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마비 환자의 반 무릎서기 자세가 일어서기 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ansition from the Half-Kneel to Standing Posture in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5, 2011년, pp.49 - 56  

양대중 (대불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장일용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승규 (대불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준희 (대불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강정일 (대불대학교 보건대학 물리치료학과) ,  천동환 (목포중앙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ematic characteristics and muscle activities during the following two conditions: transition from half-kneel to standing on the affected leg and non-affected leg. Methods: Twenty-one hemipleg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mo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리치료사들은 편마비 환자에게 바닥에서 일어서기 동작을 많이 훈련시키고 있으며, 이를 위한 보다 나은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연구를 시도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환자의 바닥에서 일어서기 동작 중 마비측 다리 또는 비마비측 다리를 앞으로 지지한 반 무릎서기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의 수행이 지지한 다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첫 번째는 일어서는 동안 앞으로 지지한 다리에서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및 각속도를 알아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일어서는 동안 앞으로 지지한 다리의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안쪽장딴지근의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 첫 번째는 일어서는 동안 앞으로 지지한 다리에서 엉덩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및 각속도를 알아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일어서는 동안 앞으로 지지한 다리의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안쪽장딴지근의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마비측과 비마비측 간에 서로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비 환자들에게 일어서기 동작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3 그 중 일어서기 동작은 잦은 일상생활동작일 뿐만 아니라, 보행과 같은 기능적인 활동을 하기 위하여 선행이 되는 중요한 동작이다.4 그러므로 편마비 환자들에게 일어서기 동작은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5 그러나 병원에서 재활기간 동안 의자에서 일어서기 동작만을 연습한 환자는 퇴원하여 바닥에서 일어서기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여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받게 된다.
대부분의 편마비 환자가 기립자세에서 균형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편마비 환자에게 올바른 기립자세를 유지하고양측 다리에 체중을 대칭적으로 분배하는 것은 중요하다.6 하지만 대부분의 편마비 환자는 균형조절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서있는 동안 자세동요가 증가하고, 마비측으로 체중지지를 자발적으로 피하게 되며 이로 인해 양측 다리에 균형 잡힌 안정자세를 취하지 못하게 되어 움직임이 감소되고 낙상률을 증가된다.7 이로 인해 뇌졸중 후 6개월 이내에 적어도 한 번 이상은 넘어지는 경험을 하게 한다고 보고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는 감각장애, 지각상실 및 운동장애를 갖는데 그로 인해 일상생활을 위해 필요한 활동들(일 어서기, 걷기 등)의 수행에 제한을 받게 된다. 3 그 중 일어서기 동작은 잦은 일상생활동작일 뿐만 아니라, 보행과 같은 기능적인 활동을 하기 위하여 선행이 되는 중요한 동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ark SK. The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on kinetic factors and muscle activities of CVA patients. KSSB. 2007;17(2): 41-50. 

  2. LeeDJ, KimSY, SongC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alance test, functional movement, visual perception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measure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2):39-45. 

  3. Yu YJ, Lim BO. Kinematic analysis of rising from a chair in healthy and stroke subjects. KSSB. 2007;17(2):103-12. 

  4. AnSH, LeeJ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1):9-17. 

  5. Park MC, Lee MH. Analysis of muscle activity on foot position during a sit to stand activity in the elderly. J Kor Soc Phys Ther 2011;23(1):1-5. 

  6. Jang JH, Kim KH, Kim TH et al. The effects of foot and knee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for hemiplegic patients. J KorSoc Phys Ther. 2010;22(4):21-8. 

  7. Cho KH, Lee WH. The effects of two motor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10;22(4):7-14. 

  8. Holt RR, Simpson D, Jenner JR et al. Ground reaction force after a sideways push as a measure of balance in recovery from stroke. Clin Rehabil. 2000;14(1):88-95. 

  9. Eng JJ, Chu K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 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8):1138-44. 

  10. Hamman RG, Mekjavic I, Mallinson AI et al. Training effects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 738-44. 

