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의 Tyrosinase, Hyaluronidase 저해효과 및 항산화 활성
Tyrosinase, Hyaluronid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2 no.1 = no.164, 2011년, pp.89 - 97  

차배천 (상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제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hyaluronid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activity by DPPH radical scavenging method on the MeOH extract of 50 species medicinal plant for screening of functional properties. As a result, Chaenomeles sinensis Koehne extra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계 존재하는 다양한 약용식물로부터 미백과 항염증 및 항산화에 관여하는 새로운 기능성 활성 물질 탐색 연구를 위해 50종의 약용식물 MeOH 추출물과 활성을 나타낸 약용식물의 용매별 분획물에 대하여 tyrosinase의 저해에 의한 미백 효과 실험3)과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상처 치유 및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고분자 다당류인 hyaluronic acid의 분해에 관여하여 류머티스 관절염 등의 염증을 일으키게 하는 효소인 hyaluronidase의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hyaluronidase 저해 실험5) 및 안정한 free radical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의 scavenging 효과에 의해 항산화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DPPH 항산화 실험6-8)을 실시하였고, 미백과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주성분을 단리 후 화학적 구조 및 활성을 규명하였으므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부분의 약용식물들에 대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연구가 수행되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항산화제는 BHA 및 BHT와 같은 합성항산화제와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이 상용되고 있고, 항염증제로서는 ibuprofen과 ketoprofen 등의 합성 약물들이, 그리고 미백제에 있어서도 비타민 C와 kojic acid와 같이 제한적인 물질들만이 상용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기 연구된 약용식물 외에 연구가 미진한 약용식물들에 있어서도 강력한 미백효과와 항염증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천연자원이 있으리라는 기대 속에 50 종 약용식물에 대하여 미백과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 피부 노화와 같은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미백과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천연 물질을 약용식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50종의 약용식물에 대하여 미백과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와 이들 활성 주성분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화학적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까닭은? 생체 내에서는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생화학적 산화 반응은 끊임없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항상 발생하는 흔히 유해산소라 불리는 활성산소는 성인병으로 잘 알려진 류머티스성 관절염, 심장병, 파킨스씨병, 순환기장애, 암 뿐만 아니라 피부 면역 기능을 억제시켜 피부 염증을 유발시키고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1,2) 따라서 활성산소를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의 개발과 hydroxylation 또는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L-tyrosine을 분해하여 L-DOPA를 거쳐 melanin 색소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저해에 의해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 tyrosinase 저해제3)의 개발은 성인병 예방 및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활성산소는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생체 내에서는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생화학적 산화 반응은 끊임없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항상 발생하는 흔히 유해산소라 불리는 활성산소는 성인병으로 잘 알려진 류머티스성 관절염, 심장병, 파킨스씨병, 순환기장애, 암 뿐만 아니라 피부 면역 기능을 억제시켜 피부 염증을 유발시키고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1,2) 따라서 활성산소를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의 개발과 hydroxylation 또는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L-tyrosine을 분해하여 L-DOPA를 거쳐 melanin 색소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저해에 의해 미백 효과를 발휘하는 tyrosinase 저해제3)의 개발은 성인병 예방 및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다.
약용식물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의 예를 들면 무엇이 있는가? 약용식물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는 기존에 많은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져 왔다. 예를 들면 최근의 Park 등12)의 참죽나무 추출물을 필두로 Jeong 등13)의 감잎 추출물, Koo 등14)의 수종 생약 추출물, Miliauskas 등15)의 생약 및 방향성 식물 등의 약용식물에 대한 항산화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는 Han 등16)의 산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Jeong 등17)의 조구등의 hyaluronidase 저해물질과 Kim 등18)의 약용식물들의 hyaluronidase 저해효과에 대한 연구 보문과 함께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물질들이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와 연계하여 항산화 효과와 함께 hyaluronidase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진 물질들을 천연자원으로부터 검토한 연구 결과도 다수 보고되어져 있다.19-21) 또한 항산화 활성과 연계되어 있는 tyrosinase 저해 활성에 의한 미백 효과 탐색에 있어서도 최근의 복분자 추출물의 미백 효과 연구22)등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으며,23-25) 그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우수한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이는 비타민 C, kojic acid, arbutin, hydroquinone 등의 천연 및 합성 미백제가 개발 연구되어 미백 화장품에 응용되고 있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asaki, H. (2010) Role of antioxidants in the skin: Antiaging effects. J. Dermatol. Sci. 58: 85-90. 

