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른 북한강 하천유지유량 평가
Evaluation of instream flow in Han river according to the Imnam dam operation in North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1, 2020년, pp.71 - 82  

이재경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장석환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임남재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공유하천인 북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라 북한강 댐들의 하천유지유량 확보여부에 대해 평가하였다. WAMIS 자료 기준 1991. 01~2018. 12 기간 동안의 시자료, 일자료, 월자료의 댐 유입·유출량 자료를 기준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평균 자료를 이용한 물수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평화의댐-화천댐과 춘천댐-소양강댐-의암댐의 댐 방류량 기준 상류유역 유입량이 (-)값으로 산정되었으나 일평균이나 월평균에서는 합리적으로 추정되어 자료의 시간단위에 따라 댐유입량·방류량 물수지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임남댐 운영 후에 화천댐 월평균 유입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남댐 운영이 북한강 수계 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임남댐 운영으로 인한 북한강 수계 댐들의 유입량과 총방류량의 감소에 따른 하천유지유량 총부족량과 부족시간의 증가비율이 최대 +330%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임남댐 운영이 하천유지유량 부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중요성이 커지는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하는 다양한 방안 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stream flow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Imnam Dam in North Korea. The water budget and instream flow satisfaction were analyzed using hourly, daily and monthly data of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from Jan...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본적인 댐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Table 2와 같이 댐 운영 자료를 WAMIS(www.wamis.go.kr)에서 취득하였으며, 이 자료를 이용하여 북한강 유역에 위치한 댐들의 운영을 분석하였다. 가용한 댐 운영 자료의 시간적인 범위는 1992년 5월에서 2018년 12월(소양강댐)까지인데댐들 간의 비교를 위해 검토 대상의 모든 댐 운영 자료가 가용한구간을 선택하였다.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임남댐 운영이 북한강 수계에 위치한 댐들의 운영과 하천유지유량 충족에 영향을 주었는 지를 검토하였다. 분석방법은 임남댐 운영이 시작된 2003년을 기준으로 하여 운영 전과 운영 후로 구분하여 유입량·총방류량·발전방류량·여수로방류량과 하천유지유량 부족량및 부족시간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7(화천댐, 춘천댐, 팔당댐만 제시)과 같다.
  • 첫 번째로 북한강 수계에 위치한 댐들에 대해 간략히 물수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북한 임남댐 운영 전과 후에 따라 북한강 수계 댐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임남댐 운영에 따라 북한강 수계 댐들의 하천유지유량 확보여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유하천인 북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라 북한강 댐들의 하천유지유량 확보여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북한강 수계에 위치한 댐들에 대해 간략히 물수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두 번째로 북한 임남댐 운영 전과 후에 따라 북한강 수계 댐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임남댐 운영에 따라 북한강 수계 댐들의 하천유지유량 확보여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공유하천인 북한강 유역에 위치한 댐들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 임남댐을 시작으로 평화의댐, 화천댐, 춘천댐, 소양강댐, 의암댐, 청평댐, 팔당댐까지 살펴보았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의 하천유지유량 총 부족량인 1,667 백만 톤을 기준으로 댐들이 이 부족량을 일시에 충족해야 하는 것으로 우선 고려하였다. 각 댐별 담수 계획 수위는 강수전망 ․ 유입량 ․ 용수공급능력 ․ 발전방류 등의 계획을 검토하여 수위를 산정하게 된다.
  • 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우선 북한강 유역 내 기존 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실현가능성이 희박하나 우선 평화의댐과 화천댐의 연계 운영을 통하여 하천 유지유량 부족량을 만족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현재 평화의댐에는 담수를 위한 수문(gate)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설치가능하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기존 댐을 변경하는 계획하에 진행하여야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유하천인 북한강 유역을 대상으로 북한 임남댐 운영에 따라 북한강 댐들의 하천유지유량 확보여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북한강 수계에 위치한 댐들에 대해 간략히 물수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북한 임남댐 운영 전과 후에 따라 북한강 수계 댐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임남댐 운영에 따른 평화의댐과 화천댐 영향분석을 위해 임남댐(2003년 6월~2018년 12월), 평화의댐(2004년 1월~ 2018년 12월), 화천댐(1991년 1월~2018년 12월)의 월평균유입량, 방류량, 강수량 자료를 활용하였다. 