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엽(艾葉)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의 세포독성과 항산화활성
Cytotoxic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e Argi Folium Alcoholic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9 no.6, 2011년, pp.421 - 425  

이경인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  조주현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  표병식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cytotoxic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e Argi Folium.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and the methanol extract were 430.27mg/g and 427.84mg/g, respectivel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본 연구에서는 애엽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과 그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함께 MTT assay를 활용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여 애엽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엽은 무엇인가? 애엽 (艾葉, Artemisiae Argi Folium)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해쑥 (Artemisia argyi), 쑥 (A. princeps), 또는 산쑥 (A. montana)의 잎 및 어린 줄기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이나 민간요법에서는 애엽의 항염증 활성을 기대하여 위염 등의 치료에 이용해 왔다. 또한 항암이나 항궤양 관련 활성에 대해서도 연구되었으며, 골 대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나 면역 관련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 (Park, 2008, 2009; Lee et al.
체내에 생성된 활성산소종은 어떤 위험성을 지니고 있는가? 인간과 같은 생체에서는 호흡과 에너지 생성 등 다양한 생명유지 활동의 결과로 각종 radical을 포함한 다양한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세포 구성 성분들인 지질이나 단백질,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암이나 각종 염증, 심혈관계 질환 등의 원인으로 작용함은 물론 피부질환이나 노화의 직간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Videla and Fermandez, 1988; Fridovich, 1989). BHA (Butylated Hydroxy Anisole)나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등과 같은 합성항산화제가 우수한 항산화 및 보존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오래 전부터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발암성 등 다양한 부작용과 과량 사용에 따른 독성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Branen, 1975; Farag et al.
애엽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애엽의 어떤 효능을 보고하였는가? montana)의 잎 및 어린 줄기를 여름에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이나 민간요법에서는 애엽의 항염증 활성을 기대하여 위염 등의 치료에 이용해 왔다. 또한 항암이나 항궤양 관련 활성에 대해서도 연구되었으며, 골 대사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나 면역 관련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 (Park, 2008, 2009; Lee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2.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52:59-65. 

  3.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and Eun JS.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112-117. 

  4.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and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115-120. 

  5. Eom HJ, Kim SM, Pyo BS and Lee KI. (2009). Changes of physiological activity by drying temperature in leaf of Eriobotrya japonic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40:178-183. 

  6. Farag RS, Badei AZMA and Baroty GSA. (1989). Influence of thyme and clove essential oils in cotton seed oil oxid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66:800-806. 

  7. Fridovich I. (1989). Superoxide dismutase an adaption to paramagnetic gas.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4:7761-7762. 

  8. Im DY and Lee KI. (2011).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Taraxacum coreanum Naka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238-245. 

  9. Kim HT, Kim JW, Lim MK, Jin TW, Yeo SG, Jang KH, Oh TH and Lee KW. (2007). Cytotoxicity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cancer cells on in vitro.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24:367-371. 

  10. Lee HH and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79-85. 

  11. Lee KI, Yang SA, Pyo BS and Kim SM. (2011).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bark of Prunus sargentii.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42:155-160. 

  12. Lee MK, Choi GP, Ryu LH, Lee GY, Yu CY and Lee HY.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36-42. 

  13. Lee SM, Kim MG, Lee SY and Kang TH. (2010). Effects of Artemisia pronceps extract on bone metabol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363-368. 

  14. Liu RH. (2004). Potential synergy of phytochemicals in cancer prevention : mechanism of action. The Journal of Nutrition. 134:3479S-3485S. 

  15. Manach C, Williamson G, Morand C, Scalbert A and Remesy C. (2005). Bioavailability and bioefficacy of polyphenols in human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1:230S-242S. 

  16. Miller Y, Jouglard J, Steinmetz MD, Tognetii P, Joanny D and Arditti J. (1981). Toxicity of some essential plant oils. Clinical Toxicology. 8:1485-1487. 

  17.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and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109-114. 

  18. Oh YJ, Seo HR, Choi YM and Jung DS. (201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373-378. 

  19. Park WS. (2008). Study on biological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 argi folium on mouse macropharge Raw 264.7 cell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2:815-820. 

  20. Park WS. (2009).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 argi folium on mouse macropharge stimulated by LP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4:151-157. 

  21. Qureshi S, Ageel AM, al-Yahya MA, Tarig M, Mossa TS and Shah AH. (1990). Preliminary toxicity studies on ethanol extracts of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abyssinica and A. inculta in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8:157-162. 

  22. Ryu MJ, Lee SY, Park Y and Yang YK.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fungal effect against Malassezia furfur in the extracts from 6 spp. medicinal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6:120-128. 

  23. Shin KM, Park YM, Kim IT, Hong SP, Hong JP and Lee KT. (2003).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mygdalin in murine macrophage Raw264.7 cells.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4:223-227. 

  24. Videla LA and Fermandez V. (1988). Biochemical aspects of cellular oxidative stress. Archivos de biologia y medicina experimentales. 21:85-92. 

  25. Yoon WJ, Lee JA, Kim KN, Kim JY and Park SY. (2007).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rtemisia fukudo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9:464-4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