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공유하천 북한강의 물이용 문제점 및 수리권 추정 (I) -임남댐 유역변경에 의한 하류 영향 분석
Problems of Water Use and Estimation of Water Right in North Han River Shared by North and South Korea (I) -Analysis of Diversion Impacts on Downstream Area by Imnam Dam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4, 2011년, pp.305 - 314  

안종서 (Kwater 대청댐관리단) ,  정관수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광만 (Kwater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강 수계의 경우 북한이 임남댐을 개발하여 유역변경식으로 물을 이용하고 있어 하류지역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남 북한이 공유하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량이나 수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남 북공유하천에서 상 하류국가간 물이용의 공평성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남북공유하천의 공평한 물이용의 판단기준이 되는 수리권을 검토하기 위해 북한의 임남댐에 의한 영향을 주요 분야별로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강유역의 용수공급은 1978년을 이수안전도 평가를 위한 기준갈수년으로 할 경우 임남댐으로 인해 379백만$m^3$/년의 공급부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한강 수계의 발전용댐도 유입량 감소로 인하여 연간발전량이 234GWh/년 감소하게 되었고, 수질은 북한강 삼봉리 지점 기준 BOD 약 0.065 ppm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남북공유하천에서 북한의 절대영토주권주의에 입각한 불공평한 수자원 이용은 하류국가인 남한에 직 간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nam Dam construction and inter-basin water transfer use by North Korea have caused several problems including water resources management aspects in the downstream reach of North Han River. Therefore, cooperative wor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re required to make a reasonable management sit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남북공유하천의 불평등한 물이용의 문제점과 해결대안이 협력시스템 구축과 전력지원분야에 한정되어 있어 수리권과 같은 구체적인 대안 제시에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남북공유하천 중 문제가 심각한 북한강을 대상으로 북한의 임남댐에 의한 영향을 수량 및 수질 측면에서 분석하고 수리권을 판단하기 위한 물 부족 상황을 해석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강 유역의 수문 및 수질조사, 강우유출 해석, 장래용수공급평가 및 수질상태 등을 분석하여 임남댐 건설과 유역변경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완공된 북한의 임남댐에 의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자 주요 분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수자원 감소측면에서의 용수감소량, 흐르는 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인 측면에서 치수 효과 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 졌다.
  • 용수공급평가를 위한 기준에는 공급량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따지는 신뢰도방법과 하천의 수문량을 기준으로 하는 기준갈수년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1967년부터 2005년까지 39개년을 대상으로 최대갈수년을 용수공급 평가를 위한 기준갈수년으로 평가하였다. 수요기준은 2020년을 장래공급목표년으로 하여 하천수 부족량을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남북공유하천의 물이용의 불공평을 해소하기 위한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하류국가의 기본 수리권 추정에 필요한 공학적 분석의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남북공유하천의 불평등한 물이용의 문제점과 해결대안이 협력시스템 구축과 전력지원분야에 한정되어 있어 수리권과 같은 구체적인 대안 제시에는 미흡하였다.

가설 설정

  • 모형구성에 필요한 입력자료 중 유출량은 1966∼2005년까지의 강우자료를 반순별로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자연유출량의 장래 예측치는 과거의 유출이 미래에도 재현된다고 가정하여 대상년도(2020년) 용수수요량을 기준으로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여 그 중 가장 하천수 부족이 크게 발생하는 연도를 최대갈수년으로 선정하였다. 댐의 저수위, 저수량 현황은 1967∼2006년까지의 매월 말일의 저수위, 저수량 실적을 이용하였으며, 장래 용수수요 예측량(2020년 고수요기준), 광역 물 이동망은 「수자원장기종합 계획 (2006∼2020)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6)」의 자료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강 수계에서 여러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북한강 수계의 경우 북한이 임남댐을 개발하여 유역변경식으로 물을 이용하고 있어 하류지역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남 북한이 공유하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량이나 수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수자원 확보를 위한 갈등은 어떤 문제를 낳게되는가? 또한 오염된 물은 우리의 건강 뿐 아니라 자연상태에서 살고있는 동 · 식물들의 생존을 위협하기도 하여 서로간 수자원 확보를 위한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즉, 국가와 국가, 지역과 지역 그리고 인간과 자연환경 등 상호간 각자의 존재유지에 필요한 물을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경쟁하게 된다. 특히 국제하천을 무력분쟁의 역사적 원인으로 보는 시각에서 21세기 국제 분쟁의 주요 요인으로 공유하천을 지적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Bulloch and Darwish, 1993; Cooley, 1984)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는 어떤 문제를 유발시키는가?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는 해마다 수많은 인명과 엄청난 재산 피해를 가져오고, 가뭄은 우리에게 물부족 뿐만아니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게 고통을 준다. 또한 오염된 물은 우리의 건강 뿐 아니라 자연상태에서 살고있는 동 · 식물들의 생존을 위협하기도 하여 서로간 수자원 확보를 위한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2006-2020) 

