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부민간인 통제구역에서 4가지 둠벙 유형에 따른 수환경 특성과 습생식물 군집의 유사성 분석
Water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y analysis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in 4 types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3 no.3, 2011년, pp.581 - 591  

김승호 (금촌중학교.DMZ생태연구소) ,  김재현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승호 등(2011)에 의해 제안된 둠벙의 유형이 화학적 수환경 특성과 습지식물의 서식 유무를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4가지 유형을 대표하는 CCZ 내 8개의 둠벙에서 습지식물상과 물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샘통형 둠벙에서는 양이온음이온의 농도가 모두 낮았으며, 다른 유형의 둠벙에서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농도가 높았다. 특히 물흐름형 둠벙인 경의선 둠벙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이 모두 높게 나타나 지표수가 주로 유입됨을 보여주었다. 대체적으로 물의 화학적 특성과 습지식물상은 둠벙의 유형 분류에 따라 나누어짐을 보였다. 그러나 CCA와 cluster analysis 모두에서 물흐름형 둠벙은 서로 연관성이 없게 나타났다. 이는 둠벙의 분류 시 논과의 물교환보다 급수원이 더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를 반영하는 새로운 둠벙 분류체계가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pond type and chemical water characteristics and wetland flora, we investigated 8 small irrigation ponds in CCZ, which represent 4 types of irrigation ponds. Cation and anion concentrations in water were low at spring type ponds and cation or anion concentration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승호 등(2011)에 의해 제안된 둠벙의 각 유형에 따라 선택된 둠벙에 서식하는 습지식물과 물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둠벙의 유형별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식물과 물의 화학적 특성은 둠벙에 서식하는 수서곤충, 어류, 그리고 양서류의 서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승헌 등 2010).
  • 특히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습지 유형을 구분하는 습지 분류 체계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습지에 서식하는 생물 특히 식생의 특성에 따라 습지가 유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김승호 등(2011)에 의해 제안된 4가지 둠벙 유형에 따라 식생이 서로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화학적 수환경 특성과 식물군집을 근거로 할 때에도 둠벙은 기존의 유형에 따라 유별되어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파주 민간인 통제 구역에 존재하는 둠벙 중 네 가지 유형의 둠벙을 선택하여 이곳의 화학적 수환경 특성과 서식하는 습생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여 이들에 따라 둠벙을 cluster analysis할 때 이미 제안된 둠벙의 유형에 따라 분리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승호 등(2011)은 파주 민간인 통제 구역에 존재하는 둠벙을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나눈 4가지 유형은? 김승호 등(2011)은 파주 민간인 통제 구역에 존재하는 둠벙을 수문학적 특성에 따라 4가지 유형(샘통둠벙, 괸물둠벙, 물흐름둠벙, 괸물샘통둠벙)으로 나누었다. 여기에서 구분 요소로 사용된 것은 주로 수위변화와 논과의 물교환, 그리고 급수원인데, 급수원은 생물의 서식조건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하다(Steven and Toner 2004, 홍선기등 2005).
외국의 경우 생물과 환경의 관계는 어떤 분석을 통해 이뤄지는가? 외국의 경우 생물과 환경의 관계는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rdination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ter Braak 1987), cluster analysis를 이용하여 비슷한 생물군집이 서식하는 습지를 유집하였다(Zimmer et al. 2000).
구분 요소로 사용된 것은 주로 수위변화와 논과의 물교환, 그리고 급수원인데, 급수원은 생물의 서식조건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하고 한 이유는? 여기에서 구분 요소로 사용된 것은 주로 수위변화와 논과의 물교환, 그리고 급수원인데, 급수원은 생물의 서식조건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하다(Steven and Toner 2004, 홍선기등 2005). 이는 급수원에 따라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양분의 성분과 함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지하수가 항상 공급되는 곳은 수온변화가 적어 여름이나 겨울철에는 다양한 생물의 피난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민정, 김철수, 오경환. 1007. 우포늪에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식물상, 현존식생도 및 1차 생산. 한국습지학회지 9(2): 45-56. 

  2. 국립수목원. 2009. 한국 희귀식물 목록집. 

  3. 김승호, 김재현, 김재근. 2011. 서부 민통선 통제구역에 존재하는 둠벙의 유형분류. 한국습지학회지 13(2): 275-289. 

  4. 김재근. 2009.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 I. 소황병산늪. 한국습지학회지 11(1): 15-28. 

  5. 김창환, 이경보, 조두성, 명현. 2006. 전북 만경강하구역 일대의 염습지 식물상 및 식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289-298. 

  6. 유주한, 박경훈, 윤영칠, 송봉근. 2009.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습지학회지 11(2): 29-38. 

  7. 이승헌, 김재옥, 신현상, 장규상. 2010. 논 생태복원을 위해 설치한 둠벙의 토양 특성.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 초록집, p. 204. 

  8. 이창복. 1998.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 임동옥, 조원철, 최현우. 2009.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 습지의 식물자원. 한국습지학회지 11(2): 17-28. 

  10. 전승훈. 2008. 경기도 성남시 도시지역 습지의 유형 분포 및 습지식물의 특성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59-172. 

  11. 홍선기, 강호정, 김은식, 김재근, 김창회, 이은주, 이재천, 이점숙, 임병선, 정연숙, 정흥락. 2005. 생태복원공학 - 서식지와 생태공간의 보전관리. 라이프사이언스. 

  12. DeKeyser ES, Kirby DR, Ell MJ. 2003. An index of plant community integrity: development of the methodology for assessing prairie wetland plant communities. Ecological Indicators 3: 119-133. 

  13. Jean M, Bouchard A. 1993. Riverine wetland vegetation: importance of small-scale and large-scale environmental variatio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4: 609-620. 

  14. Kamphake LJ, Hannah SA, Cohen JM.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earch 1(3): 205-216. 

  15. Kusuda S, Noboru K. 2009. Upstream-migrating loach in the fishway for a rice paddy. Fish Water 45: 19-22. 

  16. Lee BA, Kwon GJ, Kim JG. 2007. The optimal environmental ranges for wetland plants: II. Scirpus tabernaemontani and Typha latifoli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0(2): 151-159. 

  17. Liddicoat ML, Tibbits MI, Butler EI. 1975. The determination of ammonia in seawater. Limnology and Oceanography 20(1): 131-132. 

  18. Nicoleta P, Biggsa J, Foxa G, Hodsonb MJ, Reynoldsc C, Whitfielda M, Williamsa P. 2004. The wetland plant and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of temporary ponds in England and Wales. Biological Conservation 120: 261-278. 

  19. Schlesinger WH. 1991. Biogeochemistry: an AQnalysis of Global Change 2nd ed. Academic Press. San Diego 

  20.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ogy and Oceanography 14: 799-801. 

  21. Steven DD, Toner MM. 2004. Vegetation of upper coastal plain depression wetlands: environmental templates and wetland dynamics within a landscape framework. Wetlands 24(1): 23-42. 

  22. ter Braak CJF. 1987. The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by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Vegetatio 69: 69-77. 

  23. Yoon J, Kim H, Nam JM, Kim JG. 2011.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2): 223-235. 

  24. Zelnik I, Potisek M, Gabersik A. 2011.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crophytes of karst ponds. Book of Abstract, Joint Meeting of Society of Wetland Scientists, WETPOL and Wetland Biogeochemistry symposium, 3-8 July 2011, Prague, Czech Republic, p. 365. 

  25. Zimmer KD, Hanson MA, Butler MG. 2000. Factors influencing invertebrate communities in prairie wetlands: a multivariate approach. Canadian Journal of Fishery and Aquatic Science 57: 76-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