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지 교차로에서 자전거 신호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ke Signal Operation Methods at Three-Legged Intersection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29 no.5, 2011년, pp.157 - 167  

허희범 (동해종합기술공사 교통계획부) ,  김응철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나라에서 자전거가 교차로를 횡단할 때 차량, 보행자와의 상충위험 그리고 긴 대기시간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최근 녹색교통정책에서 관심 받고 있는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자전거교통류가 연속성,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는 적절한 신호운영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자전거의 좌회전 통행방법에 따라 간접좌회전 방법(통행방법1), 전용차로에 서 직접좌회전 하는 방법(통행방법2), Bike Box에서 직접좌회전 하는 방법(통행방법3)으로 크게 3가지로 나누고 여기에 차량교통량, 자전거교통량에 변화를 주어 54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정된 네트워크를 구축한 후 VISSIM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효과척도는 신호교차로 접근로에서의 차량과 자전거의 지체시간과 정지횟수를 적용하였다. 3지 신호교차로의 지체시간 및 정지횟수를 분석한 결과 차량교통량이 많고 자전거통행량이 적은 곳에서는 간접좌회전 방법(통행방법1), 차량교통량과 자전거통행량이 많은 곳에서는 전용차로에서 직접좌회전 방법(통행방법2), 차량교통량과 자전거통행량이 적은 곳에서는 Bike Box 방법(통행방법3)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problems, such as unexpected delay and collision with pedestrians or vehicles, occur generall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where bicycle users are frequently involved. These problems have hindered bicycle users from riding bicycles on urban highway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pe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미흡한 자전거 교통류의 운영적인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사고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는 도심지 3지 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차량 및 자전거의 교통량에 따라 자전거 교통류가 연속성, 편의성을 유지하며 안전하게 교차로를 횡단할 수 있는 적절한 신호운영방안의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교통류가 차량 및 자전거의 교통량에 따라 연속성, 편의성을 유지하며, 안전하게 교차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신호운영방안에 대해 연구를 하기 위해 먼저 자전거 이론과 국내외의 자전거 신호에 관한 참고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및 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자전거 통행방법 및 신호운영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교통류가 차량 및 자전거의 교통량에 따라 연속성, 편의성을 유지하며, 안전하게 교차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신호운영방안에 대해 연구를 하기 위해 먼저 자전거 이론과 국내외의 자전거 신호에 관한 참고문헌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및 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자전거 통행방법 및 신호운영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가설 설정

