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The Effect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8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3 no.6, 2011년, pp.584 - 594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  김보혜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a representative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2년마다 동일한 대상자에게 반복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패널자료를 구축하고자 2006년부터 시행되었다. 2008년 제2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2008년 7월 중순부터 11월말까지 시행되었으며, 2006년 제1차 기본조사 시 구축한 10,254명의 초기패널을 추적하여 전수조사 하였다.
  • 본 연구는 2008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노인의 시력 및 청력의 저하 정도를 확인하고, 시력 및 청력의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의 시력 및 청력의 저하 정도를 확인하고,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으며, 2008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중 4,028명의 노인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시력 및 청력의 저하가 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하는 요인임을 밝힘으로서, 노화와 관련하여 당연하게 여겨지던 감각의 저하가 노인의 주요 건강문제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추후 우울 및 인지기능과 관련된 간호연구나 중재개발에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하겠다.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시력 및 청력 저하에 따른 우울 및 인지기능의 차이를 분석하고, 시력 및 청력의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력 및 청력의 저하가 노인의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국내의 경우 대표성을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노화와 관련된 연구가 실시된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확인하고 건강문제와의 관련성을 탐구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고령화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실시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를 이용하여 국내 노인의 시력 및 청력의 저하 정도를 확인하고, 시력 및 청력 저하가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저소득층 노인의 시력과 청력은 어떠한가? 7%가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하고도 시력에 문제가 있고, 64.1%가 보청기 없이 듣는데 문제가 있으며(Caban, Lee, Gómez-Marín, Lam, & Zheng, 2005), 우리나라 저소득층 노인의 경우에는 76.6%가 시력의 저하를, 44.2%가 청력의 저하를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eon, 2009).
시력의 저하의 원인이 되는 질병에는 무엇이 있는가? 시력의 저하는 노화와 관련된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등이 주된 원인으로 나타난다(Resnikoff et al., 2004).
노인에게 우울이나 인지기능의 손상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노인에게 우울이나 인지기능의 손상은 표출되는 하나의 건강문제일 뿐 아니라 삶의 질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된다. 노인의 우울은 신체활동능력을 저하시키고, 사망률 증가 및 삶의 질 저하와 관련이 있다(Dalle Carbonare et al., 2009; Schoevers et al., 2009). 또한 인지기능이 높을 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며, 인지기능이 손상된 경우 노인 뿐아니라 부양가족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게 된다(Missotten et al., 2008; Tooth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gai, A., Thavendiranathan, P., & Detsky, A. S. (2006). Does this patient have hearing impairment?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5 (4), 416-428. 

  2. Bakke, M. H., Bernstein, C. M., Bally, S. J., & Pray, J. L. (2008). Managing hearing loss in older adults. In M. Alwan & R. A. Felder(ed.), Eldercare technology for clinical practitioners (pp. 143-185). Totowa, NJ: Humana Press. 

  3. Bennett, D. A., Schneider, J. A., Tang, Y., Arnold, S. E., & Wilson, R. S. (2006). The effect of social networks on the relation between Alzheimer's disease pathology and level of cognitive function in old people: A longitudinal cohort study. Lancet Neurology, 5, 406-412. 

  4. Bernabei, V., Morini, V., Moretti, F., Marchiori, A., Ferrari, B., Dalmonte, E., et al. (2011).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ve-anxiety syndrome in Italian elderly. Aging & Mental Health, 15 (4), 467-474. 

  5. Caban, A. J., Lee, D. J., Gomez-Marin, O., Lam, B. L., & Zheng, D. D. (2005). Prevalence of concurrent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 in US adults: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7-2002.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5 (11), 1940-1942. 

  6. Chou, K. L. (2008). Combined effect of vision and hearing impairment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Evidence from the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06, 191-196. 

  7. Clemons, T. E., Rankin, M. W., & McBee, W. L. (2006). Cognitive impairment in the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AREDS Report No. 16. Archives of Ophthalmology, 124 (4), 537-543. 

