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지재배 풋마늘 중 Azoxystrobin, Difenoconazole 및 Iprodione의 잔류특성
Dissipation Pattern of Azoxystrobin, Difenoconazole and Iprodione Treated on Field-Grown Green Garlic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0 no.4, 2011년, pp.446 - 452  

강혜림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이영주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이유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  한국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  장희라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  김균 (호서대학교 안전성평가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지재배 풋마늘 중 azoxystrobin, difenoconazole 및 iprodione의 경시적인 잔류량 변화로부터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기 위하여,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른 기준량 및 배량으로 1회 처리하여 잔류특성을 확인하였다. 분석법 검출한계(LOQ)는 azoxystrobin과 difenoconazole은 0.002 mg/kg, iprodione은 0.05 mg/kg이었고, 평균 회수율은 83-115% 수준이었다. 풋마늘 중 azoxystrobin, difenoconazole 및 iprodione 잔류량 결과로부터 산출된 반감기는 기준량 처리시 각각 1.2일, 3.8일 및 3.5일이었으며, 배량 처리시 각각 1.4일, 3.3일, 3.2일이었다. 약제 처리 후 풋마늘 중 잔류량이 기준량 및 배량 처리구에서 azoxystrobin, difenoconazole은 0일차, iprodione은 5일차에 MRL 이하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dissipation patterns of 3 pesticides, azoxystrobin, difenoconazole and iprodione, on green garlic after field treatment pesticides were treated as foliar treatment by single application at recommended and double the recommended rates. METHODS AND RESULTS: Residue sa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노지재배 채소류에서 토지 생산성이 높아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풋마늘의 재배기간 중 살균제 azoxystrobin, difenoconazol 및 iprodione의 출하전 생산 단계에서의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약제처리 후 일정기간 별로 잔류량를 변화를 확인하고, 감소상수 및 반감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농약잔류허용기준(MRL)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국민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 향상으로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국민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한국 농촌경제 연구원, 2009). 농약은 농산물에 잔류되어 인체건강에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세계 각 나라 마라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을 설정하여 국가적인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해평가부 화학물질과, 2009).
국내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 시행에서 안정성 부적합 발생률이 높은 중점관리 품목은 몇 개인가? 매년 농림식품부에서 시행되는 안전성조사에서 부적합 발생률이 높은 중점관리 품목대상 인 30개 품목 중 채소류가 25개 품목으로 부적합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2008).
농약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수준 향상으로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국민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한국 농촌경제 연구원, 2009). 농약은 농산물에 잔류되어 인체건강에 위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세계 각 나라 마라 농산물에 대한 농약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을 설정하여 국가적인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해평가부 화학물질과, 2009). 국내에서는 농약잔류허용기준 외에 농림식품부에서 농가에서 재배한 농산물에 대하여 시장에 농약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한 부적합 농산물이 출하되지 않도록 관리하고자 시장 출하 전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여 소비자에 대한 안전성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생산단계 잔류농약 허용 기준은 농산물의 재배기간 중 약제처리 후 농약의 경시적인 잔류량 변화 결과에서 산출된 감소상수를 적용하여 설정되며, 과실류, 채소류, 버섯류 및 차류 등의 품목들에 대한 농약성 분별로 총 583개 기준이 고시되어 생산단계 농산물에 적용되고 있다(농림수산식품부 고시,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i, K.I., Seong, K.Y., Jeong, T.G., Lee, J.H., Hur, J.H., Ko, K.Y., Lee, K.S., 2002. Dissipation and Removal Rate of Dichlofluanid and Iprodione on Greenhouse Cherry Tomato, Korean J. Environ. Agric. 21(4), 231-236 

  2. Hong, J.H., Lim, J.S., Lee, C.R., Han, K.T., Lee, Y.R., Lee, K.S., 2011. Study of Pesticide Residue Allowed Standard of Methoxyfenozide and Novaluron on Aster scaber during Cultivation Stage, Korean J. Pest. Sci. 15(1), 8-14Kim, J.E., Kim, T.H., Kim, Y.H., Lee, J.H., 

  3. Kim, J.S., Paek, S.K., Choi, S.Y., Youn, Y.N., Yu, Y.M., 2008. Residues of Tolclofos-methyl,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in Ginseng Sprayed by Safe Use Guidelin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6),390-396 

  4. Kim, S.W., Lee, E.M., Yang, L., Park, H.W., Lee, H.R., Riu, M.J., Na, Y.R., Noh, Y.S., Keum, Y.S., Song, H.H., Kim, J.H., 2009.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PHRL) of Insecticide Bifenthrin during Cultivation of Grape, Korean J. Pest. Sci. 13(4), 241-248 

  5. Kim, Y.S., Choo, H.Y., Park, C.G., Lee, D.W., 2005.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on sweet perimmon harvested from systemized orchards for exporting to USA, Korean J. Pestic. Sci. 9(2), 166-172 

  6. Ko, K.Y., Na, E.S., Kim, S.H., Kim, S.J., Jang, Y.H., Lee, K.S., 2005. Temporary Persistance of Pesticide Residue of Diazinon, Iprodione and Chlorfenapyr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s in Shallot[Allium ascalonicum L.], J. Agri. Sci. Chungnam Nat'l Univ., Korea, 32(2), 223-231 

  7. Ko, K.Y., Kim, S.H., Jang, Y.H., Lee, K.S., 2008. Residue Pattern of Chlorothalonil, Indoxacarb, Lufenuron, Metalaxyl and Methomyl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s in Chinese Cabbage, Korean J. Pest. Sci. 12(1), 34-42 

  8. Park, S.Y., Kang, H.R., Ko, K.Y., Gil, K.H., Im, M.H., Lee, K.S., 2009. On the Processing and Reduction Factors of Several Pesticides with Welshonion, Korean J. Pestic. Sci. 13(4), 249-255 

  9.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Korea Crop Pretection association, 2008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1. Agrochemicals Use Guide BooK 

  1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2009. Analytical methods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In Korean code of foo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