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 영향 요인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Dietary Self-Efficacy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3 no.3, 2011년, pp.253 - 261  

이규은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남선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n dietary self-efficacy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given to the 408 children between June 7 to June 17, 2011. Descriptive s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이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된 신체활동자기효능감(Hwang, 2006), 식행동(Kim, 2009), 우울(Won, 2008) 및 식이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변인을 포함하여 성별에 따른 식이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성별에 따라 다른 학령기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하여 식이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횡단적 자료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 신체활동자기효능감, 식행동 및 우울의 정도를 알아보고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식이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비교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인 초등학교 5, 6학년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식이자기효능감의 차이와 식이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자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들의 비만율 증가와 함께 저체중아 아동의 증가라는 양극화 현상 및 성차에 주목하여 식사를 할 때 바람직한 행동을 취할 수 있으리라는 신념이 높고 바람직하다는 것을 깨달으면 실천하려는 의지가 높다고 알려진 식이효능감과 그 영향 요인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아동들이 사회생활에 장애를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8%(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0)와 거의 비슷한 비율이다. 비만아동들은 신체적 불편함으로 비활동적이 되어 학우들과의 소외감, 열등감, 사회성 결여 등으로 가정과 사회생활에 장애를 초래하여 성인이 되어도 정상적인 생활을 해나가는 데 심각한 장애를 나타낸다. 특히 이 시기의 비만은 체력의 저하와 함께 고지혈증, 당뇨병, 지방간, 고혈압 등과 관계가 있어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소아비만의 사전예방과 빠른 치료가 요구된다고 하겠다(Rossner, 2001).
학령기에 영양의 불량이나 과다로 인하여 건강에 장애가 오면 어떤 영향이 있는가? 또한 병원균 및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하고 사춘기에 급속한 성장 시 사용될 영양소를 체내에 저장해야 한다. 만약 이 시기에 영양의 불량이나 과다로 인하여 건강에 장애가 오면 지적발달이나 정서적인 발달, 나아가서 성인이 된 이후의 건강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균형 잡힌 영양소의 섭취와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이 요구되는 시기이다(Gu, Lee,Choi,Kim,&Lee, 2006).
비만아의 증가율이 눈에 띄게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균형 잡힌 영양소의 섭취와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이 요구되는 시기이다(Gu, Lee,Choi,Kim,&Lee, 2006). 그러나 최근에 칼로리가 높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의 섭취 증가와 텔레비전 시청, 컴퓨터와 인터넷의 사용증가 등으로 신체활동시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비만아의 증가율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Oh,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i, S. J. (1998). Dietary self-efficacy & physical activity self 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 Gu, J. O., Lee, J. W., Choi, Y. S., Kim, J. H., & Lee, J. H. (2006). Life cycle nutrition science. Seoul: Hyoil Publishing. 

  3. Gu, M. O., Yu, J. S., Kweon, I. K., Kim, H. W., & Lee, E. O. (1994). A review of resear-ch on self e¨cacy theory applied to health related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 278-301. 

  4. Guy, S., Parcel, E. E., Cheryl, L. P., & Henry, A. F. (1995). Measurement of self-efficacy for diet-related behavi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5, 23-27. 

  5. Han, M. S. (2007). E­ects of dietary habits,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the change of hemat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nutritional education primary 4th graders in Gyeong-Gi province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6. Hermine, G., Soto, D., David, G., & Anderson, A. (1993). The curtain rises: rethinking culture, ideology, and the state in eastern europe. New Jersey: Humanities. 

  7. Hochbaum, G. M. (1981). Strategies and their rational for changing people's eating habit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13, 59-65. 

  8. Hwang, I. J. (2006). Obesity index,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9. Hur, H. K., Park, S. M., Kim, G, Y., Kim, C. B., Ahn, J. S., Song, H. Y., et al. (2003). A cross-sectional study of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Wonj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 159-172. 

  10. Jang, H. S., & Hwang, I. J. (2006). Nutrient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of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obesity index.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4), 67-84. 

  11. Lee, J. I. (2001). A study of obese children'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an University, Gyungsan. 

  12. Lee, J. Y.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self-efficacy and dietary practi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3. Li, N., & Kirkup, C. (2007). Gender and cultural differences in internet use: a study of China and the UK. Computer and Education, 48, 301-317. 

  14.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health examination -. Retrieved at September 22, 2011, from http://www.mw.go.kr/front/jb/sjb030301vw.jsp? PAR_MENU_ID03&MENU_ID03030301&BOARD_ID1003&BOARD_ FLAG03&CONT_SEQ39610&page1 

  15.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 (2010). Health at a glance 2009 OECD indicators. Retrieved at September 23, 2011, from http://www.mw.go.kr/ 

  16. Moon, S. H. (2008). Gender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upper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361-369. 

  17. Kang, H. K. (2006). Comparison of self-efficacy between normal weight and obese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8. Kim, B. H., & Choi, J. H. (2009). Perceived body image, intentional caloric restriction and physical manifestations of unbalanced nutrit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359-366. 

  19. Kim, H. S. (2010). Analysis of longitudinal trend for adolescents' computer use: the impact of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 93-112. 

  20. Kim, J. E. (2009). Relationships among nutritional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dietary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1. Kawak, S. H. (2009). Analysis of self efficacy, dietary efficacy and exercise efficacy depending on gender typ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22. Oh, S. H. (2011). A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modifying factor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3. Park, H. J. (2010). The study on the eff­ect of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on their dietary attitude, ea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4. Park, J. I. (2008). Factor analysis of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In a population of general children in a small c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7, 555-560. 

  25. Rossner, S. (2001). Obesity through the ages of m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5 (Suppl 4), S29-S33. 

  26. Stewart, G. T., Russell, R. P., Marsha, D., Ruth, S., & Dianne, S. W. (1996). Gender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d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rural fifth grade children. Journal of School Health, 66, 145-149. 

  27. Won, H. R. (2008).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dietary self efficacy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perceived body shap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angwon province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9, 707-719. 

  28. Yu, M.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ex, body image,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9. Yun, J. W. (2002). E­ects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dietary self-efficacy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