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농산물의 카드뮴 및 납 함량 조사 및 위해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Cadmium and Lead in Agricultural Product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0 no.3, 2011년, pp.330 - 338  

김지영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최남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안전과) ,  류지혁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지호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영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안전과) ,  조경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안전과) ,  이철호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소비안전과) ,  홍수명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임건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홍무기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원일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6품목(두류, 상추, 호박류, 사과, 배, 감귤)에 대한 카드뮴 및 납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폐광산 인근 주변지역 및 주산지역의 농산물을 각 품목당 150종을 수거하고 모니터링 한 결과, 카드뮴의 평균 함량은 두류 0.007 mg/kg, 상추 0.018 mg/kg, 호박류 0.003 mg/kg, 사과 0.001 mg/kg, 배 0.003 mg/kg, 감귤 0.002 mg/kg이었으며, 호박 2품목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에서 Codex 기준 이하였다. 납의 평균 함량은 두류 0.020 mg/kg, 상추 0.032 mg/kg, 호박류 0.011 mg/kg, 사과 0.012 mg/kg, 배 0.007 mg/kg, 감귤 0.020 mg/kg으로 나타났으며, 호박류 및 사과 각각 1품목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에서 Codex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조사된 주산지역 농산물 및 휴 폐광산 인근 주변지역 농산물의 평균함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산지역 및 폐광산 인근 주변지역의 농산물의 위해지수(HI)를 비교한 결과 두지역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모든 연령 및 성별 인구 집단에서 1.0을 초과하지 않았다. 따라서 폐광산 인근 지역 농산물섭취를 통한 카드뮴 및 납의 장기간 노출에 의한 인체 위해 가능성은 주산지역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gricultural product (Pulses, Lettuces, Pumpkins, Apples, Pears and Tangerines) in Korea, monitoring of cadmium (Cd) and lead (Pb) contamina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cultivated areas and abandoned mine areas were investigated, and risk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유통 농산물에 대해서만 농산물 중 중금속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중금속의 직접적인 오염원이 될 수 있는 휴폐광산 인근 주변지역의 과채류의 함량은 모니터링 및 위해평가 시 결과가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를 포함한 6개 농산물 품목에 대한 휴ㆍ폐광산 인근 지역 및 주산 지역의 농산물을 수거하여 중금속 오염도를 조사하고, 연령별 인체 위해를 비교 평가하였으며, 휴ㆍ폐광산 인근 지역 및 주산 지역 간 농산물의 중금속 함량을 비교하여 지역에 따른 위해지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6품목(두류, 상추, 호박류, 사과, 배, 감귤)에 대한 카드뮴 및 납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폐광산 인근 주변지역 및 주산지역의 농산물을 각 품목당 150종을 수거하고 모니터링 한 결과, 카드뮴의 평균 함량은 두류 0.

가설 설정

  • 납은 JECFA에서 처음으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납 노출에 가장 민감한 집단인 영유아 집단의 경우, 식이를 통해 노출된 납이 40 %가 체내에 흡수되고 30 %가 잔존한다는 가정 하에 PTWI를 25 μg/kg b.w./month로 설정하였다(WHO,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드뮴, 납, 수은, 비소 등의 중금속이 영유아에게 농도에 따라 어떠한 장애를 발생시키는가? 중금속 중 카드뮴, 납, 수은, 비소 등은 생체 성분과의 친화성이 커 식품 등에 축적되기 쉽기 때문에 국내ㆍ외에서 매우 엄격히 관리 되고 있으며(Lee et al., 2011) 특히, 영유아에게는 농도에 따라 행동 발달 장애 등이 관찰되고 있으므로 연령에 따른 관리도 중요한 실정이다(Jarup, 2003).
채취된 농산물의 카드뮴 및 납은 무엇으로 분석하였는가? 시료는 약 2∼3 g을 microwave용 PTFE vessel에 취하고 질산 7∼8 mL, 과산화수소 2∼3방울을 넣고 분해하였으며, 분해 후, 증류수를 사용하여 20 mL로 정용하고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카드뮴 및 납은 ICP-MS (Agilent Technologies, 7500a)로 분석하였다.
중금속 중 생체 성분과의 친화성이 커 식품 등에 축적되기 쉬은 것은 무엇이 있는가? , 2005). 중금속 중 카드뮴, 납, 수은, 비소 등은 생체 성분과의 친화성이 커 식품 등에 축적되기 쉽기 때문에 국내ㆍ외에서 매우 엄격히 관리 되고 있으며(Lee et al., 2011) 특히, 영유아에게는 농도에 따라 행동 발달 장애 등이 관찰되고 있으므로 연령에 따른 관리도 중요한 실정이다(Jarup,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C.W., Moon, J.H., Park, H.S., Ryeom, T.K., Lee, K.H., Lee, H.M., 2009.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PTWI for cadmium based on the epidemiological data. J. Food Hyg. Safety. 24, 378-384. 

