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과 수면양상
Rest-Activity Rhythm and Sleep pattern in the Elderly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3, 2011년, pp.211 - 219  

김명애 (계명대학교 간호과) ,  이은주 (안동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compared the rest-activity rhythm and sleep pattern of elderly with young group. Methods: The subjects were 22 over than 65 years old and 23 under 65 years old. An actigraph, sleep diary,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Insomnia Severity Index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노인의 활동정도와 수면양상을 젊은군과 객관적으로 정량화한 수치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의 정도를 파악하여 노인의 활동 및 수면과 관련된 간호중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노년을 위한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군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 및 수면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72시간 동안 매분마다 활동치를 측정하여 휴식리듬 변수와 활동리듬 변수를 산출하고 이를 젊은군과 비교분석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 및 수면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과 수면양상이 성인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Actigraph를 이용하여 3일 동안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활동을 초당 혹은 분당으로 측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Actigraph를 사용하여 활동리듬뿐만 아니라 휴식리듬인 총수면시간, 수면효율, 깬 횟수 등의 객관적인 측정을 통해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과 수면양상을 파악하여, 노인들에 대한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의 변화와 수면양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 나아가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가 본 연구에 선정되는 것이 적절한지를 확인하고,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다. 면담을 통하여 가능한 대상자에게 3일 동안 기록할 수면 일지와 한 번만 기록할 설문지와 기계를 배부하였고, 설문지는 누락이 없도록 작성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 및 수면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1)노인과 성인의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은 노인의 경우 성인보다 전반적으로 낮은 활동치를 보였으나 새벽 3시대, 4시대, 5시대에는 성인보다 높은 활동치를 보였으며 경사도가 높은 증가 곡선이었다. 또한 노인의 활동량이 성인보다 오후 2시대, 6시대, 7시대, 8시대, 9시대, 10시대, 11시대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노인의 수면양상은 총수면시간이 성인에 비해 39.50분 짧았으며, 수면의 질은 성인보다 낮았고, 불면증은 노인이 성인보다 3.51점 더 높았다. 3) 휴식활동리듬, 수면효율, PSQI, 불면증은 연령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건강한 노년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건강한 노년을 위해서는 안전, 영양, 적절한 활동, 체질량지수 유지, 일상수행능력, 적절한 수면 등이 필요하다(Kim & Yang, 2007; Chun, 2007). 여기에서 휴식·활동의 일주기 생체리듬 중 활동 및 일상수행능력 등을 반영하는 활동 리듬과 수면을 반영하는 휴식 리듬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휴식·활동일주기 생체리듬 변화는 건강한 노년을 결정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 Yang, 2007; Lee, 2007).
일주기 생체리듬이란 무엇인가? 일주기 생체리듬은 24시간의 주기로 규칙적으로 변화되는 리듬을 말하는데, 일주기 생체리듬 현상은 휴식·활동 일주기 생체리듬에서 대표적으로 관찰된다(Youn, 2005). 이런 생체리듬을 관장하는 생체 조직을 생체시계라고 하는데, 우리 몸의 대부분의 생리현상이 생체리듬에 영향을 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ssi, C. A., Schnelle, J. F., MacRae, P. G., Ouslander, J. G., Al-Samarrai, N., Simmons, S. F., et al. (1995). Does physical activity improve sleep in impaired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3, 1098-1102. 

  2. Bastien, B. H., Vallieres, C., & Morin, C. M. (2001).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icine, 2, 297-307. 

  3.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 Kuper, D. J. (1998).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 193-213. 

  4. Carvalho-Bos, S. S., Riemersma-van der Lek, R. F., Waterhouse, J., Reilly, T., & Van Someren, E. J. (2007). Strong association of the rest-activity rhythm with well-being in demented elderly women.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5, 92-100. 

  5. Choi, J. S., & Jang, I. S. (2003). Gerontology of welfar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7-18. 

  6. Chun, J. S. (2007). A study on sleep patterns and awareness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7. Cho, Y. W., Lee, H., Lee, J. W., Han, S. Y., & Lee, M. Y. (2003). Sleep disorders in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1, 492-498. 

  8. Enderlin, C. A. (2009). Sleep in older women with breast cancer. Unpublished doctor's thesis, Arkansas University, Arkansas. 

  9.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10. Fitchten, C. S., Creti, L., Amsel, R., Brender, W., Weinstein, N., & Libman, E. (1995). Poor sleepers who do not complain of insomnia: Myths and realities about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older good and poor sleeper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8, 189-223. 

  11. Kim, O. S., Kim, A. J., Kim, S. W., Baik, S. H., & Yang, K. M. (2003). Fatigue, depression and sleep in young adult and middle-ag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618-624. 

  12. Kim, O. S., & Yang, S. J. (2007). Health status, sleeping, exercise, and nutrition of elderly women. Journal of Ewha Nursing Science, 19(2), 1-9. 

  13. Lee, E. J. (2007). Rest-activity, sleep pattern,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restless leg syndro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422-437. 

  14. Lee, P. S., & Jang, S. O. (2001). The study on the effect of stage based exercise motiv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818-833. 

  15. Park, J. S. (2004). The effects of an elderly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94-1204. 

  16. Park, Y. H. (2007). Physical activity and sleep patterns in elderly who visited a community senior c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5-13. 

  17. Pilcher, J. J., Ginter, D. R., & Sadowsky, B. (1997).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etud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3, 583-596. 

  18. Shirota, A., Tamaki, M., Hayashi, M., & Hori, T. (1999). Effects of daytime activity on nocturnal sleep in the elderly. Psychiatry & Clinical Neurosciences, 54, 309-310. 

  19. Shirota, A., Tamaki, M., Hayashi, M., Shirakawa, S., & Hori, T. (2000). Effects of volititional lifestyle on rest-activity cycle in the aged. Psychiatry & Clinical Neurosciences, 53, 271-272. 

  20. Shin, K. R., Byeon, Y. S., Kang, Y. H., & Oak, J. W. (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37-444. 

  21. Shin, K. L., Yi, H. R., Kim, J. Y., & Shin, C. (2006).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adul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829-836. 

  22. Sherrill, D. L., Kotchou, K., & Quan, S. F. (1998).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human sleep disorder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8, 1894-8. 

  23. Sim, M. K., & Park, J. M. (2004). A study on the physical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 438-449. 

  24. Sok, S. R., & Choi, J. Y. (2010). Factors influencing sleep of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19-126. 

  25. Steven, H. F. (2003). Sleep in the elderly what is normal?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19, 177-188. 

  26. Tryon, W. W. (2004). Issues of validity in actigraphic sleep assessment. Sleep, 27, 158-165. 

  27. Uezu, E., Taira, K., Tanka, H., Arakawa, M., Urasaki, C., & Toguchi, H. (2000). Survey of sleep-health and lifestyle of the elderly in Okinawa. Psychiatry Clin Neurosci, 54(3), 11-13. 

  28. Van Den Berg, J. F., Van Rooij, F. J., Vos, H., Tulen, J. H., Hofman, A., Miedema, H. M., et al. (2008). Disagreement between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s of sleep duration in a population-based study of elderly persons. Journal of Sleep Research, 17, 295-302. 

  29. Van Someren, E. J., Swaab, D. F., Colenda, C. C., Cohen, W., McCall, W. V., & Rosen-quist, P. B. (1999). Bright light therapy: Improved sensitivity to its effects on rest-activity rhythms in Alzheimer patients by application of nonparametric method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16, 505-518. 

  30. Yun, C. H. (2005). Clinical features, classiflcations and diagnosis of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leep Medicine, 2, 2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