  11. Shepherd RA, Koh AP. Some biomechanical consequences of varying foot placement in sit-to-stand in young women. Scand J Rehabil Med. 1996;28(2):79-88. 

  12. Yu YJ, Yoon TJ, Eun SD.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s on the kinetic and kinematic parameters during sit-to-stand in chronic stroke patients. KSSB. 2006;16(2): 121-34. 

  13. Kwon MJ, Chung HK, Bae SS. Movement patterns from supine to standing position of hemipleg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0;12(1):15-21. 

  14. Rainoldi A, Melchiorri G, Caruso I. A method for positioning electrodes during surface EMG recordings in lower limb muscles. J Neurosci Methods. 2004;134(1):37-43. 

  15. Sacco ICN, Gomes AA, Otuzi ME et al. A method for better positioning bipolar electrodes for lower limb EMG recordings during dynamic contractions. J Neurosci Methods. 2009;180(1):133-7. 

  16. Gruet M, Vallier JM, Mely L et al. Long term reliability of EMG measurements in adults with cystic fibrosis. J Electromyogr Kinesiol. 2010;20(2):305-12. 

  17. Engardt M. Rising and sitting down in stroke patients. Auditory feedback and dynamic strength training to enhance symmetrical body weight distribution. Scand J Rehabil Med Suppl. 1994;31:1-57. 

  18.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69(6):395-400. 

  19. Sackley CM. The relationships between weight-bearing asymmetry after stroke,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hysiother Theor Pract. 1990;6(4):179-85. 

  20. Bohannon RW, Larkin PA.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under various standing conditions in independently ambulatory patients with hemiparesis. Phys Ther. 1985;65(9): 1323-25. 

  21. Engardt M, Ribbe T, Olsson 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feedback to enhance stroke patient's symmetrical body-weight distribution while rising/sitting down. Scand J Rehabil Med. 1993;25(1):41-8. 

  22. Kim JM, Yi CH, Marion EC. A study on the effects of weight-transfer training upon the gait patterns of hemiplegic patients throug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KAUPT. 1995;2(2):9-23. 

  23. Lane RE. Facilitation of weight transference in the stroke patient. Physiotherapy. 1978;64(9):260-4. 

  24. Lee HS, Choi HS, Kwon OY et al. A literature review on balance control factors. KAUPT. 1996;3(3):82-91. 

  25. Runge CF, Shupent CL, Horak FB. Ankle and hip postural strategies defined by joint torques. Gait & Posture. 1999;10(2):161-70. 

  26. Barnes WS. The relationship of motor-unit activation to isokinetic muscular contraction at different contractile velocities. Phys Ther. 1980;60(9):1152-8. 

  27. Sogaard K, Christensen H, Jensen BR et al. Motor control and kinetics during low level concentric and eccentric contractions on ma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6;101(5):453-60. 

  28. Thorstensson A, Grimby G, Karlsson J. Force-velocity relations and fiber composition in human knee extensor muscles. J Appl Physiol. 1976;40(1):12-6. 

  29. Aagaard P, Somonsen EB, Trolle M et al. Isokinetic hamstring/quadriceps strength ratio: influence from joint angular velocity, gravity correction and contraction mode. Acta Physiol Scand. 1995;154(4):421-7. 

  30. Choi HH. Functional isokinetic strength ratios of the quadriceps and hamstrings in individuals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KOSAPE. 2005;13(4):135-47. 

  31. McNair PJ, Hewson DJ, Dombroski E et al. Stiffness and passive peak force changes at the ankle joint: the effect of different joint angular velocities. Clin Biomech. 2002; 17(7):536-40. 

  32. Daubney ME, Culham EG.Lower-extremity muscle force and balance performance in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Phys Ther. 1999;79(12):1177-85. 

  33. Lincoln NB, Jackson JM, Adams SA. Reliability and revision of the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for stroke patients. Physiotherapy. 1998;84(8):358-65. 

  34. Lee MJ, Kilbreath SL, Refshauge KM. Movement detection at the ankle following stroke is poor. Aust J Physiother. 2005;51(1):19-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