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름나물이 서식하는 동해안 석호 습지인 선유담의 생태적 특성 및 보전방안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Menyanthes trifoliata Habitat in Floating Mat in Korean East Coastal Lagoon, Sunyoodam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1, 2013년, pp.25 - 34  

김흥태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이광문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안 석호 습지인 선유담에서 조름나물이 서식하는 부유성 매트를 중심으로 조름나물 서식지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 서식지를 보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식생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유성 매트의 조름나물 서식지를 중심으로 방형구를 이용한 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부유성 매트의 두께 및 수위, 깊이별 유기물 함량을 조사하였다. 표층수의 pH, DO, EC, TDS를 측정하고, 인산, 질산, 암모늄, Ca, K, Na, Mg의 양을 분석하였다. 선유담에는 총 78분류군의 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부유성 매트의 조름나물 서식지에서 조름나물의 평균 피도는 62.6%, 평균 shoot 밀도는 71.2개/$m^2$로서 중요한 수반종은 갈대였다. 부유성 매트의 평균깊이는 조름나물 순군락에서 26.5cm, 갈대-조름나물 군락에서 68.9cm였으며, 매트 아래 수위는 각각 106.5cm와 17.7cm였다. 매트의 유기물 함량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여 5cm 깊이에서는 73.7%, 이후 40cm 깊이까지는 43.5~54.6%, 40~60cm 깊이에서는 19.3~21.3%의 범위를 보였다. 표층수의 pH, DO, EC, TDS는 각각 5.06, 46.1%, 59.4 ${\mu}s/cm$, 29.3 mg/L였다. 물에서 인산, 질산, 암모늄의 농도는 각각 47.2, 9321, 15.9 ${\mu}g/L$였으며, Ca, K, Na, Mg의 농도는 11.1, 1.5, 15.1, 11.3 mg/L으로 확인되었다. 습지형 석호인 선유담의 조름나물 서식지는 Hewett의 분류에서 저지대 군락의 일종에 해당한다. 선유담 습지의 조름나물 서식지를 보전하기 위하여 개방수면의 확보, 관찰로 설치, 오염물 유입을 막기 위한 주변 농지로부터의 유입수 차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Menyanthes trifoliata habitat in coastal lagoons. To characterize plant composition in the habitats in the lagoon, the plot sampling method was applied. The depths of water and floating mat were measured. Surface water quality factors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름나물이 서식하는 동해안 석호 습지인 선유담에서 조름나물이 자라고 있는 부유성 매트 지역을 중심으로 서식지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멸종위기보호야생동·식물 Ⅱ급인 조름나물의 선유담 서식지를 보전하기 위한 방안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호의 특징은 무엇인가? 석호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면서 형성된 독특한 형태의 기수 환경에 적응하는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기 때문에 생물다양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Um, 1998). 이러한 석호는 퇴적작용으로 인하여 호수에서 습지로 천이된 후 육지로 변화하는 육상화 단계를 거치며, 우리나라 동해안의 습지형 석호는 조름나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된 선유담과 봉포호를 비롯하여 8개 정도로 보고되 었다(Park, 2006).
일본에서 이루어진 조름나물의 생육에 미치는 서식 기질과 동반종의 영향이나 효과적인 증식 기법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조름나물 자생지의 위도보다 낮은 북반구 지방의 저지대에서 조름나물의 서식지를 조성하고 복원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위해 조름나물의 생육에 미치는 서식 기질과 동반종의 영향이나 효과적인 증식 기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Lee, 2011a, 2011b 2012). 일본의 경우는 부유성 이탄 매트에서 조름나물의 생육특성을 밝히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Haraguchi, 1993, 1996, 2004). 그러나 서식지 조성의 모델이 될 수 있는 저지대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을 밝힌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조름나물은 어느 지역에 서식하는가? 조름나물은 우리나라 환경부에서 멸종위기보호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한 보호식물로서, 북반구의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북극권과 북위 40도 사이의 지역에 생육한다. 조름나물 서식지의 남쪽 경계는 유럽에서는 포르투갈과 스페인 중부, 프랑스 남부, 이탈리아 북부, 그리스, 그리고 코카서스와 온난한 시베리아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북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서부의 캘리포니아에서 와이오밍, 네브래스카, 미주리를 거쳐 버지니아 및 메릴랜드에 이르는 지역으로, 위의 서식지에서 조름나물은 약 1,000m 고도의 지역에 위치한 호수, 연못, 수로, 습원 등에 자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ewett, 1964). 일본에서도 조름나물은 북위 38° 이상의 냉온대 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난온대 지방인 일본 남서부 지역에서는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kawa, 1961). 대표적인 예가 북위 35°의 교토시 근방에 위치한 Mizorogaike Pond의 부유성 이탄 매트(floating mat of peat)에 서식하는 조름나물 군락으로, 난온대 지방에서 조름나물이 잔류종(relic species)으로 존재하고 있는 서식지 중의 하나이다(Haraguchi, 2004). 국내에서도 조름나물은 고산습지인 대암산 용늪을 비롯하여 동해안의 일부 해안가 근처 습지형 석호에만 분포하는 등 매우 제한적으로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Kim, 2009; L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oyle, J (2004). A comparison of two methods for estimating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sediments, J. of Paleolimnology, 31(1), pp. 125-127. 