  2. Halliwell, B. (1991) Drug antioxidant effects. Drugs 42: 569-605. 

  3. Korner, A. and Pawelek, J. (1982) Mammalian tyrosinase catalases three reactions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Science 217: 1163-1165. 

  4. Meyer, K. (1947)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hyaluronic acid and hyaluronidase. Physiol. Rev. 27: 335-359. 

  5. Ghosh, P. (1994) The role of hyaluronic acid(hyaluronan) in health and disease: interactions with cells, cartilage and components of synovial fluids. Clin. Exp. Rheumatol. 12: 75-82. 

  6. Yang, S. W., Park, S. R., Ahn, D. R., Yang, J. H., Cho, C. H., Hwang, Y. H., Park, J. H. and Kim, D. K. (2010)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aerial parts of Desmodium oldhami. Kor. J. Pharmacogn. 41: 180-184. 

  7. Choi, S. S., Yim, D. S. and Lee, S. Y. (2009)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damage to DNA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with known osteoprotective effects. Kor. J. Pharmacogn. 40: 143-149. 

  8. Uchiyama, M., Suzuki, Y. and Fukuzawa, K. (1968) Biochemical studies of physiological function of tocopheronolactone. 1. Yakugaku Zasshi 88: 678-683. 

  9. Hearing, J. R. and Hearing, V. J.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Tyrosinase) :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 catalyzed. Method on Enzymology 142: 154-165. 

  10. Lee, N. H., Lee, S. J., Jung, D. S., Bu, H. J., Yang, H. C. and Riu, K. Z. (2001)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ion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plants in Cheju. Kor. J. Pharmacogn. 32: 175-180. 

  11. Yoshikawa, M., Harada, E., Miki, A., Tsukamoto, K., Liang, S. Q., Yamahara, J. and Murakami, N. (1994)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the fruit hulls of Mangosteen(Garcinia mangostana L.) originating in Vetnam. Yakugaku Zasshi 114: 129-133. 

  12. Park, S. R., Yang, S. W., Ahn, D. R., Yang, J. H., Cho, C. H., Kim, H. Y., Lee, J. H., Park, J. S. and Kim, D. K. (2010) Antioxidant Constituents of the heartwood of Cedrela sinsesis A. Juss. Kor. J. Pharmacogn. 41: 245-249. 

  13. Jeong, S. I., Cho, J. K., Mok, J. Y., Kim, S. J., Park, J. M., Jeon, I. H., Kim, H. S. and Jang, S. I.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Kor. J. Pharmacogn. 41: 255-263. 

  14. Koo, U., Lee, H. J., Lee, D. H., Lee, H. J., Ham, A. R., Cho, E. Y. and Mar, W. C. (2008) Anti-oxidative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nitric 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on neuronal cell. Kor. J. Pharmacogn. 39: 290-294. 

  15. Miliauskas, G., Venskutonis, P. R. and Van-Beek, T. A. (2004)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extracts. Food Chem. 85: 231-237. 

  16. Han, W. and Wang, M. H. (2010) Radical scavenging and anti- inflammation activities from different extracts of Zanthoxylum schnifolium fruits. Kor. J. Pharmacogn. 41: 250-254. 

  17. Jeong, S. J., Ko, Y. S., Ahn, N. H. and Kim, Y. C. (1998) Hyaluronidase inhibitor from Uncariae ramulus et Uncus. Kor. J. Pharmacogn. 29: 169-172. 

  18. Kim, Y. S., Noh, Y. K., Lee, G. I., Kim, Y. K., Lee, K. S. and Min, K. R. (1995) Inhibitory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hyaluronidase activity. Kor. J. Pharmacogn. 26: 265-272. 

  19. Cha, B. C. and Lee, E. H. (2004)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289-294. 

  20. Marquina, M. A., Corao, G. M., Araujo, L., Buitrago, D. and Sosa, M. (2002)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the polyphenols in the fruit of blackberry (Rubus fruticosus B.). Fitoterapia 73: 727-729. 

