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에 관한 질적 연구 - 어머니들의 관점에서 -
Qualitative Study on Participating in Filial therapy - focusing mothers'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1, 2011년, pp.21 - 38  

김숙경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others' experiences in filial therapy and to investigate them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For these purposes, three mothers were observed in a filial therapy process from a counselor and researcher perspective from December 2009 to April 23, 2010....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이유로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놀이 치료 참여에 관해 연구자는 연구를 설계할 당시 상담자로서 참여 관찰을 해야겠다는 판단을 내렸는가? 본 연구는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참여에 관한 연구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드러나는 어머니들의 체험 양상과 의미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연구 과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현장에 들어가는 일은 필수적이다(김영천, 2006). 그런 이유로 연구자는 연구를 설계할 당시 상담자로서 참여 관찰(participant observation)해야겠다는 판단을 내렸다.
아동상담에 참여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아동상담에 참여하는 주체는 아동, 상담자, 그리고 부모이다. 성인상담과는 다른 점이 바로 부모가 상담에 참여한다는 점이다.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체험 양상을 드러내 보이기 위해 어떤 4가지 체험 형식으로 반성해보고자 하였나?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체험 양상을 드러내 보이기 위해 시간, 공간, 관계와 신체라는 4가지 체험 형식으로 반성(reflection)해보고자 하였다. 그들의 체험의 양상을 4가지 체험 형식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은 그들의 생활세계를 현상학적 관점에서 면밀히 들여다볼 수 있는 길이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 

  2. 김재환, 부정민. (2006). 게임놀이치료를 활용한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자녀에 대한 부모의 수용 능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 가족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7(6), 107-121. 

  3. 백지은, 이정숙. (2009).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상호작용에서의 공감 및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리불안아동을 대상으로-. 아동학회지, 30(4), 99-116. 

  4. 서덕희. (2009). 문화와 교육의 개념의 실존성: '살아있는' 교육인류학을 위한 소고. 교육인류학연구, 12(2), 1-44. 

  5. 이근호. (2007).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독특성과 보편성 사이의 변증법적 탐구 양식. 교육인류학 연구, 10(2), 41-64. 

  6. 이수정, 박찬국. (1999). 하이데거.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7. 이은하. (2006).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한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증진과 자녀의 행동문제 감소에 관한 연구 -산후 우울증을 경험한 어머니와 그 자녀를 대상으로-. 놀이치료연구, 10(1), 49-66. 

  8. 이은하, 정계숙. (2006). 형제관계 개선을 위한 부모-자녀 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아동학회지, 27(1), 45-65. 

  9. 이진경. (1997).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서울: 푸른숲. 

  10. 이진경. (2000). 근대적 주거공간의 탄생. 서울: 소명출판. 

  11. 이진경. (2002a). 노마디즘 1. 서울: 휴머니스트. 

  12. 이진경. (2002b). 노마디즘 2. 서울: 휴머니스트 

  13. 장미경. (1998). 아동중심놀이치료 기법을 이용한 부모자녀관계증진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장미경, 손금옥, 김성은. (2009). 놀이치료를 활용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의 공감능력 및 자녀의 정서행동문제의 변화과정 분석.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2), 325-340. 

  15. 장미경, 손금옥, 서지영. (2007). 아버지의 공감능력 증진과 유아기 자녀의 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부모놀이 치료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3), 97-113 

  16. 정계숙, 이은하. (2005).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한 유아의 가정 내 대인적 행동문제 감소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1(4), 111-138. 

  17. 정계숙, 이은하. (2008). 부모-자녀 놀이치료를 통한 부적응 유아의 대인관계 증진 사례연구. 아동학회지, 29(1), 63-86. 

  18. 정계숙, 이은하, 고은경. (2006). 부모-자녀 놀이치료 과정에서 어머니의 자기보고에 나타난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반성과 그 의미. 아동학회지, 27(6), 13-34. 

  19. 조용환. (1997). 사회화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20. 조용환. (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 교육과학사. 

  21. 조용환. (2001).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 관계. 교육인류학연구, 4(2), 1-27. 

  22. 최명선, 김광웅. (2005). 아동상담에서 부모와 치료자간 치료관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6(3), 111-125. 

  23. 최영희. (2006). 부모교육으로서의 부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7(5), 1-17. 

  24. 최영희. (2007a). 공감과 수용에 초점을 둔 부모놀이치료의 추후효과. 아동학회지, 28(3), 45-59. 

  25. 최영희. (2007b). 부모놀이치료 효과 재검증.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4), 53-63. 

  26. 한경애. (2007). 놀이의 달인, 호모루덴스. 서울: 그린비. 

  27. Andronico, M., & Blake, (1999). The application of filial therapy to young children with stuttering problem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 36(30), 337-381. 

