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연서비스에 대한 관람객의 순차적 기대 및 성과와 만족 간 관계 분석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Audience Expectation and Outcomes in Performing Ar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2, 2011년, pp.287 - 302  

권혁인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  주희엽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  김만진 (중앙대학교 경영학과) ,  이현정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  이지애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공연분야 중에서 뮤지컬이란 경험재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만족을 느끼는 과정을 기대불일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대와 성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석하여, 주변적인 요소에 대한 기대와 성과를 1차적 기대와 성과로, 공연자체의 콘텐츠, 관람상황에 대한 기대와 성과를 2차적 기대와 성과로 구분하여 관람객들의 만족에 미치는 과정을 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연을 보고나서 느끼는 만족에 최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2차적 성과 즉, 공연콘텐츠와 관람상황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동시에 공연장이나 서비스 등의 주변적 요인들에 대한 기대는 2차적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곧 2차적 성과에 영향을 줌으로써 만족에까지 영향이 미쳤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1차적인 성과는 2차적 기대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 공연장이나 기타 공연을 보기 전의 서비스들은 크게 관람객의 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밝힘으로서 공연장 경영을 위한 단초를 제공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analyzed audience satisfaction procedures in performing art, specifically in musical, in terms of Expectation Disconfirmation Theory. We analyzed one's expectations and outcomes over time; we first classified audience expectations and outcomes about environmental elements as 'th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연관람 전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경험재에 대한 1차적 기대와 성과(주변적 서비스 품질요인)가 공연관람시 발생하는 2차적 기대와 성과(핵심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최종적으로 2차적 성과가 사용자 만족을 결정한다는 기대와 성과의 매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한다.
  • 뮤지컬공연을 본 경험이 있는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응답자들은 자신들이 최근에 본 뮤지컬 공연을 떠올리면서 설문에 답하게 하였다. [표 2]와 [표 3]과 같이 1차적으로 공연을 보기 전 또는 공연을 보는 중 생겼던 기대에 대해 질문을 하고, 2차로 공연을 보고 난 후 각 요인들에 대해 인지한 수준과 만족정도에 대해 측정하였다.
  • Hirschman[28]은 쾌락재의 평가는 SERVQUAL과 같은 객관적 측정이 아니라 좀 더 주관적인 측정에 의존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였다[29]. 본 연구에서는 공연 관람경험을 이루는 요소들을 SERVQUAL의 항목을 차용하되 크게 공연자체의 특성과 주변적인 특성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본다.
  • 본 연구에서는 공연분야 중에도 뮤지컬이란 경험재(Experience products)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만족을 느끼는 과정을 기대불일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마케팅 분야에서 일반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 결정에 대한 연구[40][41], 그 결정과정에 관련된 소비자의 기대불일치에 관한 연구[15][16][42], 공연산업에서의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43], 핵심서비스 품질과 주변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35][44][45]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연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결과론적인 접근이 아니라 기대와 성과가 소용돌이치듯 변해가는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만족을 경험한다는 경험재적 특성을 반영하여[6], 기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변적인 요소에 대한 기대와 성과를 1차적 기대와 성과로, 공연자체의 콘텐츠, 관람상황에 대한 기대와 성과를 2차적 기대와 성과로 구분하여 관람객들의 만족에 미치는 과정을 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과 소비자행동 및 심리영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기대 패러다임과 기대불일치 이론 등을 바탕으로 공연관람에 있어 기대와 성과가 어떻게 관객들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공연이 한번 구매하고 끝나는 일반적인 제품과는 달리 여행과 같이 경험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기대와 성과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경험재(Experience good)임을 주지하여 Bowen[6]이 제시한 소용돌이 모형으로부터 1차적 기대와 성과, 2차적 기대와 성과로 각각 구분하였다.

