2002, The Formation and Circulation of the Intermediate Water in the Japan Sea. Journal of oceanography, 58, 197.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