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측 한발서기 훈련이 아급성기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leg stance training of the involved leg on standing balance and mobility in patients with subacute hemiplegia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4, 2011년, pp.1 - 6  

이진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  이강노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ngle-leg stance training on standing balance and mobility in patients with subacute hemiplegia. Methods: Seventeen matched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mprising of 8 subjects rece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편마비 환자에서 체중부하의 대칭, 즉 환측 하지로의 체중 부하율 증진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나 환측의 중간 입각기 시 체중의 대부분을 환측으로 지지하는 경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급성기 편마비 환자에게 환측 한발서기를 시행하였을 때 환측과 건측의 대칭성으로 인해 균형과 이동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Berg Balance Scale (BBS), 10 m 보행속도(gait speed), 환측 체중부하율을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아급성기 편마비 환자에게 환측 한발서기를 시행하여 환측과 건측의 대칭성으로 인한 균형과 이동능력 향상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전과 4주 후에 각각 BBS, 보행속도, 환측 체중부하율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전과 후의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비 환자의 보행은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편마비 환자의 보행은 환측과 건측의 비대칭성, 입각기 때의 환측 하지에 대한 불충분한 체중부하, 느린 보행속도 등의 특성을 보인다.9 편마비 환자의 이러한 보행은 건측 하지의 조절을 통하여 보상적 변화가 생겨 비대칭성을 더욱 증가시키며 건측 하지로 치우친 체중지지는 전반적인 신체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편마비에 의한 운동장애는 어떤 문제점을 가지는가? 편마비 혹은 편부전마비에 의한 운동장애는 비대칭적인 자세, 비정상적인 신체의 균형, 체중을 이동하는 능력의 결함, 섬세한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한 운동 요소 상실들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1 대부분의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평형 반응에 손상을 입어 자세 흔들림의 증가, 마비된 다리에서 체중지지의 감소와 낙상 위험 증가의 결과를 가져온다.
편마비 환자의 보행이 하지에서 운동 기능이 향상될 경우에도 계속해서 비대칭적인 체중 부하를 하게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편마비 환자의 보행은 환측과 건측의 비대칭성, 입각기 때의 환측 하지에 대한 불충분한 체중부하, 느린 보행속도 등의 특성을 보인다.9 편마비 환자의 이러한 보행은 건측 하지의 조절을 통하여 보상적 변화가 생겨 비대칭성을 더욱 증가시키며 건측 하지로 치우친 체중지지는 전반적인 신체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10-12 또한 편마비 환자들은 체중부하와 입각기의 뚜렷한 비대칭을 보이며 건측 하지를 통해 체중의 대부분을 부하한다.9 발병 초기에 편마비 환자들은 심각한 부전마비가 존재할 때 환측 하지에 체중 부하하는 것을 꺼리게 되며, 그 후에 환자는 계속해서 비대칭적인 체중부하를 하게 된다. 하지에서 운동 기능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환측 하지를 사용하기 위한 환자의 능력이 제한되어 환측의 비사용이 촉진되어진다.13 편마비 환자의 기능적 재활에서 이상적인 목표는 비대칭성을 감소시키는데 있으며, 균등한 체중부하를 하여 균형된 기립자세를 취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대칭적인 보행을 회복시키는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ark JW. Longitudinal motor function recovery in stroke patients with focal pons infarction: Report of 4 cases. J Kor Soc Phys Ther. 2009;21(4):111-5. 

  2. Haart de M, Geurts ACH, Dault MC et al. Restoration of weight-shifting capacity in patients with postacute stroke: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5;86(4):755-62. 

  3. Lee HS, Choi JH. Correlation between BBS, FRT, STI, TUG, MBI, and falling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8;20(4):1-6. 

  4. Kim EJ, Hwang BY, Kim JH. The effect of core strength exercises on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9;21(4):17-22. 

  5. Perry J. Mechanics of walking in hemiplegia. Clinical Orthopedics and Related Research. 1969;63:23-31. 

  6. Dettmann MA, Linder MT, Sepic SB. Relationship among walking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the hemiplegic patient. Arch Phys Med Rehabil. 1987;66:77-90. 