  2. Fergusson, J.E., 1990. The heavy elements: Chemistry, environmental impact and health effects. Pergamon press, Oxford (UK). 

  3. Ikebe, K., Nishimune, T., Sueki, K., 1990. Contents of 17 metal elements in food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vegetables, fruits, potatoes and fungi). J. Food Hyg. Soc. Jpn. 31. 382-393. 

  4. Jarup, L., 2003. Hazard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Brt Med J. 68, 167-182. 

  5. Kim, M.H., Lee, Y.D., Park, H.J., Park, S.K., Lee, J.O., 2005. Contents of heavy metals in soybean curd and strarch jelly consum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5. 

  6. Kim, M.H., Kim, J.S., Sou, Y.S., Jeong, S.Y., Lee, J.U., 2004. Contents of toxic metals in fruits available on Korean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23-526. 

  7. Krejpcio, Z., Sionkowski, S., Batela, J., 2005. Safety of fresh fruits and juices available on the Polish market as determined by heavy metal residues. J. Environ. Stud. 14, 877-881. 

  8. Kim, H.Y., Kim, J.I., Kim, J.C., Park, J.E., Lee, K.J., Kim, S.I., Oh, J.H., Jang, Y.M., 2009.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38-244. 

  9. Kim, J.Y., Kim, K.Y., Ahn, J.S., Ko, I.W., Lee, C.H., 2005. Investigation and risk assessment modeling of As and other heavy metals contamination around five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Environ. Geochem. Health 27, 193-203. 

  10. Lee, H.M., Jung, K.H., 2008. Risk Assessment for identifying maximum level of hazarddous chemicals in foods. J. Food Hyg. Safety. 23, 80-84. 

  11. Lee, T.J., Kim, K.C., Shin, I.C., Han, K.S., Shim, T.H., Ryu, M.J., Lee, J.K., 1996. Survey on the contents of trace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of Gangwon-do. Rep.Inst.Health Environ. 7, 75-87. 

  12. Lee, J.H., Seo, J.W., An, E.S., Kuk, J.H., Park, J.W., Bae, M.S., Park, S.W., Yoo, M.S., 2011.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frui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30-234. 

  13. Lee, H.S., Cho, Y.H., Park, S.O., Kye, S.H., Kim, B.H., Hahm, T.S., Kim, M., Lee J.O., Kim, C.I., 2006. Dietary exposure of the Korean population to arsenic, cadmium, lead and mercury. J. Food. Compos. Anal. 19, S31-S37. 

  14. Lee, S.D., Jung, J.Y., Choi, K.H., Lee, J.T., Park, H.M., Shin, H.T., 2010. Risk analysis and estimating consumption of heavy metal from intake of oriental medicines. J. Env. Hlth. Sci. 36, 14-19. 

  15. Park, J.S., Lee, M.K., 2002. A study on contents of heavy and trace metal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round mines located in Chollanamdo. Korean. J. Food Nutr. 15, 64-69. 

  16. Shim, J.Y., Oh, H.S., Jang, M.R., Lee, Y.A., Lee, R.K., Kim, M.A., Lee, H.J., Lee, S.M., Cho, T.Y., 2010. Monitoring of lead and cadmium contents of vegetables in Korea. J. Food Hyg. Safety. 25, 395-401. 

  17. Tsuji, J.S., Benson, R., Schoof, R.A., Hook, G.C., 2004. Health effect levels for risk assessment of childhood exposure to arsenic, Regul. Toxicol. Phamacol. 39, 99-110. 

  18. Triphathi, R.M., Raghunath, R., Krishnamoorthy, T.M., 1997. Dietary intake of heavy metals in Bombay City, India. Sci Total Environ. 208, 149-159. 

  19. Welton, B.D., Peterson, D.P., Moretti, E.S., Dare, H., Bhattacharyya, M.H., 1997. Skeletal changes in multiparous, nulliparous and ovariectomized mice fed either a nutrient sufficient or deficient diet containing cadmium, Toxicologyl. 119. 103-121. 

  20. Zaldivar, R., Guillier, A., 1977. Environmental and clinical investigations on edemic chronic arsenic poisoning in infants and children. Hyg.Abt.Org.Reihe B. 165, 226-234. 

  21. Zeng, X.B., Li, L.F., Mei, X.R., 2008. Heavy metal content in chinese vegetable plantation land soils and related source analysis. Agric Sci China. 7, 1115-1126. 

  22. Zheng, N., Wang, Q., Zhang, X., Zheng, D., Zhang, Z., Zhang, S., 2007. Population health risk due to dietary intake of heavy metals in the industrial area of Huludao city, China. Sci. Total Environ. 28, 189-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