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이탈 아동의 신체 및 심리적 건강상태 평가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4, 2011년, pp.256 - 263  

이인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윤수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박현정 (존스홉킨스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 children and identify associated facto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3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7 to 14 years old. Physical health status was evaluated through height and we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북한 이탈 학령기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평가하고 이들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들이 남한에서 최적의 건강상태로 적응하고 질적인 삶을 영위하게 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09년 8월 13일부터 2010년 5월 4일까지 정부의 북한이탈 주민 정착지원 사무소인 하나원에 입소한 북한이탈주민 중 만 7세에서 14세까지 학령기 아동 1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북한 이탈 학령기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평가하며 각 변인들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혈액검사, 요검사, 흉부방사선 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혈액검사로는 hemoglobin, hematocrit, total cholesterol, fasting blood sugar (FBS), 간염항원항체 검사,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ies (VDRL),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의 항목을 확인하였고, 요검사로 uroglucose, uroprotein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식량난에 의한 영양부족 및 이탈자로서 겪는 심리적 어려움으로 성장 발달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는 북한 이탈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평가하며 이들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북한이탈 아동이 남한에서 최적의 건강상태로 적응하며 일 국민으로서 미래의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도록 그들의 질적 삶을 영위하게 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한다.
  • 특히 북한이탈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를 평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식량난에 의한 영양부족 및 이탈자로서 겪는 심리적 어려움으로 성장 발달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는 북한 이탈 아동을 대상으로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평가하며 이들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북한이탈 아동이 남한에서 최적의 건강상태로 적응하며 일 국민으로서 미래의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도록 그들의 질적 삶을 영위하게 하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 이탈의 원인 중 하나는 무엇인가? 북한 이탈의 원인이었던 기아 문제를 고려할 때, 만성적 기아상태와 아동의 인지기능, 정서 및 행동 발달의 저하(Shin, 2000)와 같은 광범위한 건강문제들을 북한 이탈아동에게서 추측해볼 수 있겠다. 성장 발육기에 심각한 영양 결핍을 경험한 어린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에는 면역력 저하, 체력 저하, 인지적 정서적 발달 장애와 같은 광범위한 기능적 장애를 보일 가능성이 크며 결과적으로 장기적인 사회적 악영향이 초래될 것으로 예측된다.
북한 이탈 아동의 확인된 문제들을 해결하고 이들이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이루어내어 한국사회에서 건강하고 질적인 삶을 이루어 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제언은 무엇인가? 첫째, 하나원 퇴소 이후의 정착기 삶에서 북한 이탈 학령기 아동의 성장발달에 대한 지속적 평가가 필요하다. 둘째, 행동문제는 아동의 평가와 동시에 부모나 양육자, 교사 등의 평가를 조사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대상자들의 행동문제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행동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주요 변수간의 관계에 대해 깊이 논의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으므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북한 어린이의 신체적 특징은 무엇인가? net). 한편, 최근 질병 관리 본부의 조사 자료에서는 14세 미만의 북한 청소년의 신장과 체중이 남한 청소년의 비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국체류 북한 어린이의 성장발육상태 연구에서 북한 어린이와 청소년은 국제적 준거에 비추어 키에서의 성장부진이 심각하고 특히 사춘기를 전후하여 남북한의 차이가 심화된다고 하였다(Kim,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Zhou, L., He, G., Zhang, J., Xie, R., Walker, M., & Wen, S. W. (2011). Risk factors of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in an urban area in China.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Mar 2, 123-130. 

  2. Agustini E. N., Asniar I., & Matsuo H. (2011). The prevalence of long-term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adolescents after the tsunami in Aceh. Journal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Aug: 18, 543-549. 

  3. Ahn, H. N. (2005).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trauma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 217-231. 

  4. Baik, J. W. (2009).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of depressed and non-depressed mothers: Comparisons between mother's perception and child's percep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DPRK.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Survey Report. 

  6. Chung, M. J., & Kim M. J. (2004).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ir perceptions of parental childrearing practice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5), 11-27. 

  7. Frederick, C. J. (Eds.) (1985). Selected foci in the spectrum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In S. Murphy & J. Laube, Perspectives on disaster recovery. New York: Appleton Century-Crofts. 

  8. Goenjian A. K., Walling D., Steinberg A. M., Roussos A., Goenjian H. A., & Pynoos R. S. (2009). Depression and PTSD symptoms among bereaved adolescents 6(1/2) years after the 1988 Spitak earthquak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Jan ; 112(1-3), 81-84. 

  9. Judit K. A., & Ali M.(1998). Malnutrition of children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North Korea. J. Nutr.; 128, 1315-1319. 

  10. Jung I. H., Park Y. K., & Hwang H. J. (2008). Study on the effect of the patrntal attatchment, supervision and their stress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have perceived on the problem behaviors. Kyonggi University Research Exchange Service. 19-41. 

  11. Keyes E. F., & Kane C. F. (2004). Belonging and adapting: mental health of Bosnian refugee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Issues Mental Health Nursing, Dec; 25, 809-831. 

  12. Kim, H. R. (2007). Overview of nutritional status of policy directions of supporting childrens's nutrition in North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32, 24-34. 

  13. Kim, Y. Y. (2006). An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Nursing Science, 17, 55-63. 

  1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The entry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Retrieved October18, 2010, from http://kostat.go.kr/wnsearchNew/search.jsp. 

  15. Kulbok P. A., & Cox C. L. (2002). Dimensions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1, 394-400. 

  16. Im, Woo Young. (2008, December 24). The warm touch to North Korea defectors. http://www.ekgib.com/news/articleView.html?idxno315255 

  17. Lee, H. K. (2007). North Korean Students in the South Korean School. Journal of Anthropological Studies, 12, 1-17. 

  18. Lee, S. H. (1997). Developmen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index. Seoul. Samsung Hospital Mental Health Research Institute. 

  19. Linda M. A., van Loon, Isabela Granic, & Rutger C. M. E. E. (2011). The role of maternal depression on treatment outcome for children with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Psychopathologic Behavior Assess, 33, 178-186. 

  20. Marshell, G. N., Schell, T. L., Berthold, S. M., & Chun, C. A. (2005). Mental health of Cambodian refugees 2 decades after resettlement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4, 571-579. 

  21. Moon, Y. I., & Lee, I. S. (2005). Health risk behaviors and related variables in students rewrit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 90-98. 

  22. Oh, K. J. (1991).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youth problem behaviors.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Fall Workshop Kit. 5-20. 

  23. Shin, Y. H, Kang, K. H., & Lee, S. J. (2007).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er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46, 289-303. 

  24. Shin, Y. J. (2000). The impacts of long-term starvation on the children's development in North Korea. Korean unification studies, 4, 93-121. 

  25. Thabet A. A., Abed Y., & Vostanis P. (2004). Comorbidity of PTSD and depression among refugee children during war conflic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Mar; 45, 533-542. 

  26. Yoon, I. J. (2007). Social adjustments of North Korean migrants and measures to facilitate their resettlement.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50, 106-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