임남댐과 평화의댐 사이에는 오작교 수위관측소가 존재하나 유량환산값이 존재하지 않고 수위변화를 하류의 유량변화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어 평화의댐 유입량을 임남 댐의 방류량으로 가정하여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4와 Fig. 3과 같다. Table 4는 전체기간과 임남댐 운영 전후(2003년)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기간(홍수기+갈수기)와 갈수기의 화천댐 유역의 월평균 면적평균강수량과 월평균유량을 비교한 표이며,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강 유역은 어떤 하천인가? 한강 유역은 크게 남한강·북한강·임진강 유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한강 수계를 제외한 북한강 수계와 임진강 수계는 북한지역에서 발원하여 남과 북의 군사분계선을 통과하여 연결되어 있는 실질적인 공유하천이다.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과 더불어 지구온난화 등에 기인한 극심한 가뭄과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기후요소의 불확실성까지 증가하면서 효율적인 물 관리의 중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강 유역에서 물 관리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이유는? 한강 유역은 크게 남한강·북한강·임진강 유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한강 수계를 제외한 북한강 수계와 임진강 수계는 북한지역에서 발원하여 남과 북의 군사분계선을 통과하여 연결되어 있는 실질적인 공유하천이다.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과 더불어 지구온난화 등에 기인한 극심한 가뭄과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기후요소의 불확실성까지 증가하면서 효율적인 물 관리의 중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반도는 동쪽이 산악지형인 동고서저의 지리적 형태가 한반도 허리부분을 동서로 횡단하고 있는 지리학적 특성이 존재하며, 이 역시 효율적인 수문관리를 어렵게 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물 이용측면에서 북한강의 특징은? 북한강은 물 이용측면에서 수자원 부존은 물론 하천의 지형적 특성상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청평, 의암, 춘천, 소양강 및 화천댐 등이 건설되어 있어 우리나라 강 중 수자원 이용이 가장 활발한 하천이다. Table 1과 같이 북한강은 임진강을 제외한 한강의 제1지류로 유역면적이 10,76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Ahn, J., Jung, K., and Lee, G. (2011). "Problems of water use of estimation of water right in North Han River shared by North and South Korea (I) - Analysis of diversion impacts on downstream area by Imnam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4, pp. 305-314. 

  2. Bae, J.A. (2018). Estimation of Instream Flow for the protection of Acheilognathus somjinensis's habitat in the Downstream of the Dam, Seomjin River : Using by PHABSIM Model. Masters dissertation, Jeonnam Univeristy, Gwangju, Korea. 

  3. Jang, C.H., Kim, H.J., Noh, S.J., and Kim, C.G. (2005). "The water cycle analysis of Kyeongancheon-watershed by using GSSHA." Proceeding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75-79. 

  4. Kang, B.S., and Lee, G.M. (2005). "Holistic hierarchical approach to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 Tumen international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4, pp. 323-332. 

  5.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KEI) (2010). Developing a framework of wate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transboundary rivers of South and North Korea. Research Report 2010-07, Korea Environmental Insitute, Sejong, Korea. 

  6. K-water (2002). Water vision: trend analysis report. K-water, Daejeon, Korea. 

  7. Lee, G.M., Kang, B., and Hong, I.-P. (2008). "Cooperative framwork for conflict mitigation and shared use of South-North Korea transboundary riv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5B, pp. 505-514. 

  8. Sah, D. (2017). "Inter-Korean shared river conflict and German integration case." Procee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pp. 2023-20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