  21. Hanninen, O., Kaartinen, K., Rauma, A. L., Nenonen, M., Torronen, R., Hakkinen, S., Adlercreutz, H. and Laakso, J. (2000) Antioxidants in vegan diet and rheumatic disorders. Toxicology 155: 45-53. 

  22. Jeong, H. S., Han, J. G., Ha, J. H., Kim, Y., Oh, S. H., Kim, S. S., Jeong, M. H., Choi, G. P, Park, U. Y. and Lee, H. Y. (2009) Antioxidant activities and skin-whitening effect of nano-encapsuled water extract from Rubus coreanus Mique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83-89. 

  23. Chan, E. W. C., Lim, Y. Y., Wong, L. F., Lianto, F. S., Wong, S. K., Lim, K. K., Joe, C. E. and Lim, T. Y. (2008)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ion properties of leaves and rhizomes of ginger species. Food Chem. 109: 477-483. 

  24. Karioti, A., Protopappa, A., Megoulas, N. and Skaltsa, H. (2007) Identification of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rubium velutium and Marrubium cylleneum. Bioorg. Med. Chem. 15: 2708-2714. 

  25. Likhitwitayawuid, K., Sornsute, A., Sritularak, B. and Ploypradith, P. (2006) Chemical transformations of oxyresveratrol (trans-2,4,3',5'-tetra hydroxystilbene) into a potent tyrosinase inhibitor and strong cytotoxic agent. Bioorg. Med. Chem. Lett. 16: 5650-5653. 

  26. Maeda, K. and Fukuda, M. (1991)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met. Chem. 42: 361-368. 

  27. Lee, C. B. (1982) Forest Economics-mokchogangmok. Korean plant map. 29, Hyangmunsa, Seoul, Korea. 

  28. Lee, D. H., Kim, J. H., Kim, N. M., Choi, J. S. and Lee, J. S. (2002)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hinese quince wine and liquors. Kor. J. Biotechnol. Bioeng. 17: 266-270. 

  29. Lee, Y. M., Shin, H. D., Lee, J. J. and Lee, M. Y. (2007) Antioxidative effect of Chaenomelis Fructus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4: 177-182. 

  30. Baek, M. Y., Cho, J. G., Lee, D. Y., Ahn, E. M., Jeong, T. S. and Baek, N. I. (2010) Isolation of triterpenoids from the stem bark of Albizia julibrissin and their inhibition activity on ACAT-1 and ACAT-2.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310-315. 

  31. Kim, J. S., Kim, Y. J., Lee, S. Y. and Kang, S. S. (2008) Phytochemical studies on Paeoniae radix (3)-Triterpenoids. Kor. J. Pharmacogn. 39: 37-42. 

  32. Park, J. C., Lee, J. I. and Ahn, S. D. (1989) Study on the constituents in the fruit of Chaenomeles sinensis Koehne. Kor. J. Pharmacogn. 20: 10-12. 

  33. Bae, J. H., Lee, W. W., Suh, K. S. and Kim, S. T. (2000) The effect of oleanolic acid and ursodeoxycholic acid on the pigmentation in the mouse by ultraviolet-B(UVB) irradiation. Korean J. Innvestigative dermatology 7: 223-229. 

  34. Liu, J. (1995) Pharmacology of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J. Ethnopharmacol. 49: 57-68. 

  35. Natsume, M., Osakabe, N., Oyama, M., Sasaki, M., Baba, S., Nakamura, Y., Osawa, T. and Terao, J. (2003) Structure of (-)-epicatechin glucuronide identified from plasma and urine after oral ingestion of (-)-epicatechin :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rat. Free Radical Biol. Med. 34: 840-849. 

  36. Berregi, I., Santos, J. I., Campo, G. and Miranda, J. I. (2003)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picatechin in cider apple juices by $^1H$ NMR. Talanta, 61: 139-145. 

  37. Cren-Olive, C., Wieruszeski, J. M., Maes, E. and Rolando, C. (2002) Catechin and epicatechin deprotonation followed by $^{13}C$ NMR. Tetrahedron Lett. 43: 4545-4549. 

  38. Cha, B. C., Lee, E. H. and Noh, M. A.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Spatholobus suberectus Dunn. Kor. J. Pharmacogn. 36: 50-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