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집중치료실 캥거루케어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
Perception of Nurses and Physicia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n Kangaroo Car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4, 2011년, pp.230 - 237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of kangaroo care in nurses and doctors work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 in Korea. Methods: One hundred forty-nine nurses and nineteen doctors working in the NICU from six university hospital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세계적인 추이는 국내의 상황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국내에서 캥거루케어가 얼마나 시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도 찾기 어려우며 캥거루케어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에 대한 연구도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일부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캥거루케어 여부를 확인하고 의료진이 캥거루케어의 장단점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캥거루케어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하는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를 먼저 파악함으로써 향후 캥거루케어의 국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캥거루케어 여부를 조사하고, 캥거루케어의 인식과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캥거루케어의 국내 임상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의료진의 캥거루케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병원의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캥거루케어 시행 여부를 파악하고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신생아를 간호하거나 진료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와 의사들의 캥거루케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장애요인, 실행여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캥거루케어의 국내 임상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체중 출생아의 인큐베이터 안에서의 치료의 한계점은? 이들 중 체중이 1,500 g 미만인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이 1961년 31%, 1976년 42%, 1986년 51%, 1996년 75%, 2003년 88%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Ahn, 2007)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그만큼 발달상의 후유증을 남기기도 쉽기 때문에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부터 발달을 위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시점에 있다. 인큐베이터 안에서의 치료는 저체중 출생아의 성장 환경에 가장 필요한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체온, 병원 내 감염, 부모와의 분리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저체중 출생아와 미숙아들에게 의료적인 치료만을 강조하기보다는 보다 더 긍정적인 결과를 위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캥거루케어란?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여러 가지 발달 중재 중에서도 캥거루케어(Kangaroo Care)는 저체중 출생아의 체온 유지, 모유수유 증진, 감염예방, 감각자극의 제공, 안정과 사랑의 제공의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돌봄으로 제시되고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캥거루케어란 기저귀만 찬 아기를 어머니가 피부를 직접 맞대고 안는 피부 접촉방법으로서 1983년 남미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에서 처음 저체중아와 어머니에게 시행하면서 캥거루케어라고 명명하였다(Whitelaw & Sleath, 1985). 처음에는 의료장비가 부족한 나라에서 인큐베이터를 대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단순히 인큐베이터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라기보다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여러 선진 외국의 경우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간호 중재로서 집중 치료와 함께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25년간 캥거루케어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를 검토한 결과 충분한 증거가 제시되었다(Charpak et al.
캥거루케어의 효과는? 어느 정도의 체중에 도달하고, 활력징후가 안정이 된 저체중 출생아들은 캥거루케어를 통해 조기 퇴원할 수 있었고, 감염질환으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Hall & Kirsten, 2008) 최근의 메타분석을 통해서도 캥거루케어를 받은 미숙아 집단은 일반 미숙아 집단에 비해 신생아 사망률 발생과, 심각한 질환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아져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onde­Agudelo, Belizan, & Diaz­Rosello, 2011; Lawn, Mwansa­Kambafwile, Horta, Barros, & Cousens, 2010). 또한 모아애착 증진 및 저체중 출생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감소와 모성자존감을 증진시키는데도 효과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Feldman, Eidelman, Sirota, & Weller, 2002; Neu & Robinson, 2010; Swinth, Anderson, & Hadeed, 2003), 아버지가 제공하는 캥거루케어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Magill­Evans, Harrison, Rempel, & Slater,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H. S. (2007). Pediatrics of Hong Chang Ei (9th ed.). Seoul: Daehan Kyokwaseo. 

  2. Byaruhanga, R. N., Bergstrom, A., Tibemanya, J. Nakitto, C., & Okong, P. (2008). Perceptions among post-delivery mothers of skin-to-skin contact and newborn baby care in a periurban hospital in Uganda. Midwifery, 24, 183-189. 

  3. Cattaneo, A., Davanzo, R., Uxa, F., & Tamburlini, G. (1998). Recommend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kangaroo mother care for low birthweight infants. International network on kangaroo mother care. Acta Paediatrica, 87, 440-445. 