  8. Dalle Carbonare, L., Maggi, S., Noale, M., Giannini, S., Rozzini, R., Lo Cascio, V., et al. (2009). Physica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an elderly population: A complex relationship. The Itali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ILSA).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7 (2), 144-154. 

  9. Fischer, M. E., Cruickshanks, K. J., Klein, B. E. K., Klein, R., Schubert, C. R., & Wiley, T. L. (2009). Multiple sensory impairment and quality of life. Ophthalmic Epidemiology, 16 (6), 346-353. 

  10.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 189-198. 

  11. Heine, C., & Browning, C. J. (2002). Communication and psychosocial consequences of sensory loss in older adults: Overview and rehabilitation direction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 (15), 763-773. 

  12. Irwin, M., Artin, K. H., & Oxman, M. N. (1999). Screening for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 Criterion validity of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9, 1701-1704. 

  13. Ishii, K., Kabata, T., & Oshika, T. (2008) The impact of cataract surgery on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mental status in elderly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146, 404-409. 

  14. Jeon, E. Y. (2009). Functional status and long-term care services for the community-dwelling low-incom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2 (2), 92-101. 

  15. Kang, Y., Na, D. L., & Hahn, S.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 300-308. 

  16. Lee, Y., & Shinkai, S. (2005). Correlates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nd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 576-586. 

  17. Li, Y., Crews, J. E., Elam-Evans, L. D., Fan, A. Z., Zhang, X., Elliott, A. F., et al. (2011). Visual impair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adults with age-related eye diseases. Quality of Life Research, 20, 845-852. 

  18. Lin, F. R. (2011). Hearing loss and cognition among older adults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6, 1131-1136. 

  19. Missotten, P., Squelard, G., Ylieff, M., Di Notte, D., Paquay, L., De Lepeleire, J., et al. (2008). Quality of life in older Belgian people: Comparison between people with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control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3, 1103-1109. 

  20. Patino, C. M., McKean-Cowdin, R., Azen, S. P., Allison, J. C., Choudhury, F., & Varma, R. (2010). Central and peripheral visual impairment and the risk of falls and falls with injury. Ophthalmology, 117 (2), 199-214. 

  21.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2. Resnikoff, S., Pascolini, D., Etya'ale, D., Kocur, I., Pararajasegaram, R., Pokharel, G. P., et al. (2004). Global data on visual impairment in the year 2002.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82 (11), 844-851. 

  23. Saito, H., Nishiwaki, Y., Michikawa, T., Kikuchi, Y., Mizutari, K., Takebayashi, T., et al. (2010). Hearing handicap predicts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after 3 years in older community-dwelling Japanes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 (1), 93-97. 

  24. Schneider, J., Gopinath, B., Karpa, M. J., McMahon, C. M., Rochtchina, E., Leeder, S. R., et al. (2010). Hearing loss impacts on the use of community and informal supports. Age and Ageing, 39, 458-464. 

  25. Schoevers, R. A., Geerlings, M. I., Deeg, D. J. H., Holwerda, T. J., Jonker, C., & Beekman, A. T. F. (2009). Depression and excess mortality: Evidence for a dose response relation in community living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 169-176. 

  26. Steffens, D. C., Fisher, G. G., Langa, K. M., Potter, G. G., & Plassman, B. L. (2009).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older Americans: The Aging, Demographics and Memory Stud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1 (5), 879-888. 

  27. Strawbridge, W. J., Wallhagen, M. I., Shema, S. J., & Kaplan, G. A. (2000). Negative consequences of hearing impairment in old age: A longitudinal analysis. The Gerontologist, 40 (3), 320-326. 

  28. Tervo, S., Kivipelto, M., Hannine, T., Vanhanen, M., Hallikainen, M., Mannermaa, A., et al. (2004).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opulation- based three-year follow-up study of congnitively healthy elderly subjects.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17, 196-203. 

  29. Tooth, L., Russell, A., Lucke, J., Byrne, G., Lee, C., Wilson, A., et al. (2008). Impact of cognitive and physical impairment on carer burden and quality of life. Quality of Life Research, 17, 267-273. 

  30. Wallhagen, M. I. (2009). The stigma of hearing loss. The Gerontologist, 50 (1), 66-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