  • 향후 4지 신호교차로, 회전교차로 등 다양한 유형의 신호교차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자전거 전용차로에 대해서 한 가지 유형으로만 가정하여 연구를 하였다. 자전거 전용차로를 중앙차로 측에 설치하는 형태의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신호교차로에 접근하는 차량과 자전거의 교통량 배분 비율은 <표 7>, <표 8>, <표 9>에 제시하였다. 차량 교통량은 직진 교통량과 좌회전 교통량은 각각 6:4의 비율이 되게 배분하였고, 자전거 교통량은 직진과 좌회전 교통량이 같은 경우(5:5)와 직진 교통량이 좌회전 교통량보다 많은 경우(7:3)를 가정하여 총 2가지 상황에 대해 고려를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시나리오는 차량교통량, 자전거교통량, 통행방법, 자전거교통량의 배분비율 4가지로 구분하여 총 54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차량교통량은 교차로에 접근하는 포화도 0.80, 0.90, 0.95로 가정하여 이 때의 접근 교통량 1,600vph, 1,800vph, 2,000vph을 적용하였고, 자전거교통량은 시간당 접근로별로 300vph, 600vph, 900vph를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통행방법은 통행방법1(간접좌회전), 통행방법2(전용차로를 이용한 횡단방법), 통행방법3(Bike Box를 이용한 횡단방법) 3가지를 적용하였으며, 자전거교통량의 배분은 직진과 좌회전비율을 5:5와 7:3 두 가지로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용차로에서 직접좌회전 하는 방법은 어떤 방법인가? 전용차로에서 직접좌회전 하는 방법은 자전거가 우측 및 중앙에 위치한 자전거전용도로 혹은 자전거전용차로에서 주행을 하다가 좌회전 및 직진을 위한 대기공간에서 신호를 받고 직진 및 직접 좌회전을 하는 방법으로 동시 및 직진․좌회전 분리 신호운영이 모두 가능하다. 동시신호 운영은 차로 중간에 자전거 전용차로를 설치하여 운영해야 하며 직진, 좌회전 분리 신호운영은 우측에 위치한 자전거도로에서 차량현시와 동시에 운영한다.
자전거교통량 증가에 따른 자전거의 좌회전지체시간이 차량교통량의 변화에 따른 지체시간의 변화보다 크지 않은 이유는? 2% 전체지체시간은 시나리오2에서 최대 9%로 변화하여 차량교통량의 변화에 따른 지체시간의 변화보다는 크지 않았다. 그 이유는 차량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신호주기가 길게 산출되어 이것이 같은 신호주기에서의 자전거교통량만 증가하는 것보다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자전거교통량 배분비율에 따른 결과는 자전거의 직진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직진의 지체시간이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는 좌회전 지체시간의 증가 폭 보다는 작았다.
Bike Box를 이용한 교차로 횡단방법이란? Bike Box를 이용한 교차로 횡단방법은 우측 자전거 전용도로 혹은 자전거 전용차로에서 주행을 하던 자전거가 Bike Box에 진입한 후 Bike Box내에서 좌회전 또는 직진신호를 부여 받고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좌회전 또는 직진을 하는 방식이다. Bike Box는 상황에 따라서 한 차로에만 설치하는 경우에서부터 모든 차로에 걸쳐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정도에 따라 다양한 신호운영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건설교통부(2001), "도로용량편람". 

  2. 건설교통부(2006),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pp.56-59. 

  3. 국토해양부(2009), "자전거도로 시설기준 및 관리 지침", pp.66-69. 

  4. 국토해양부(2010), "자전거 이용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pp.43-44. 

  5. 김태균(2009), "교차로 통행방식별 자전거신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도철웅(2005), "교통공학원론(상)" 

  7. 손영태?김정현?오영태?김홍상?박우신(2002), "자전거 교통류의 기본 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9-26. 

  8. 손영태?이진각?이상화?김홍상(2007), "자전거 이용자 행태 반영을 위한 신호교차로에서의 자전거 횡단시간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9권 제3호, 한국도로학회, pp.83-89. 

  9. 최광현(2009), "자전거 통행을 고려한 교차로 신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최은진?조한선?김응철, "신호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신호운영방안", 대한교통학회 제60회 학술발표회, 대한교통학회, pp.731-736. 

  11. 한원섭?황상호?현철승?이호원?오영태?이철기 (2008), "국내 교통여건을 고려한 자전거전용신호등 도입방안 연구", 한국ITS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한국ITS학회, pp.77-89. 

  12. AASHTO(1999), "Guide for the Development of Bicycle Facilities". 

  13. Alan Wachtel and John Forester, David Pelz(1995), "Signal Clearance Timing for Bicyclists", ITE JORUNAL, pp.38-45. 

  14. Daniel I. Rubins(2005), "Bicycle Clearance Times: A Case Study of the City of Davi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2005. 

  15. Huang Ling and Jianping Wu(2004), "A Study on Cyclist Behavior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5, No 4, pp.293-299. 

  16. Matthew J. Korve and Debbie A. Niemeir(2005), "Benefit-cost analysis of added bicycle phase at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Asce 128 (1), pp.40-48. 

  17. Steven E. Shladover, ZuWhan Kim, Meng Cao, Ashkan Sharafsaleh and Jing-Quan Li(2009), "Bicyclist Intersection Crossing Times", TRB.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