가설 설정

  • H1: 1차적 기대는 1차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1차적 기대는 2차적 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1차적 성과는 2차적 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2차적 기대는 2차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2차적 기대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2차적 성과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위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 가설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기대에서부터 성과, 2차적 성과, 공연 체험, 그리고 만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은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계성을 이룰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연제작에 필요한 비용 중 매표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공연을 영화, 음악 등 타 문화산업과 달리 산업이 아닌 예술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나 최근 들어 뮤지컬, 오페라, 콘서트 등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공연예술도 점차 산업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연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공연기획 및 제작자에 대한 관객확대 압력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공연제작에 필요한 비용 중 매표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50~60%에 이르기 때문이다[2].
공연예술이 다른 문화콘텐츠들과 차별화되는 점은 무엇이 있는가? 첫째, 공연예술의 가장 큰 특징은 실연, 현장성에 있다[7][8]. 즉, 관객과 창조자가 근거리에서 마주보며 함께 호흡하고 의사소통을 하기 때문에 감정의 전이가 빠르고 그 교류의 정도, 현장의 분위기가 어떠냐에 따라 그 공연이 달라지며, 공연물 모두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관중의 참여를 전제로 하여 그 현장성과 실연을 특징으로 삼을 수 있다[9]. 둘째, 모든 공연은 똑같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없는 일회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8][10][11]. 공연자 자신의 느낌이나 표현방법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고, 관객과 교감하는 분위기 역시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장기간 동안 롱런하는 공연일지라도 완벽하게 같은 감흥을 줄 수는 없다[10]. 셋째, 공연 예술은 예술가의 고유한 창작활동이면서, 동시에 집단적으로 소비되는 형태의 한 분류라고 할 수 있다[8]. 공연 예술은 한사람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여러 분야의 사람들의 도움으로 하나의 작품이 창작되는 종합예술이다. 넷째, 공연예술은 그 현장에서의 공연이 끝나면 프로그램이나, 사진, 영상자료와 관객들에 기억 속에서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11]. 즉, 공연하는 시점에서만이 그 감동이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형체를 가진 무대 예술임에도 불구하고 소비한 상품을 손에 잡을 수 없는 무형성의 특징을 가진다. 이는 예술 소비의 특징인 허구적 기호의 소비와도 관계된다[12]. 여섯째, 시간제한성으로 공연예술은 소비 시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서비스 상품과는 다른 특성이며,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는 구매자가 아무리 원해도 구매할 수가 없다[12][13].
공연예술이란 무엇인가? 공연예술은 공연 콘텐츠를 기획, 제작, 공연, 유통과 관련된 모든 산업을 말하는 것으로, 공연예술에 효율성과 수익성 등 산업의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또한 연기자와 관객이 같은 공간에서 상호 교감한다는 점에서 영화 등 다른 콘텐츠와 차이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박소현, 2011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2. 김소영, 곽영식, 김용준, “Mixture Model을 이용한 공연관람고객의 시장세분화", 광고학연구(한국광고학회), 제14권, 제5호, pp.49-74, 2003. 

  3. 강미선, "무용 공연 환경이 공연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제6권, 제1호, pp.1-9, 2006. 

  4. 정옥조, 조송현, 장경로, “무용 공연의 관람환경과 관람 지속욕구 및 관람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한국체육학회), 제43권, 제3호, pp.549-567, 2004. 

  5. E. Duncan and G. Eliot, “Customer Service Qua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among Australian Retail Financial Institutions", Journal of Financial Services Marketing, Vol.7, No.1, pp.25-41, 2002. 

  6. D. Bowen, “Research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ourism: A Creative Solution to the Measurement of Consumer Satisfaction / Dissatisfaction (CS/D) among Tourist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41, No.1, pp.4-14, 2002. 

  7. 설현정, 공연예술 기호에 관한 연구 - 무용기획에 따른 마케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8. O. G. Brokett 저, 김윤철 역,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89. 

  9. 고정숙, 전통무용 공연 관람만족요인 및 관여도와 재방문의사와의 관계,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0. 곽시내, 무용공연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 고순선, 공연 예술 현황 분석에 의한 무용 공연활성화 방안,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2. 고희경,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공연예술 소비자의 정보 탐색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3. R. G. Picard, 김지운 역, 미디어 경제학, 나남, 1992. 

  14. 김종욱, 신승균, 김병곤,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기대, 시스템의 지각된 성능, 기대불일치가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4권, 제1호, pp.101-123, 2004(3). 

  15. R. L. Olive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7, No.4, pp.460-469, 1980. 

  16. R. L. Oliver and W. S. Desarbo, "Response Determinants in Satisfaction Judgments",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4, No.4, pp.495-507, 1988. 

  17. J. E. Swan and W. S. Matin, "Testing Comparison Level and Predictive Expectation Models of Satisfac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8, pp.77-82, 1981. 

  18. 김미라, 이기춘,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만족과 기대불일치 모델의 검증", 소비자학연구, 제15권, 제1호, pp.87-110, 2004. 

  19. 신동식, "기대불일치이론을 적용한 테마파크 이용자의 이용만족과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 대안 매력도의 조절효과 검정", 대한관광경영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77-197, 2009. 

  20. A. Parasuraman, V. A. Zeithaml and L. L. Berry,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Vol.49, pp.41-50, 1985. 

