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IoT 보안인증 제도 개선 연구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domestic IoT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21 no.1, 2021년, pp.79 - 92  

이용필 (한국인터넷진흥원 융합보안단) ,  서영진 (한국인터넷진흥원 융합보안단) ,  이상걸 (한국인터넷진흥원 융합보안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T기술이 융합되는 사회에서는 IoT 등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기기의 사용이 확산되어지고 있다. 네트워크 연결 기기들은 필연적으로 정보 유출 등 해킹의 위협에 노출되며, 이를 대응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해외에서도 ICT 융합기기 대상 설계부터 보안을 고려한 제품 생산 및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보안인증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법제화 및 인증기준과 방법을 표준화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에 발맞추어 2020년 정보통신망법이 개정되면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ICT 융합기기를 '정보통신망 연결기기등'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보안인증제도 근거를 마련하였다. 관련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보안인증 제도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고려사항들을 정리해 인증수행체계, 인증등급, 인증마크, 인증수수료, 변경관리, 인증유효기간 등과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 society where ICT technology is converged, the use of various network-connected devices such as IoT is spreading. Network-connected devices are inevitably exposed to the threat of hacking such as information leakage, and countermeasures need to be prepared to respond. Security certification sys...

주제어

참고문헌 (35)

  1. https://www.cisco.com/c/en/us/solutions/collateral/executive-perspectives/annual-internet-report/white-paper-c11-741490.pdf 

  2. https://www.idc.com/getdoc.jsp?containerIdprAP46180120 

  3. https://cybersecurityventures.com/hackerpocalypse-cybercrime-report-2016/ 

  4. 이동혁, 박남제. "IoT 기기의 보안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27권, 제3호, pp. 607-615, 2017. 

  5. 유우영, "IoT 보안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융합보안논문지, 제18권, 제1호, pp. 61-67, 2018. 

  6. 이동혁, 박남제, "IoT 제품 보안 인증 및 보안성 유지 관리방안,"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제33권, 제12호, pp. 28-34, 2016. 

  7. 고재용, 이상길, 김진우, 이철훈. "IoT 보안 요구사항 및 보안 운영체제 기반 기술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 164-177. 2018. 

  8. 강다연, 황종호. "IoT 보안인증서비스 인증기준 중요도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 13-21, 2019. 

  9. https://www.congress.gov/116/plaws/publ207/PLAW-116publ207.pdf 

  10. https://leginfo.legislature.ca.gov/faces/billTextClient.xhtml?bill_id201720180SB327 

  11. https://olis.leg.state.or.us/liz/2019R1/Downloads/MeasureDocument/HB2395/Enrolled 

  12. https://ims.ul.com/iot-security-what-does-reasonable-security-look 

  13. https://www.nist.gov/blogs/cybersecurity-insights/rounding-your-iot-security-requirements-draft-nist-guidance-federal 

  14. https://nvlpubs.nist.gov/nistpubs/SpecialPublications/NIST.SP.800-213-draft.pdf 

  15. https://nvlpubs.nist.gov/nistpubs/ir/2020/NIST.IR.8259.pdf 

  16. https://nvlpubs.nist.gov/nistpubs/ir/2020/NIST.IR.8259A.pdf 

  17. https://nvlpubs.nist.gov/nistpubs/ir/2020/NIST.IR.8259B-draft.pdf 

  18. https://nvlpubs.nist.gov/nistpubs/ir/2020/NIST.IR.8259C-draft.pdf 

  19. https://nvlpubs.nist.gov/nistpubs/ir/2020/NIST.IR.8259D-draft.pdf 

  20. https://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PDF/?uriCELEX:32019R0881&fromEN 

  21. https://www.enisa.europa.eu/topics/standards/Public-Consultations/public-consultations-cybersecurity-schemes 

  22. https://www.etsi.org/deliver/etsi_en/303600_303699/303645/02.01.01_60/en_303645v020101p.pdf 

  23. https://korea.ul.com/news/보도자료_ul-cap-사이버보안평가 

  24. https://www.cybersecuritysummit.org/wp-content/uploads/2017/10/4.00-Justin-Heyl.pdf 

  25. https://www.sans.org/summit-archives/file/summit-archive-1521575758.pdf 

  26. https://productiq.ulprospector.com/en 

  27. https://tietoturvamerkki.fi/en/products/ 

  28. https://www.csa.gov.sg/-/media/csa/documents/sccs/cybersecurity_certification_guide_v2.pdf 

  29. https://www.kisa.or.kr/public/laws/laws3.jsp 

  30. 박남제, 정원석, 한동국, 방지호, 김범준, 박애선, 이동혁, 김호영, 권지영, 지재덕, 조영진. 'IoT 제품 보안인증 및 보안성 유지관리정책 추진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31. https://www.ksecurity.or.kr/user/bbs/kisis/66/312/bbsDataView/10176.do?page2&column&search&searchSDate&searchEDate&bbsDataCategory 

  32. 한국인터넷진흥원, '사물인터넷(IoT) 보안 시험.인증 기준 해설서 [Lite]', 2019. 

  33. 한국인터넷진흥원, '사물인터넷(IoT) 보안 시험.인증 기준 해설서 [Basic]', 2019. 

  34. 한국인터넷진흥원, '사물인터넷(IoT) 보안 시험.인증 기준 해설서 [Standard]', 2019. 

  35. https://www.law.go.kr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