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부 민간인 통제구역에 존재하는 둠벙의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3 no.2, 2011년, pp.275 - 289  

김승호 (금촌중학교, DMZ생태연구소) ,  김재현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파주시 민간인 통제구역 내에 존재하는 둠벙의 수문 지형학적 분류를 위해 둠벙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을 논농사에 이용하는 둠벙을 조사한 결과 모두 85개가 존재하였다. 조사된 둠벙을 수문학적 특성 중 계절별 수위변화 정도에 따라 나누면, 계절에 따라 수위가 크게 변하는 둠벙은 52개, 계절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둠벙이 33개였다. 수원에 따라 분류하면 강수 의존 지표수인 경우가 12개, 지하수와 지표수인 경우가 29개, 지하수만인 경우가 44개였다. 4개는 산지에 33개는 평지에 48개는 계곡에 위치하였다. 40개는 논과 물의 교환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45개는 수위가 변함에 따라 교환이 일어났다. 멸종위기종 또는 특산종이 서식하는 둠벙은 모두 26개였으며, 주로 수위가 일정하며, 지하수를 수원으로 가지는 둠벙에 해당하였다. 이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둠벙을 샘통형, 물흐름형, 괸물샘통형, 괸물형으로 나누는 방법을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둠벙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이들을 체계적으로 조사 정리하여, 둠벙을 유형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irrigation ponds in civilian control zone of Paju city in Korea. Among 85 small irrigation ponds, water level of 52 ponds changed seasonally and that of 33 was constant. Water sources of 12 ponds were surface water, 29 s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진강 하구 습지를 대표하는 것은? 서부 비무장지대 일원에는 다양한 습지가 존재 한다. 이 중 임진강의 하중도인 초평도습지와 배후습지인 장단반도습지는 임진강 하구 습지를 대표한다. 이외에도 한강과 임진강을 중심으로 산남 습지, 공릉천하구습지, 성동리습지, 장단습지, 문산습지, 임진각습지, 초평도습지, 장좌못, 장못 등의 습지와 민간인 통제구역의 내륙습지가 존재하며, 이들은 다양한 생물종 서식공간으로 그 가치가 높다(김귀곤 2010).
비무장지대 일원은 다양성이 매우 높으며 생태적 가치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이유는 무엇인가? 비무장지대 일원은 한국전쟁이후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기 때문에 지난 60여 년간 한반도에서 인간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곳이다. 그러므로 비무장지대 일원은 생물종 다양성이 매우 높으며 생태적 가치 또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둠벙의 기능은 무엇인가? 둠벙은 지하에서 샘이 있는 곳에 물을 가두어 농사에 활용하는 작은 공간을 주로 일컬어 왔지만 (장희자 2009), 천수답에 의존하여 논농사를 지을 때 용수를 일시적으로 가두어 두는 물 저장고를 일반적으로 일컫는다. 둠벙은 물 저장기능뿐만 아니라 홍수조절, 수서생물의 서식처, 부유물질, 질소, 인 등을 제거하는 수질정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2004). 그러므로 최근에는 지자체에서 둠벙의 생태적 기능을 인정하고 친환경 농업 육성과 연계하여 둠벙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김재옥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구본학. 2002. 습지유형분류 및 도면화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구본학, 김귀곤. 2001.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 -내륙습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11-25. 

  3. 김귀곤. 2010. 평화와 생명의 땅. 드림미디어. 

  4. 김재옥, 신현상, 유지현, 이승헌, 장규상, 김범철. 2011. 논 중간 낙수기에 미꾸라지 피난처로서 둠벙의 기능 평가.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0(1): 37-42. 

  5. 농촌진흥청. 2008. 논생태계 수서무척추동물 도감 (증보판). 

  6. 문산기상대. 2011. 기후특성. http://web.kma.go.kr/aboutkma/intro/daejeon/daejeon_affiliated_05.jsp accessed on 2011. 7. 26 

  7. 박광래, 정원교, 최재웅, 김영. 2009. 논 생태계 내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초록집, p 291. 

  8. 손진관, 김남춘, 강방훈. 2010.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유형분류 및 기능평가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3(6): 117-131. 

  9. 이승헌, 김재옥, 신현상, 장규상. 2010. 논 생태복원을 위해 설치한 둠벙의 토양 특성.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 초록집, p 204. 

  10. 장희자. 2009. 둠벙 이야기. 신작수필 21인선, 문예운동 겨울호. pp 366-368. 

  11. 주위홍, 구본학. 2006. 습지 유형 분류 체계별 습지 분류 특성-두만강과 한강을 사례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9(6): 152-161. 

  12. 주위홍, 김귀곤. 2002. 중국 두만강 하류 유역의 습지 분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5(1): 35-50. 

  13. 파주시 군내출장소. 2011. 양수펌프장 물 공급 현황. 

  14. 파주시. 2008. 2008 파주시 통계연보. 

  15. 환경부, 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8.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 연구. 

  16. 환경부. 2010. DMZ일원 "보호지역" 5개소 지정 추진. 2010년 8월 30일 환경부 보도자료. 

  17. Cowardin LM, Carter V, Golet FC. LaRoe E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USA. 

  18. Jung MR. 2010. A Study of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udfish Inhabited in Rice Field.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Cheongwon, Korea. 

  19. Kim JG. 1999. Paleoecological Studies for Assessment of Anthropogenic Impacts in Montane, Mediterranean, and Tropical Marshes.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USA. 

  20. Kusuda S, Noboru K. 2009. Upstreammigrating loach in the fishway for a rice paddy. Fish Water 45: 19-22. 

  21. Lee DW. 2004. Ecological Signification for Landscape of Tradition Villag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23-25, 

  22. Mitsch WJ, Gosselink JG. 2007. Wetlands 4th ed. Wiley, New York, USA. 

  23.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06. The Ramsar Convention Manual: a guide to the Convention on Wetlands (Ramsar, Iran, 1971), 4th ed.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Gland, Switzerland. 

  24. Scheffer M, van Geest GJ. 2006. Small habitat size and isolation can promote species richness: second-order effects on biodiversity in shallow lakes and ponds. Oikos 112: 227-231. 

  25. Yoon J, Kim H, Nam JM, Kim JG. 2011. Optimal environmental range for Juncus effusus, an important plant species in an endangered insect species (Nannopya pygmaea) habitat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 22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