  2. Haraguchi, A (1991). Effect of flooding-drawdown cycle on vegetation in a system of floating peat mat and pond, Ecological Research, 6(3), pp. 247-263. 

  3. Haraguchi, A (1993). Phenotypic and phenological plasticity of an aquatic macrophyte Menyanthes trifoliata L., J. of Plant Research, 106(1), pp. 31-35. 

  4. Haraguchi, A (1996). Rhizome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L. in a population on a floating peat mat in mizorogaike pond, Central Japan, Aquatic Botany, 53 (3-4), pp. 163-173. 

  5. Haraguchi, A (2004). Seasonal changes in redox properties of peat, nutrition and phenology of Menyanthes trifoliata L. in a floating peat mat in Mizorogaike pond, Central Japan, Aquatic Ecology, 38(3), pp. 351-357. 

  6. Haraguchi, A and Matsui, K (1990). Nutrient dynamics in a floating mat and pond 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vegetation, Ecological Research, 5(1), pp. 63-79. 

  7. Hewett, DG (1964). Menyanthes trifoliata L., J. of Ecology, 52(3), pp. 723-735. 

  8. Kamphake, LJ, Hannah, SA, and Cohen, JM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earch, 1(3), pp. 205-216. 

  9. Kim, HY (2009). Change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Hydrosere Processes and the Evaluation of Successional State of the 18 Lagoon located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Master's Thesis, 

  10. Gangneung University, pp. 1-137. [Korean Literature] Kokawa, S (1961). Distribution and phytostratigraphy of Menyanthes remains in Japan, J. of Biology Osaka City University, 12, pp. 123-151. 

  11. Lee, GM and Kim, JG (2011a). Effects of habitat substrates on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J. of Wetlands Research, 13(2), pp. 355-362. [Korean Literature] 

  12. Lee, GM and Kim, JG (2011b). Effects of habitat substrates and companion species on the growth of Menyanthes trifoliata, J. of Wetlands Research, 13(3), pp. 613-621. [Korean Literature] 

  13. Lee, GM and Kim, JG (2012). Effects of rhizome length and node numbers on the proliferation of Menyanthes trifoliata cuttings, J. of Wetlands Research, 14(2), pp. 193-198. [Korean Literature] 

  14. Lee, HHM and Kwon, P (2002). Development of floatingislands with a sod mat by shooting and rooting from shoot nodes of common reed, J.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 Revegetation Technology, 5(1), pp. 59-65. [Korean Literature] 

  15. Liddicoat, ML, Tibbits, MI and Butler, EI (1975). The determination of ammonia in seawater, Limnology and Oceanography, 20(1), pp. 131-132. 

  16. Lim, YS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ydrophytes in Korea, Doctoral Thesis, Soon Chun Hyang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General Investigation for Inland Wetlands across the Nation in 2010, Ministry of Environment, pp. 606-609. [Korean Literature] 

  18. Park, CG (2006). Present condition and conservation countermeasure for eastern lagoons, J. of Wetlands Research, 8(1), pp. 21-31. [Korean Literature] 

  19. Rejmankova, E (2011). The role of macrophytes in wetland ecosystems, J.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4), pp. 333-345. 

  20. Solorzano, L (1969). Determination of ammonia in natural waters by the phenolhypochlorite method, Limnology and Oceanography, 14(5), pp. 799-801. 

  21. Um, JH (1998).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local changes of lagoon, Maiho in East Sea, J.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6(2), pp. 95-110. [Korean Literature] 

  22.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WREO). (2008). A Detail Survey and Study on the Management Practices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astern Lagoon Eco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23. Yoon, SO, Hwang, S, Park CS, Kim, HS and Moon, YR (2008). Landscape change of coastal lagoons during the 20th century in the middle east coast, South Korea, J.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4), pp. 449-465.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