  4. Charpak, N., Ruiz, J. G., Zupan, J., Cattaneo, A., Figueroa, Z., Tessier, R., et al. (2005). Kangaroo mother care: 25 years after. Acta Paediatrica, 94, 514-522. 

  5. Chia, P., Sellick, K., & Gan, S. (2006). The attitudes and practices of neonatal nurses in the use of kangaroo care.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3(4), 20-26. 

  6. Conde-Agudelo, A., Belizan, J. M., & Diaz-Rosello, J. (2011). Kangaroo mother care to reduce morbidity and mortality in low birthweight infan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6(3), CD002771. 

  7. de Holland Parisi, T. C., Coelho, E. R., & Melleiro, M. M. (2008). Implantation of the Kangaroo mother method in the perception of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Acta Paul Enferm, 21, 575-580. 

  8. Engler, A. J., Cusson, R. M., Bahnsen, M., Coates, P., McHargue, L., & Settle, M. (2002). Kangaroo care: National survey of practice, knowledge, barriers, and percep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7, 146-153. 

  9. Feldman, R., Eidelman, A. I., Sirota, L., & Weller, A. (2002). Comparison of skin-to-skin (kangaroo) and traditional care: Parenting outcomes and preterm infant development. Pediatrics, 110, 16-26. 

  10. Hall, D., & Kirsten, G. (2008). Kangaroo mother care-a review. Transfusion Medicine, 18, 77-82. 

  11. Jang, M. Y. (2009). Effects of kangaroo care on growth in premature infants and on maternal attach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335-342. 

  12. Johnson, A. N. (2007). Factors influencing implementation of kangaroo holding in a special care nursery.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2, 25-29. 

  13. Koo, H. Y. (2000). The effects of kangaroo care on body weight, physiologic response and behavioral states in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71-182. 

  1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09). http;//www.kosis.kr 

  15. Lawn, J. E., Mwansa-Kambafwile, J., Horta, B. L., Barros, F. C., & Cousens, S. (2010). 'Kangaroo mother care' to prevent neonatal deaths due to preterm birth co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9, i144-i154. 

  16. Lee, S. B., & Shin, H. S. (2007). Effects of kangaroo care on anxiety,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nfant attachment of mothers who delivered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949-956. 

  17. Lima, G., Quintero-Romero, S., & Cattaneo, A. (2000). Feasibility, acceptability and cost of kangaroo mother care in Recife, Brazil. Annals of Tropical Paediatrics, 20, 22-26. 

  18. Ludington-Hoe, S. M., Ferreira, C., Swinth, J., & Ceccardi, J. J. (2003). Safe criteria and procedure for kangaroo care with intubated preterm infan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2, 579-588. 

  19. Magill-Evans, J., Harrison, M. J., Rempel, G., & Slater, L. (2006). Interventions with fathers of young childre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 248-264. 

  20. Malleta, I., Bomya, H., Govaerta, N., Goudalb, I., Brasmea, C., Duboisb, A., et al. (2007). Skin to skin contact in neonatal care: Knowledge and expectations of health professionals in 2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rchives de Pediatrie, 14, 881-886. 

  21. Neu, M., & Robinson, J. (2010). Maternal holding of preterm infants during the early weeks after birth and dyad interaction at six month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9, 401-414. 

  22. Renfrew, M. J., Craig, D., Dyson, L., McCormick, F., Rice, S., King, S. E., et al. (2009). Breastfeeding promotion for infants in neonatal units: A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analysi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3(40), 1-146. 

  23. Swinth, J. Y., Anderson, G. C., & Hadeed, A. J. (2003). Kangaroo (skin-to-skin) care with a preterm infant before during and after mechanical ventilation. Neonatal Network, 22, 33-38. 

  24. Whitelaw, A., & Sleath, K. (1985). Myth of the marsupial mother: Home care of very low birth weight babies in Bogota, Columbia. Lancet, 25, 1206-1209.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Kangaroo mother care: A practical guide. Geneva: WHO publ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