  28. Bavin-Hoffman, R., Jennings, G., & Landreth, G. L. (1996). Filial therapy : Parental perceptions of the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5(1), 45-58. 

  29. Bollnow, O. F. (1971). Padagogok in anthropopogischer Sicht. Tokyo: Tamagawa Univ. Press. 오인탁 옮김 (1982). 교육의 인간학. 서울: 문음사. 

  30. Bollnow, O. F. (1981). Philosie der Erkenntnis. Stuttgart: Kohlhammer. 백승균 옮김 (1993). 인식의 해석학. 서울: 서광사. 

  31. Bratton, S. (1993). Filial therapy with single parent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Denton. 

  32. Bratton, S., & Landreth, G. (2006). Child Parent Relationship Therapy(CPRT): 10 Session Filial Therapy Model). 김양순 옮김 (2008). 놀이치료를 통한 부모-자녀 관계 치료 10세션 부모-자녀 놀이 치료 모델. 서울: 학지사. 

  33. Bratton, S., & Landreth, G., Kellam, T., & Blackard, S. (2006). Child Parent Relationship Therapy (CPRT) Treatment Manual: A 10-Session Filial Therapy Model for Training Parent. NY: Routledge. 

  34. Chau, I., & Landreth, G. (1997). Filial therapy with chinese parents: Effects on parental empathic interaction, parental acceptance of child and parental 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6(2), 75-92. 

  35. Edwards, N., Ladner, J., & White, J., (2007). Perceived Effectiveness of Filial Therapy for a Jamaican Mother: A Qualitative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6(1), 36-53. 

  36. Gadamer. H. (1990). Wahrheit und Methode. 이길우, 이선관, 임호일, 한동원 옮김 (2000). 진리와 방법. 서울: 문학동네. 

  37. Glover, G. J., & Landreth, G. L. (2000). Filial Therapy with Nativr Americans on the Flathead Reser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9(2), 57-88. 

  38. Guerney, B. G. Jr. (1964). Filial therapy; Description and rationale.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28, 303-310. 

  39. Jo, Y. H. (1989). Understanding the boundaries of make-belive: An ethnographic case study of pretend play among Korean children in U. S. A community.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40. Kale, A. L., & Landeth, G. L. (1999). Filial therapy with parents of children experiencing learning difficul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2(8), 35-56. 

  41. Kidron, M. (2004). Filial Therapy with Israeli patents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2003).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A, 64(12), 4372. 

  42. Lahti, S. L. (1993).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filial therapy process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1992).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A, 53(08), 2691. 

  43. Lee, K. (2005). A Traveller's Tale: The Experience of Study in a Foreign Langu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AB. 

  44. Lee, M., & Landreth. G. L. (2003). Filial therapy with immigration Korean parents in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2(2), 67-85. 

  45. McGuire. D. K. & McGuire. D. E. (2001). Linking parents to play therapy. 김광웅, 강은주, 진화숙 옮김 (2008). 놀이치료에서의 부모상담. 서울: 시그마프레스. 

  46. Merleau-Ponty, M. (1945). Phenomenology of perception. 류의근 옮김 (2002). 지각의 현상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47. Smith, N., & Landreth, G. L. (2003). Intensive filial therapy with child witnesses of domestic violence: A comparison with individual and sibling group.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2(1), 67-88. 

  48. Solis, C. M., Meyers, J., & Varjas, K. M. (2004).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process and impact of filial therapy with an African American par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3(2), 99-118. 

  49. Spradlley. J. P. (1980). Participation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50. Steen, R. L. (2005). Adapting filial therapy for families who have a child with a life-threatening illness(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2004).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B, 65(08), 4306. 

  51. Taylor, S. (2002). The tending instinct: How nurturing is essential for who we are and how we live. 임지원 옮김 (2008). 너와 나를 묶어 주는 힘 보살핌. 서울: 사이언스 북스. 

  52. Tew, K., Landreth, G. L., Joiner, K., & Solt, M. (2002). Filial therapy with parent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1(1), 79-100. 

  53. Tuan, Yi-Fu. (1977).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essota: Univ. of Minessota Press. 구동희, 심승희 옮김 (2005). 공간과 장소. 서울: 대윤. 

  54. van Manen (1994).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신경림, 안규남 옮김 (1994).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동녘. 

  55. Winek, J., Lambert-Shute, J., Johnson, L., Shaw, L., Krepps, J., & Wiley, K. (2003). Discovering the moments of moments of moment in Filial therapy: A single case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2(1), 89-104. 

  56. Yuen, T., & Landreth, G., & Baggerly, J. (2002) Filial Therapy with immigrant Chinese famil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1(2), 63-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