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과체중, 비만 아동 중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Interventions for School-aged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6 no.2, 2019년, pp.75 - 83  

조주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장상윤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금다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임지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김정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chool-aged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used five databases (MEDLINE [PubMed], CINAHL, Embase, DBpia, and RISS) to search for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령기 과체중,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적용된 중재연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효과적인 학령기 아동 비만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국내 ‧ 외에서 시행된 연구들을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학령기 과체중,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재에 관한 최근 5년간의 국내·외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학령기 과체중,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만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9편의 문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지속적으로 비만 중재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근의 중재연구 동향은 과체중, 비만 여부와 상관없이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과체중, 비만 아동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최근 국내·외 5년간 연구의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학령기 과체중, 비만 아동의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보다 효과적인 학령기 과체중, 비만 아동의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 외에서는 Trim and Fit (TAF) 프로그램, APPLES (Active Programme Promoting Lifestyle Education in Schools), CATCH (Child and Adolescent Trial for Cardio-vascular Health) 등의 다양한 비만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은 비만도의 유의한 감소를 관찰 했는가? 외에서는 Trim and Fit (TAF) 프로그램, APPLES (Active Programme Promoting Lifestyle Education in Schools), CATCH (Child and Adolescent Trial for Cardio-vascular Health) 등의 다양한 비만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들 프로그램들은 과체중, 비만 아동과 비만하지 않은 아동을 모두 포함한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그 결과 일부 중재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중재의 1차적 목표인 비만도의 유의한 감소를 관찰하지 못하였다.11)또한, 과체중,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은 그 특성과 중재 효과가 비만하지 않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것과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시행된 비만 중재 프로그램을 분석한 연구들 역시 과체중, 비만 아동과 비만하지 않은 아동을 구분하지 않고 이루어졌다.
국내 비만 유병률의 추세는 어떠한가?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아동의 비만이 해마다 2%씩 증가한다고 밝혔으며,1) 국내 아동의 비만 유병률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국내 교육부에서 실시한 학생 건강 검사 표본분석 결과에 따르면, BMI 기준 비만 유병률은 14.3%로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2)국민건강통계 결과에서도 1998년 조사 이후 아동의 비만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3)
왜 학령기 아동에 초점을 맞추어 비만 중재 프로그램을 분석할 필요가 있는가? 85배 증가한 것에 비해 가장 크게 증가했다. 한편 건강습관이 확고히 형성되지 않은 학령기 아동들의 건강행위는 수정 가능성이 크고 성인기까지 이어진다10)는 점에서 학령기 아동에 초점을 맞추어 비만 중재 프로그램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2013 action plan for the global strategy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noncommunicable disease [Internet].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cited 2018 Aprl 1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mh/publications/ncd_action_plan_en.pdf 

  2. Ministry of Education. 2016 nyeon hagsaeng geongang jeomgeom bogoseo [2016 School health examination sample survey results]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017 Feb 21 [cited 2018 Apr 30]. Available from https://www.moe.go.kr/boardCnts/fileDown.do?m020402&smoe&fileSeq2524cb8df965e5bc297eae34d7289ecf Korean.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yeolgwa bogoseo [Result report]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Jan 11. Record No. 29, 2017 gugmin geongang tonggye [The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7]; [cited 2019 Sep 22].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4. Oh K, Jang MJ, Lee NY, Moon JS, Lee CG, Yoo MH, et al.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1997 and 2005. Korean J Pediatr. 2008;51(9):950-5. 

  5. Reilly JJ, Kelly J. Long-term impac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morbidity and premature mortality in adulthood: Systematic review. Int J Obes (Lond). 2011 Jul;35(7):891-8. https://doi.org/10.1038/ijo.2010.222 

  6. Woo MJ, Lee JY. The mediating effect of body ima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mographic data on psychosocial problems of obese children. Korea JCouns. 2007;8(2):675-90. https://doi.org/10.15703/kjc.8.2.200706.675 

  7. Sung KS, Yoon YM, Kim EJ.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children. Child Health Nurs Res. 2013;19(4):262-9. https://doi.org/10.4094/chnr.2013.19.4.262 

  8. Park JY, Ma HH, Oh H. Trends in intervention study for childhood obesity in Korea. Child Health Nurs Res. 2017;23(1):81-90. https://doi.org/10.4094/chnr.2017.23.1.81 

  9. Heo EJ, Sim JE, Yoon EY. Systematic review on the study of the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in Korea: Dietary risk facto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22(3):191-206. https://doi.org/10.5720/kjcn.2017.22.3.191 

  10. Jang JY, Bang K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Parent Child Health J. 2011 Jun;14(1):18-27. 

  11. Park KH. School and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J Korean Acad Fam Med. 2004;25(7):519-26. 

  12.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Adv Nurs. 2005;52(5):546-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3. Garrard J. Health sciences literature review made easy: the matrix method. 5th ed. Burlington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16. 240 p. 

  14. Lee JH, Oh S. Effects of the 26-weeks obesity management program on obesity index, self-esteem, self-efficacy, and body image among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Korea Acad Ind Co-op Soc. 2016;17(9):83-93. https://doi.org/10.5762/KAIS.2016.17.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