  21. C. Gronroos,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Marketing Implic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18, No.4, pp.36-44, 1984. 

  22. A. C. Reddy, B. D. Buskirk and A. Kaicker, "Tangibilizing the intangibles: some strategies for services marketing",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7, No.3, pp.13-17, 1993. 

  23. A. Parasuraman, V. A. Zeithaml and L. L. Berry,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 No.1, pp.12-40, 1988. 

  24. 이유재, 이준엽, "서비스 품질의 측정과 기대효과에 대한 재고찰:KS-SQI모형의 개발과 적용", 마케팅연구, 제16권, 제1호, pp.1-26, 2001. 

  25. L. L. Berry, A PARASURAMAN et al., Marketing Services: Competing Through Quality, New York:Free Preses, 1991. 

  26. J. M. Carman,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n assessment of the SERVQUAL dimensions", Journal of Retailing, Vol.66, pp.33-55, 1990. 

  27. M. Minor, T. Wagner, F. Brewerton and A. Hausman, "Rock on! An elementary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musical performance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18, No.1, pp.7-18, 2004. 

  28. M. B. Holbrook and E. C. Hirschma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 consumer fantasies, feeling,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 pp.132-140, 1982. 

  29. 이종호, 정윤희, "영화관람 경험에서 만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19권, 제2호, 2008. 

  30. J. C. Olson and P. A. Dover, "Disconfirmation of consumer expectations through product tria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4, No.2, pp.179-189, 1979. 

  31. R. L. Oliver, SATISFACTION :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 McGraw-Hill, 1977. 

  32. W. O. Bearden and J. E. Teel, "Selected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complaint repor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0, pp.21-28, 1983. 

  33. A. Gilbert and J. R. Churchill,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6, No.1, pp.64-73, 1979. 

  34. R. B. Woodruff, E. R. Cadotte and R. L. Jenkins, "Modeling Consumer Satisfaction Processes Using Experience-Based Norm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0, No.3, pp.296-304, 1983. 

  35. M. Hume and G. S. Mort, "The consequence of appraisal emotion,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repurchase intent in the performing art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24, No.2, pp.170-182, 2010. 

  36. R. Arora and J. Singer, “Customer Satisfaction and Value as Drivers of Business Success for Fine Dining Restaurants", Services Marketing Quarterly, Vol.28, No.1, pp89-102. 2006. 

  37. C. White and Y. Yu, "Satisfaction Emotions and Consumer Behavior Intention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19, No.6, pp.411-420, 2005. 

  38. J. L. Crompton and K. J. Mackay, "Users' perception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dimensions in selected public recreation programs", Leisure Sciences, Vol.11, No.4, pp.367-375, 1989. 

  39. R. Neelamegham and D. Jain, “Consumer choice process for experience goods: An econometric model and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6, pp.373-386, 1999. 

  40. J. F. Engel and R. D. Blackwell, Consumer behavior, Dryden Press, 1982. 

  41. G. E. Hempel, Marketing Strategies for Beginners, Belvor & Chatter; N.J, 1977. 

  42. G. A. Churchill and C. J. Surprenant, "An Investigation into the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9, pp.491-504, 1982. 

  43. 이유재, 이준엽, 라선아,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행동 연구에 대한 고찰", 경영논집, 제33권, 제3호, pp.308-340, 1999. 

  44. V. A. Zeithaml, L. L. Berry and A. Parasuraman,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Vol.60, pp.31-46. 1996. 

  45. J. A. Fitzsimmons and G. B. Maurer, "A walk-through audit to improve restaurant performance", The Cornell HRA Quarterly, Vol.31, No.4, pp.95-99, 1991. 

  46. W. M. Grove, B. A. Clementz, W. G. Iacono, J. Katsanis, "Smooth pursuit ocular motor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Evidence for a major gene", Am J Psychiatry, Vol.149, pp.1362-1368, 1992. 

  47. R. A. Westbrook, "Product/Consumption-Based Affective Responses and Post-Purchase Proces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4, No.3, pp.258-270, 1987(8). 

  48.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3판), B&M Books, 2005. 

  49. 임종원, 마케팅조사 이렇게, 법문사, 1996. 

  50. 양희동, 최인영, “사회적 영향이 정보 시스템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에서”, 경영정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65-184, 2001. 

  51. L. A. Haydu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Essentials and advance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Marks and Kamins, 1987. 

  52. 김미, 유일, “병원정보시스템의 성공 요인과 성과 모형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2002. 

  53. R. B. Kline,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