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평가도구 비교
A Comparison of Different Depression Instruments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2, 2011년, pp.69 - 76  

이동진 (광주보건대학 물리치료과) ,  심재광 (유성웰니스 요양병원 물리치료실) ,  안승헌 (국립재활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stroke patients and to compar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ating scales -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DR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Depression (HAD.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8 특히 우줄증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장애 요소로 작용함과 동시에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서 우울증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9 본연구는 뇌졸중 후 발생하는 우울증의 빈도를 각 척도별로 분석하여 유병률을 알아보고 구조적 면담을 통해 작성 하는 해밀톤 우울 척도를 기준으로 자가기입방식의 백 우울척도와 병원 불안우울척도의 효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평가도구에 따른 우울증의 빈도를 알아보았고, 우울증 검사에 있어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해밀톤 우울척도, 백 우울척도 그리고 병원 불안우울척도와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울증 척도별로 증상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50%이상의 뇌졸중 환자들이 우울증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 또한 물리치료실에 정신과 의사나 심리전문가가 없을 경우에는 구조적 면담을 통한 DSM-IV나 해밀톤 우울척도에 사용은 매우 어려운 실정으로 환자 스스로 가장 알맞게 작성할 수 있는 자가척도 도구들의 선별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관찰자 평가방식인 해밀톤 우울척도와 자기기입 방식인 백 우울척도 및 병원불안우울척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ROC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통해 해밀톤 우울척도의 결과에 가장 근접할 수 있는 자가 측정 평가도구와 가장 알맞은 절단값(cut-off value)을 파악하여 향후 뇌졸중 후 우울증 환자의 재활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SMIV를 이용한 평가의 단점은? 현재 가장 대표적인 우울증의 진단기준은 구조적 면담을 통하여 인터뷰하는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dorders (DSM-IV, DSM-Ⅲ-R)가 있다.14,15 그러나 DSMIV를 이용한 평가는 정확하게 우울증을 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증상의 정도와 종류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어려워 정신과 전문의가 없는 병원에서는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16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현재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정도를 평가하는데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평가 도구들이 있다.
현재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16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현재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정도를 평가하는데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평가 도구들이 있다. 숙련된 임상가가 평가하는 방식으로 17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해밀톤 우울척도(Hamilton depression scale),17 전문의 없이 환자 스스로 기입하고, 우울증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 대표적 우울 검사로 총 21 항목으로 구성된 백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18와 7개의 우울항목과 7개의 불안항목의 하위항목이 구성되어 총 14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병원불안우울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19 3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진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3 등이 많이 쓰인다.
현재 가장 대표적인 우울증의 진단기준은? 현재 가장 대표적인 우울증의 진단기준은 구조적 면담을 통하여 인터뷰하는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dorders (DSM-IV, DSM-Ⅲ-R)가 있다.14,15 그러나 DSMIV를 이용한 평가는 정확하게 우울증을 감별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증상의 정도와 종류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어려워 정신과 전문의가 없는 병원에서는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CS, Chang JS. AReliability study of the scale for contraversive pushing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4):31-6. 

  2. Seo DJ, Oh DW, Lee SH. Effectiveness of ankle visuoperceptual- feedbac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functions in hemiparet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10;22(4):35-41. 

  3. Hackett ML, Yapa C, Parag V et al. Frequency of depress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Stroke. 200536(6):1330-40. 

  4. Pettersen R, Dahl T, Wyller TB. Prediction of long-term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rehabilitation. Clin Rehabil. 2002;16(2):149-59. 

  5.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34-9. 

  6. van de Port IG, Kwakkel G, van Wijk I et al. Susceptibility to deterioration of mobility long-term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hort study. Stroke. 2006;37(1):167-71. 

  7. Burvill PW, Johnson GA, Jamrozik KD et al. Prevalence of depression after stroke: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Br J Psychiatry. 1995;166(3):320-7. 

  8. Primeau F. Post-stroke depress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Can J Psychiatry. 1988;33(8):757-65. 

  9. Morris PL, Raphael B, Robinson RG. Clinical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impaired recovery from stroke. Med J Aust. 1992;157(4):239-42. 

  10. Snowdon J. The epidemiology of affective disorders in old age. In: Chiu E, eds, Functional psychiatric disorders of the elderl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95-110. 

  11. Gordon WA, Hibbard MR. Poststroke depression: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Arch Phys Med Rehabil. 1997;78(6):658-63. 

  12. Kim SJ, Kim YS, Yoo SW et al.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in the acute stage of stroke. Korean Journal of Stroke. 2000;2(1):40-7. 

  13. Carota A, Berney A, Aybek S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predi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 Neurology. 2005;64(3):428-33.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7. 

  15. Spalletta G, Ripa A, Caltagirone C. Symptom profile of DSM-IV major and minor depressive disorders in first-ever stroke patients. Am J Geratr Psychiatry. 2005;13(2):108-15. 

  16. de Coster L, Leentjens AF, Lodder J et al. The sensitivity of somatic symptoms in post-stroke depression: a discriminant analytic approach. Int J Geriatr Psychiatry. 2005;20(4):358-62. 

  17. Hamilton M.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60;23:56-62. 

  18. Richter P, Werner J, Heerlein A et al. On the validity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 review. Psychopathology. 1998;31(3):160-8 

  19.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1983;67(6):361-70. 

  20. Hamilton M.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for primary depressive illness. Br J Soc Clin Psychol. 1967;6(7):278-96. 

  21. Yi JS, Bae SO, Ahn YM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K-HD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456-65. 

  22. Beck AT, Ward CH, Mendelson M et al.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71. 

  23. Han HM, Yum TH, Shin YW et al.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0. 

  24. Aben I, Verhey F, Lousberg R et al. Validity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SCL-90, and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Psychosmatics. 2002;43(5):386-93. 

  25. Gupta A, Deepika S, Taly AB et al.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patients undergoing neurological rehabilitation. Ann Indian Acad Neurol. 2008;11(4):225-30. 

  26. Giaquinto S, Spiridigliozzi C, Caracciolo B. Can faith protect from emotional distress after stroke? Stroke. 2007;38(3):993-7. 

  27. Oh SM, Min KJ, Park DB. A study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9;38(2):289-96. 

  28. Jung SM, Park RJ, Ro HY. Correlation of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J Kor Soc Phys Ther. 2010;22(2):31-8. 

  29. Domken M, Scott J, Kelly P. What factors predict discrepancies between self and observer ratings of depression? J Affect Disord. 1994;31(4):253-9. 

  30. Brown C, Schulberg HC, Madonia MJ. Assessing depression in primary care practice with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Psychol Assess. 1995;7(1):59-65. 

  31. Arenas MD, Alvarez-Ude F, Reig-Ferrer A et al. Emotional distr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n hemodialysis: the clinical value of COOP-WONCA charts. J Nephrol. 2007;20(3):304-10. 

  32. Myers JK, Weissman MM. Use of a self-report symptom scale to detect depression in a community sample. Am J Psychiatry. 1980;137(9):1081-4. 

  33. Yang CK, Woo JH, Hahn HM. Depression in the medical inpati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2;31(6):1073-83. 

  34. Wilson DR, Windmer RB, Cadoret RJ et al. Somatic symptoms. A major feature of depression in a family practice. J Affective Disord. 1983;5(3):199-2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