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의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태교실천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in Pregnant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7 no.1, 2011년, pp.31 - 38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주경숙 (문경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among pregnant wome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use of questionnaire surveys with two hundred and eighty-three pregnant women at several hospit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부의 결혼만족도, 배우자 지지와 태교실천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태교실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서 태교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자의 결혼만족도, 배우자 지지정도 및 태교실천정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며, 태교실천정도는 태아순위, 태교필요성, 태교시기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임부의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지지 및 태교실천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전까지 수행된 태교실천에 대한 연구(Kim, 2000; Shin, 2000)에서는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지지를 일반적 특성 중에서 다루었으며 단순한 척도를 가지고 측정하였기 때문에 이들 변인들을 태교실천의 중재변수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타당한 도구를 이용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당성이 검정된 도구를 활용하여 임부의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이들의 태교실천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파악하고 이들 변인이 태교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태교실천을 강화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urney (2001)는 태교시 남편과 아내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어떻게 주장했는가? 태교는 모든 가족원들이 해야 하지만, 남편은 임부 다음으로 태아와 가장 근접한 사람이며, 태아에게 결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육체적인 질병이나 흡연 뿐만 아니라, 남편과 아내의 관계도 중요하다(Ha, 2004). Burney (2001)는 그의 연구에서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는 부부는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는 부부에 비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아이를 출산할 위험성이 약 2.5배나 높으며, 자주 공포심에 빠지며 빈약하고 신경질적인 아이가 될 확률이 5배에 달한다고 하였다. 태교는 임신부 자신이 해야 할 몫이 가장 크지만 사실은 임신부 혼자만의 힘으로 전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남편과 가족이 협력함으로써 더 잘 될 수 있다(Ha, 2004).
태교는 언제 시작했는가? 임부는 태교를 통해 태아를 인간으로 인식하고 태아와의 정서적 교류를 함으로써 상호애착을 형성한다(Ha, 2004). 태교는 중국의 고대사회에서 시작하여 고려, 이조시대를 거치면서 전통사회의 규범으로 지켜져 왔다. 현대에 들어와서 서양의학 중심의 의료체계에서 태교는 주술적 또는 미신적 민속의 한 형태로 밀려나면서 다소 퇴색하는 경향이 있었다(Mun & Choi, 2002).
현재까지 태교실천 관련연구들을 보면, 임부의 태교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출산여성의 태교실천과 관련요인에 관한 Ahn (2001)의 연구결과를 보면, 대상자의 83%가 태교를 실천하였다고 하였으나 대부분의 여성들은 임신 중 태교를 실천한다고 하더라도 구체적인 계획 없이 막연하게 태교를 하고 있어, 이들 여성이 태교를 잘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태교실천 관련연구들(Ahn, 2001 ; Kim, 2000; Mun & Choi, 2002; Shin, 2000)을 보면, 임부의 태교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산전관리, 월수입, 결혼만족도 및 배우자지지 등과 임신의도, 임신수용, 피로정도, 스트레스정도, 자아존중감, 태교인식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관련요인이 영향이 있음을 제시하였지만 단순한 차이가 있다고 밝히는 것으로 각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K. T. (2001). A study of related factors and practice of Taekyo on pregnant women'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5, 175-183. 

  2. Burney, T. (2001). Fetus has acquaintance. Seoul: Samter. 

  3. Burr, W. R., Leigh, G., Day, R., & Constantine, J. (1979). Symbolic interaction and the family.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2nd ed.). New York: Free Press. 

  4. Delvin, B., Daniels, M., & Roeder, K. (1997). The heritability of IQ. Nature, 388 (6641), 468-471. 

  5.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 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 1-11. 

  6. Gottman, J. M. (2002). Marital research in the 20th century and research agenda for the 21st century. Family Process, 41, 159-197. 

  7. Ha, S. E. (2004).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marriage satisfaction of pregnant women and the degree of prenatal care pract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8. Jang, S. B. (1989). An analytic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for sexual satisfaction in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Kim, E. S. (2000). Factors influencing Taekyo in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H. J. (2008). A study of spous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 (1), 5-11. 

  11. Lee, D. Y. (2002). The relations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with marital satisfaction among dual-earner coup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Lindgren, K. (2001). Relationships among maternal-fetal attachment, prenatal depression, and health practices in pregnancy. Research Nursing Health, 24, 203-217. 

  13. Mun, H. S., & Choi, E. S. (2002). A study on the 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delivered women and her husband for the fet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4), 583-594. 

  14. Nam, I. S. (2010). A comparative study on stress,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living urban and rur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5. Shin, Y. B. (2000). The study 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aekyo by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6. Shin, Y. B., & Koh, H. J. (2002).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aekyo by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 (1), 142-152. 

  17. Spanier, G. B.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8, 15-28. 

  18.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1995).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Co. 

  19. Yeon, J. E. (2001). A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daily practices of Taekyo between parents to b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Yoo, A. J. (1992). Toddler's education of traditional society in Kore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