  7. Bohannon RW, Larkin PA.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under various standing conditions in independently ambulatory patients with hemiparesis. Phys Ther. 1985; 65(9):1323-5. 

  8. Dickstein R, Nissan M, Pillar T. Foot-ground pre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 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 Ther. 1984;64(1):19-23. 

  9. Yavuzer G. Walking after stroke. J PMR Sci. 2007;1:1-8. 

  10. Hocherman S, Dickstein R, Pillar T. Platform training and postural stability in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84;65:588-92. 

  11. Barra J, Oujamaa L, Chauvineau V et al. Asymmetric standing posture after stroke is related to a biased egocentric coordinate system. Neurology. 2009;72(18):1582-7. 

  12. Genthon N, Rougier P, Gissot AS et al. Contribution of each lower limb to upright standing in stroke patients. Stroke. 2008;39(6):1793-9. 

  13. Rodriguez GM, Aruin AS. The effect of shoe wedges and lifts on symmetry of stance andbearing in hemiparetic individual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4):478-82. 

  14. Hamman RG, Mekjavic I, Mallinson AL. Training effect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 of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38-44. 

  15. Wall JC, Turnbull GI. Gait asymmetries in residual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86;67(8):550-3. 

  16. Sackley CM. The relationships between weight-bearing asymmetry after stroke,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 1990;6(4):179-85. 

  17. Mercer VS, Freburger JK, Chang SH et al. Measurement of paretic-lower extremity loading and weight transfer after stroke. Phys Ther. 2009;89(7):653-64. 

  18.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69(6): 395-400. 

  19. Winstein CJ, Gardner ER, Mcneal DR et al.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 on balance and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755-62. 

  20. Choi JH, Kim YR, Kwon HC. Effects of pelvic and lower extremity exercise on the gait in patients with hemiplegia.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1997;4(1):20-9. 

  21. Trueblood PR, Walker JM, Perry J. Pelvic exercises and gait in hemiplegia. Phys Ther.69(1)18-26. 

  22. Wade DT, Wood VA, Heller A et al. Walking after stroke: Measurement and recovery over the first 3 months. Scand J Rehabil Med. 1987;19(1):25-30. 

  23. Mojica JA, Nakamura R, Kobayashi T. Effect of ankle-foot orthosis on body sway and walking capacity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Tohoku J Exp Med. 1988;156(4):395-401. 

  24. Klavora P, Warren M. Rehabilitation of visuomotor skills in poststroke patients using the dynavision apparatus. Percept Mot Skills. 198686(1):23-30. 

  25. Bogle V, Thorbahn LD, Newton RA. Use of the Berg Balance Test to predict falls in elderly persons. Phys Ther. 1996; 76(6):576-83. 

  26.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27(1):27-36. 

  27. Butler A, Menant J, Tiedemann A et al.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seven tests ofmobility. J Neuroeng Rehabil. 2009;6(1):31-9. 

  28. van Loo MA, Moseley AM, Bosmann JM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of walking speed, step length and step width measurement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 pilot study. Brain Inj. 2004;18(10):1041-8. 

  29. Lee NH, Lee J, Lee KN.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a TETRAX on balance and mobility in acute stroke patients.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ists. 2010;17(3):11-9. 

  30. Wagenaar RC, Beek WJ. Hemiplegic gait: A kinematic analysis using walking speed as a basis. J Biomech. 1992; 25(9):1007-15. 

  31. Hesse S, Luecke D, Jahnke MT. Gait function in spastic hemiparetic patients walking barefoot,firm shoes, and with ankle-foot orthoses. Int J Rehabil Res.1 1996;9(2):133-41. 

  32. Roerdink M, Geurts A, Haart M et al. On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paretic leg to the control of posture afte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3): 267-74. 

  33. Cho KH, Lee WH. The effects of two motor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10;22(4):7-14. 

  34. Chaudhuri S, Aruin AS. The effect of shoe lifts on static and dynamic postural control inwith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1):1498-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