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호교차로의 자전거 좌회전 운영방안 평가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Bicycle Left-turn Traffic Control Strategie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6, 2014년, pp.579 - 588  

이충민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이상수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  조한선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도로본부) ,  남두희 (한성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본 연구는 자전거 좌회전 교통류를 수용한 신호교차로 운영방안으로 Bike Box, Hook-turn, 그리고 6현시의 3가지 방식을 다양한 교통상황 및 조건하에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Bike Box방식과 Hook-turn 방식 모두 대기공간의 크기가 신호운영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비포화와 근포화 교통상황에서 Hook-turn과 Bike Box방식은 자동차지체 차이는 거의 없으나 자전거 지체는 Hook-turn이 Bike Box 방식에 비해 2.5-29.9초/대 높게 나타났다. 6현시 방식은 Bike Box 방식에 비해 자동차와 자전거 지체가 모두 매우 크게 나타났다. 포화 교통상황에서는 Bike Box방식이 Hook-turn과 6현시운영에 비해 자동차지체는 작게 나타났으나, 자전거지체는 자전거 교통량이 700대/시에서 6현시 방식보다 오히려 증가하였다. 자전거지체는 Hook-turn방식은 자전거교통량이 300대/시 이후, Bike Box방식은 500대/시 이후부터 지체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Bike Box와 Hook-turn 방식 모두 대기공간이 증가시 자전거 지체가 매우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동-서 및 북-서 교통량 패턴 모두 Bike Box가 Hook-turn 방식보다 자동차와 자전거 지체가 작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ree signal control strategies such as Bike box, Hook-turn, and 6-phase were assessed for various traffic condition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ncorporating bicycle left-turn traffic. Results showed that the size of a waiting zone mainly affected the performance of signal control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실험 조건에 대한 환경을 제시하고 국내 도로환경에 적용 가능한 대안 들에 대한 운영적 특성을 다양한 교통상황 및 패턴에 대하여 비교·분석하고 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필요성을 바탕으로 자전거 좌회전 교통류를 수용하여 신호교차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에 대한 평가를 다양한 운영조건을 변수로 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평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전거는 차량과 비교하여 약자로 구분하여 자전거에 통행 우선권을 주는 방식을 기준으로 교차로 운영을 설계하였다.

가설 설정

  • 근포화시 1200vph, 포화시 1500vph로 각각 설정되었다. 방향별 비율은 좌회전 20%, 직진 80%로 동일하게 가정하였고. 차량 교통량은 고정된 상태에서 자전거의 교통량을 100대부터 700대까지 100대씩 늘려가며 교통량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정안전부는 자전거와 관련하여 어떤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 행정안전부와 국토해양부의 주도아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서는 각종 자전거 정책을 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시민의 출퇴근, 쇼핑 등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자전거길로 전국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국가자전거도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사업」의 사업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총연장 3,120km의 자전거도로를 계획하고 있다.
국가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사업은 자전거 도로 구축을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가? 행정안전부는 시민의 출퇴근, 쇼핑 등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자전거길로 전국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국가자전거도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사업」의 사업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총연장 3,120km의 자전거도로를 계획하고 있다.
도로교통법 제 25조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현재 도로교통법 제 25조에서는 “자전거의 운전자는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도로의 우측 가장자리로 붙어 서행하면서 교차로의 가장자리 부분을 이용하여 좌회전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자전거의 통행보다 자동차의 통행을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규정은 향후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전제로 할 때 수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자전거 좌회전 교통류의 교차로 통행방법이 운영 효율성 측면에서 적합한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i K. H. (2009), A Study on the Signal Control for Bicycle Traffic at Signalized Intersection,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 Department of Transport (2010), Know Your Traffic Signs, England. 

  3. Heo H. B., Kim E. C. (2011), A Study on Bike Signal Operation Methods at Three-Legged Intersections, J. Korean Soc. Transp., 29(5),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7-167. 

  4. Joo D. H., Yeo W. W., Hyun C. S., Park B. H., Lee C. K., Ha D. I. (2010), A Study for Minimum Requirements Time of Bicycle Signal Clearance Interval, J. the Korea Inst. of ITS, 9(5), 59-66. 

  5. Kim T. K. (2009), Study on the Bicycle Signal Oper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ncluding Bicycle Lanes, Master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6. Lee J. H. (2010), A Study on the Location of Waiting Space for Bicycle's Hook-turn at the Intersection,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7. Liu H., Zhang J., Cheng D. (2008), Analytical Approach to Evaluating Transit Signal Priority, J. Transp. Sys. Eng. and Info. Tech., 8(2), Elsevier, 48-57. 

  8. Liu P., Yu Q., Rong J., Liu X., Liu J. (2010), Semi-Actuated Signal Algorithm Study for Two-Phase Signalized Intersections, Proc. of the 10th Int. Conf. of Chinese Transp. Prof.(ICCTP), 2086-2097, Beijing.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National Standards on Cycling Structures and Facilities in Korea. 

  10.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3),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11. Moeur R. C. (1999), Bicycle-Specific Traffic Control, http://www.richardcmoeur.com/docs/bikespectrfctrl.pdf. 

  12. Mok S. J., Kim E. C., Heo H. B. (2013),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Bicycle Traffic Flow at Four-legged Intersections, J. Highway Eng., 15(3),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77-189. 

  13. National Police Agency (2010), Advanced Plans for Road Traffic Control. 

  14. Shladover S. E., Kim Z., Cao M., Sharafsaleh A., Li J. (2009), Bicyclist Intersection Crossing Times: Quantitative Measurements for Selecting Signal Timing, TRR 2128, TRB, 86-95. 

  15. Yu Q., Shi L. (2011), Study on Bicycle Signal Timing Algorithm at Signalized Intersection, Applied Mechanics and Materials, 71, 4044-40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