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해안지역의 난온대성 상록활엽수 겨울철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미기후 요인
A Study on Wintering Microclimate Factor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Coastal Area of Incheon, Ko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5, 2019년, pp.66 - 77  

김정철 (시흥시청 공원계획팀) ,  김도균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천해안지역의 난온대성 상록활엽수 겨울철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미기후 요인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도출하였다. 인천 해안지역 서구 오류동~남동구 고잔동의 온량지수$98.9^{\circ}C{\cdot}month{\sim}109.0^{\circ}C{\cdot}month$이었고, 1월 평균기온 $-2.9^{\circ}C{\sim}-1.6^{\circ}C$, 최한월 최저기온 $-13.9^{\circ}C{\sim}-3.6^{\circ}C$ 수준으로, 상록활엽수 분포기준인 온량지수 $101.0^{\circ}C{\cdot}month{\sim}117.0^{\circ}C{\cdot}month$, 최한월 최저기온 $-9.2^{\circ}C$이하로 상록활엽수가 생장하기 부적합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상록활엽수가 생장하는 공간에 도달하는 풍속의 저감정도와 가온효과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상록활엽수 생장공간에서는 겨울 북서풍이 건축물 등에 의해 해안풍속이 8.6m/sec에서 도달풍속은 5~7m/sec로 완화되었고, 건축물 1m 이내에서는 건축물 복사에너지의 영향으로 $1.1^{\circ}C{\sim}3.4^{\circ}C$ 가량의 가온효과가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결과, 상록활엽수의 겨울철 생장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는 풍속으로, 차폐에 의한 풍속저감과 함께 건축물에 의한 국부적 가온효과가 상록활엽수의 겨울생장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인천 해안지역에 생장하고 있는 상록활엽수는 중부지방의 겨울철 저온에 점진적으로 식물이 적응하는 순화의 과정으로 판단할 수 있었고, 기온이 $-18.0^{\circ}C$ 이하의 겨울한파에 견디는 내동능력과 바람에 의한 증발산을 견딜 수 있는 동건해(凍乾害)에 내성이 상록활엽수 겨울 생장을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wintering evergreen broad-leaf trees in the Incheon coastal area through a climate analysis. The coldest monthly mean air temperature ranged from $-2.9^{\circ}C{\sim}-1.6^{\circ}C$. The warmth index of the coastal area of Incheon ranged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인천 해안지역에 상록활엽수 도입가능 여부에 대한 추측성 논란을 불식시키고, 상록활엽수 도입을 위한 식재공간환경 조성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온대성 상록활엽수는 무엇인가? 난온대성 상록활엽수(이하 ‘상록활엽수’라고 한다)는 따뜻한 난온대 지방에 자연 분포하고, 사계절 관상적 가치가 커, 도입을 선호하는 기능성 조경소재(Shin et al., 2014)이다. 인천지방은 겨울철 적응이 어려워 조경식재나 해안림 등으로 식재하는것이 제한적이었다.
인천 해안지역의 상록활엽수 적응하지 못한 요인은 무엇 때문인가? 인천 해안지역의 상록활엽수가 부분적으로 도입되거나 또는 대부분 적응하지 못하고 고사하거나 퇴화되는것은 겨울철 기온,바람 등의기후 요인 때문으로 추정되어 왔다. 그러나 인천 해안지역 상록활엽수의 겨울철 생장에 어떤 기후 요인에 의해 겨울 생장을 유지해 왔는지에 대한 연구자료를 찾아보기 어렵다.
난온대성 상록활엽수가 인천지방에선 어떠한가? , 2014)이다. 인천지방은 겨울철 적응이 어려워 조경식재나 해안림 등으로 식재하는것이 제한적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ruse, M. and H. Fleer(1998) Simulating surface -plant-air interactions inside urban environments with a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Environmental Software and Modelling 13: 373-384. 

  2. Kim, B. D.(2016) Distributional Changes of Forest Vegetation Zones and Broad-Leaved Evergreen Species of Lauraceae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iersity. 

  3. Kim, D. W., J. K. Kim and E. H. Jung(2010) An analysis of microclimate environmental changes followed by establishment of an urban park- Focused on the junggu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de 11(2): 77-94. 

  4. Kim, J. C.(2018) A Feasibility Study on Planting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Coastal Area of Gyeonggi Bay, in Korea. Ph.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unchon National Univiersity. 

  5. Kong, W. S.(2005) Selection of vulnerable indicator plants by global warming.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2(2-1): 263-273. 

  6. Koo, K. A., W. S. Kong and J. K. Kim(2001)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plants and climatic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6(3): 247-257. 

  7. Kozlowski, T. T., P. J. Kranmer and S. G. Pallardy(1991)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Woody Plants. Academic Press, N.Y.: 123-302. 

  8. Kwon, J. O.(2013) Possibility of introducing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Incheon. Reach of Incheon 7(2013): 87-111. 

  9. Lee, J. Y.(2012) "Gruenflaechen and Wasserflaechen in Stadtgebieten-Ein landschaftsoekologischer Vergleich in Korea und Deutschland zur Aspekte der Gestaltung, Nutzung und des Managements". Dissertationsprojekt: TU Dortmund. 

  10. Lee, K. J., C. H. Ryu and S. H. Kim(1991) A study on the judgment of tree damage by environmental pollution sour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991 Academic Paper Collection 2: 20-22. 

  11. Lee, K. W. and D. G. Kim(2017) Freezing injur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warm-temperature in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20(1): 77-96. 

  12. Lim, I. H., E. J. Hwang and J. H. Ryu(2011) A study on the effects of high embankment road on the microclimatic environment. Korean Society of Disaster & Security 4(1): 29-37. 

  1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1988)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Biomarker Metho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Roport(Han sang-wook). 

  14. Park, S. G., Y. J. Myeong, S. G. Ju and G. S. Back(2015) Range analysis of possible planting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for landscaping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5 Spring Academic Paper Collection: 114-115. 

  15. Research Institute of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2010) The climate change policy proposals composition Kangwon roadside tree. Research Institute of Climate Change Countermeasure Report: 1-223. 

  16. Sakai, A.(1982) Cold Tolerance and Cold Adaptation of Plants : Physiology and Ecology of Winter. Academic Publishing Center, Tokyo, 1-469. 

  17. Shin, H. C., J. H. Yeun, S. M.. Choi, Y. B. Park, K. O. Choi, J. H. Lee and E. J. Jin(2014) Development of landscaping tree for indoor cultivation, using evergreen broad -leaved species. National Forest Research Institute Report 14-17: 1-170. 

  18. Soe, H. W.(1997) A Study on the Reproductive Growth and Seed Germination of Machilus thunbergii.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unchon National Univiersity. 

  19. Stefan L. and B. Thomas(2007) Landscaftsanalyse Mit GIS. Stuttgart: UTB GmbH. 

  20. Yun, J. H., K. Nakao, C. H. Park and B. Y. Lee(2011) Potential habitats and change prediction of 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in Korea by 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6): 904-907. 

  21. 吉良龍夫(1976) 陸上生態系槪論(講座2:12-47). 東京: 共立出版. 

  22. Http://sts.km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