  2. 국립환경연구원(2005). QUAL-NIER 모델사용자지침서 

  3. 김남원, 이정은(2009). 화천댐 상류유역의 유출거동 특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2호, pp. 1069-1077. 

  4. 김덕주(2009). “국제공유하천의 분쟁 및 해결 사례”. 국제정세 변화와 이명박 정부의 외교 과제, pp. 351-404. 

  5. 김영봉(2002). 남북협력을 통한 임진강유역의 평화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6. 김영봉, 이문원, 조진철(2005). 북한강 유역의 남북한 평화적 이용 방안, 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7. 김익재, 이진희, 추장민, 명수정, 김호정(2009). 남.북한 공유 하천의 관리 현황과 물안보 확보 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 박준대, 신동석, 김문숙, 공동수, 류덕희, 정동일, 나은혜(2008). “수질오염총량관리를위한하천수질모델(QUALNIER) 개발”,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6호, 6, pp. 784-792. 

  9. 백경오(2009). “임진강 북측 댐들의 영향과 대처방안”, 경기개발연구원 Policy Brief, No. 20, pp. 1-10. 

  10. 선우중호(1986). “금강산댐 건설 영향에 대한 기술적 검토”,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9권 제4호, pp. 294-302. 

  11. 손기웅(2006). 남북한 공유하천 교류협력 방안, 통일연구원 2006 연차보고서, pp. 42-49. 

  12. 안종서(2011). 남북공유하천 하류유역 수리권 추정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13. 이광만, 강부식, 홍일표(2008). “남북한 공유하천의 갈등해소와 공동이용을 위한 협력체계”,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호, pp. 505-514. 

  14. 이명환(1987). 북한의 수자원 개발이 한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금강산댐 건설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15. 이재응, 임동선, 이종태(2004). “이수측면에서 평화의댐 활용방안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8호, pp. 653-662. 

  16. 전병호, 신현석, 이재철, 윤용남(1993). “화천댐의 홍수량 및 수위에 미치는 평화댐의 영향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1호, pp. 93-101. 

  17. 정태성, 강신욱, 고익환 ,황만하(2007), “금강유역에서의 KModSim을 이용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적용성 검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3B호, pp. 319-329. 

  18. 정회성(2000). “남북 환경실태와 남북환경협력의 과제와 방향”, 북한과학기술연구, 제5집, pp. 61-82. 

  19. 최동진(2005). “공유 수자원의 합리적 관리제도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 보고회. 

  20. 최동진(2009). “공유하천 관리, 협력사업 연계.통합하여 추진 필요”, 워터저널, 11월. 

  21. 황진희(2009). “임진강 사태로 본 공유하천 분쟁 해결방안”, 북한해양수산리뷰, 제6호. 

  22. Bulloch, J., and Darwish, A. (1993). Water Wars: Comming Conflicts in the Middle East, London : Victor Gollancz 

  23. Cooley, J.K. (1984). The War over Water, Foreign Policy, No. 54, pp. 3-26. 

  24. Cooper, J. (1983). Reconstructing history from ancient inscriptions: the Lagash-Umma border conflict. Undena, Malibu, CA, USA. 

  25. Leavesley, G.H., Lichty, R.W., Troutman, B.M., and Saindon, L.G. (1996), Precipitation-runoff modeling system-User's Manual: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83-4238. pp. 208. 

  26. Singh, V.P. (1995). Watershed modeling. Singh, V.P. ed.,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1st Edition), pp. 1-22, Highlands Ranch, Colorado,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