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버섯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의 개발 및 버섯의 활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에 따른 만두피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새송이버섯 분말을 2%, 4%, 6%로 함량을 달리하여 만두피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조리 후의 중량 및 만두피의 부피는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 시 증가하였다. 수분흡수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조리후의 탁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분말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은 증가하였고, b값은 6%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을 조사한 결과, 경도는 분말 첨가구에 비해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다. 부착성은 분말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탄력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 2% 첨가 시까지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다가 4% 이상 첨가 시탄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씹힙성과 검성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집성은 2%, 4% 첨가구는 대조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새송이버섯 분말 6% 첨가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적 특성 조사결과 분말 6% 이상 첨가 시 색깔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두피의 향미, 맛, 매끄러운 정도, 촉촉한 정도, 치아에 달라붙는 정도는 새송이 분말 첨가에 의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씹힙성은 대조구에 비해 분말 첨가구에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새송이버섯 분말을 이용한 만두피의 제조 시에는 새송이 버섯 분말의 첨가량을 4%까지 첨가할 경우 만두피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만두피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s with added Pleurotus eryngii powder (PP) (2%, 4%, 6%). The weight after cooking and volume of the dumpling shell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P. The water absorption of the dumpling shells was not significant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두피에 다양한 원료를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본 연구로는 성분배합에 따른 만두피의 물성변화(18), 홍어 분말 (20), 볶은 콩가루(21), 새우 분말(22)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 만두피에 대한 특성연구가 있으며, 버섯을 만두피 제조에 활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 재배되어 대량생산되고 있는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 및 버섯 재배농가의 소득 창출 등을 위해 새송이 버섯을 첨가한 만두피에 대한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버섯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의 개발 및 버섯의 활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에 따른 만두피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새송이버섯 분 말을 2%, 4%, 6%로 함량을 달리하여 만두피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조리 후의 중량 및 만두피의 부피는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 시 증가하였다.

가설 설정

  • 3)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송이버섯이란 무엇인가? 새송이버섯은 느타리버섯속(Pleurotus)에 속하는 버섯으로 버섯의 줄기가 일반 느타리에 비해 굵고 길며, 주로 아열 대지방의 대초원에서 발생하며 분포지역은 유럽남부, 중앙 아시아, 아프리카북부, 러시아 남부 등지에서 자생하는 버섯이다(3,4). 새송이버섯은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하며 건조물 에는 약 3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효과적인 단백질의 공급원이며 식이섬유 및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을 함유 하고 있다(5).
버섯은 어떤 특성으로 인해 저장에 어려움을 겪는가? 버섯은 식물학 상으로 곰팡이와 같은 종류로 담자균류에 속하고 엽록소를 가지지 않은 균류 중에서 대형의 자실체 (fruit body)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특유의 향미를 가지고 있으며 동서양 모두에서 요리 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다양한 효소류의 활성이 높아 색상과 조직변화를 동 반하기 쉬우며(1), 타작물에 비하여 조직이 연하고 부패, 변질되기가 쉬워 저장이 어려운 까닭에 통조림, 병조림, 염지, 건조 등을 하여 저장한다(2).
새송이버섯의 영양성분은 무엇인가? 새송이버섯은 느타리버섯속(Pleurotus)에 속하는 버섯으로 버섯의 줄기가 일반 느타리에 비해 굵고 길며, 주로 아열 대지방의 대초원에서 발생하며 분포지역은 유럽남부, 중앙 아시아, 아프리카북부, 러시아 남부 등지에서 자생하는 버섯이다(3,4). 새송이버섯은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하며 건조물 에는 약 3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효과적인 단백질의 공급원이며 식이섬유 및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을 함유 하고 있다(5). 새송이버섯의 소비가 확대되면서 인공재배를 통한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저장이 어려우며 수요 공급의 균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가격이 폭락하는 등 생산 농가의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incer I, Dost S. 1996. New correlations for heat transfer coefficients during direct cooling of products. Int J Energy Res 20: 587-594. 

  2. Hong TH. 2010. Modern food material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6. 

  3. Rajarathnam S, Bano Z. 1987. Pleurotus mushrooms. Part 1 A. Morphology, life cycle, taxonomy, breeding and cultivation. Crit Rev Food Sci Nutr 26: 157-223. 

  4. Stamets P. 1993. Growing gourmet and medicinal mushrooms. Ten Speed Press, Hong Kong. p 304-308. 

  5. Jin SK, Kim IS, Kim DH, Jeong KJ, Moon SS. 2006. Effect of Pleurotus eryngii and meat particle size on sausage qualit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343-348. 

  6. Kim YS. 1998. Quality of wet noodle prepared with wheat flour and mushroom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73-1380. 

  7. Yoon SR, Lee MH, Kim HK, Lee GD. 2006. Change in functional properties by extraction condition of roasted Pleurotus eryn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62-270. 

  8. Hwang YJ, Nam HK, Chang MJ, Noh GW, Kim SH. 2003. Effect of Lentinus edodes and Pleurotus eryngii extracts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17-222. 

  9. Cho HS, Lee HJ, Lee SJ, Shin JH, Lee HU, Sung NJ. 2008. Antioxidative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and its byproducts. Journal of Life Science 18: 1360-1368. 

  10. Kim HK, Han HS, Lee GD, Kim KH. 2005.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resh Pleurotus eryngi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39-445. 

  11. Kang TS, Kang MS, Sung JM, Kang AS, Shon HR, Lee SY. 2001. Effect of Pleurotus eryngii on the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in diabetic rats. Korean J Mycol 29: 86-90. 

  12. Lee JY, Lee KA, Kwak EJ.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657-815. 

  13. Jeong CH, Shim KH.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mushroom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16-722. 

  14. Sung SY, Kim MH, Kang M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05-411. 

  15. Ko MS, Kim SA. 2007.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94-199. 

  16. Kim YJ, Jung IK,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83-189. 

  17. Hwang SH, Chung HS, Youn KS. 2004.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on quality changes in mushrooms (Pleurotus eryngii ) during pickling with fermented soybean pas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251-256. 

  18. Kang KS, Kim BS. 2003. Changes of rheology on the dumpling shell by added materials. Korean J Food Preserv 10: 498-505. 

  19. Kim DH. 2006. Rediscovery of dumplings: recovery of sales level before a dumpling market crisis. Weekly Chosun 2006. 5. 16. 

  20. Cho HS, Kim K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ndupi with Skate (Raja kenojei ) flour. Korean J Food Culture 23: 252-257. 

  21. Pyun JW, Nam HW, Woo IA.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du-pi differing in roasted soy flour content. Korean J Food & Nutr 14: 287-292. 

  22. Kim KH, Park BH, Cho YJ, Kim SR, Cho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rimp flour added dumpling shell. Korean J Food Culture 24: 206-211. 

  23.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