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외향성, 경험에의 개방성과 창의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Undergraduate Student's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Creativity and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ity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3 no.2, 2012년, pp.117 - 128  

윤정진 (동명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nner in which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nd creativit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ity in extraversion-school adjustment and openness to experience-school adjustment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추후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뿐 아니라 학교환경 변인과 사회 환경 변인 등을 포함함으로써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격적 특성 및 창의성과 학교생활적응을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초기 연구이다. 대학생의 성격 특성을 무엇으로 측정하느냐, 어떠한 하위요인을 포함하는가, 혹은 창의성을 어떻게 측정하느냐(인성, 문제해결, 사고, 산출물 등)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외향성, 경험에의 개방성, 창의성이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선정한 연구모형은 Fig.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특성 및 창의성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외향성, 경험에의 개방성 및 창의성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특히 대학생의 경험에의 개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2001). 본 연구에서는 RIBS를 통해 창의성을 측정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측면에서 창의성이란 일상생활에서 독창적이고 융통성 있는 생각을 통해 유용한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정의에 입각하여 대학생의 창의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창의성은 개인과 사회에 매우 가치로운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외향성, 경험에의 개방성, 창의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외향성 및 경험에의 개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대학 1곳, 수도권 소재 대학 3곳, 경남 지역 소재 대학 1곳에 위치한 5개 대학의 대학생 25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본 연구자와 타 학교 교수 등의 강의시간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과 익명성에 대해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총 배부된 설문지는 290부였으며, 이 중 성실하지 못한 응답 38부를 제외한 총 25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독립변인에서 매개변인으로 가는 경로와 매개변인에서 종속변인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해야 하고, 간접효과가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대학생의 경험에의 개방성이 창의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경험에의 개방성이 창의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Z는 4.
  • 외향성이 높고, 경험에의 개방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성격 요인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대학생들이 고민하는 학업과 진로 또한 창의성과 관련이 깊다. 창의적인 대학생들일수록 자신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하고자 노력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발달적 전환기에 놓인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예를 들면, 대학생들의 전공체험 프로그램, 취업관련 인턴십 등)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해보고, 전공과 관련된 새로운 산출물들을 만들어보는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특성 및 창의성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외향성, 경험에의 개방성 및 창의성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특히 대학생의 경험에의 개방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가? 외향성은 타인과의 교제나 상호작용을 원하고 타인의 관심을 끌고자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MaCrae & Costa 1997) 외향성은 사회생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성격요인으로 볼 수 있다. 외향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문제에 대한 대처능력이 높고 이에 따라 학교생활에서의 적응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Ha et al. 2008; Lee 2003).
일반적으로 5가지 성격요인은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신경증, 성실성, 호감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각각 무엇인가? 5가지 성격요인의 명칭은 학자들 간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신경증, 성실성, 호감성 등으로 구분된다(MaCrae & Costa 1997). 외향성은 대인관계의 양과 강도를 의미하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지적자극, 변화, 다양성을 좋아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신경증은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성실성은 사회적 규칙, 규범, 원칙을 지키려는 정도를 나타내고, 호감성은 개인이 타인에 대해 갖는 친화적인 태도나 성향을 의미한다. 성격요인 중 사회성향(외향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a et al.
적응이란 무엇인가? 적응이란 개인이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개인과 환경 간의 조화, 즉 그 사회가 가진 규범, 질서에 부합되고 일치된 행동을 함으로써 개인이 자기의 생활을 원만하게 이끌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Schaffer & Schoben 1956).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생활적응이란 학업적, 사회적, 정의적 측면에서의 요구를 합리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 학교 환경에 순응하거나 혹은 그 환경을 변화시키고 조작하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Choi & Ki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ker RW, Siryk B(1986) Exploratory intervention with a scale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 Counseling Psychology 33, 31-38. 

  2. Bandalos DL, Finney SJ(2001) Item parceling issu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G. A. Marcoulides & R. E. Shumaker (Eds.)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 Barron F(1988) Putting creativity to work.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Chang HS(1999) Adolescent Psychology. Seoul: Hakjisa. 

  5. Choi IS, Kim CH(2004) The effects of sex-role identity upon school adjustment behavior. Korean J Educ Psychology 18, 132-143. 

  6. Chung EI(2003) Relationships of everyday creativity to psychological and social adjustment. J Res Educ 18, 103-120. 

  7. Chung EI(2007) The effect of stress and everyday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on career decisionmaking. Korean J Educ Methodology Stud 19(2), 143-162. 

  8. Chung EI(2008) Relationships of everyday creativity to love attitude,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al satisfaction. J Res Educ 32, 95-117. 

  9. Chung OB, Chung SH, Lim JH, Kim KE, Park YJ(2011) An investigation of the creativity as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 Human Ecology 20(1), 39-55. 

  10. Coplan RJ, Prakash K, O'Neil K, Armer M(2004) Do you 'want' to play? Distinguishing between conflicted-shyness and social disinterest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0, 244- 258. 

  11. Csikszentmihalyi M(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 Row. 

  12. Dollinger SJ, Urban KK, James TA(2004). Creativity and openness: Further validation of two creative product measures. Creativity Res J 16, 35-47. 

  13. Feist GJ(1998) A meta-analysis of personality i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 2, 290-299. 

  14. Furnham A, Bachtiar V(2008)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creativ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7), 613-617. 

  15. Furnham A, Batey M, Anand, K, Manfield J(2008) Personality, hypomania, intelligence and creativ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 1060- 1069. 

  16. Gazelle H, Ladd GW(2003) Anxious solitude and peer exclusion: A diathesis-stress model of internalizing trajectories in childhood. Child Development 74, 257-278. 

  17. George JM, Zhou J(2001) Understanding when bad moods foster creativity and good ones don't: The role of context and clarity of feelings. J Applied Psychology 87, 687-97. 

  18. Goldberg LR(1992) The development of markers of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Psychological Assessment 4, 26-42. 

  19. Gonzales NA, Tein J, Sandler IN, Friedman RJ(2001) On the limits of coping: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coping for inner-city adolescents. J Adolescent Res 16, 372-395. 

  20. Ha DH, Hwang HI, Nam SI(2008) The development of Big 5 personality inventory and its criterion-related validity on school grade, school adaptation, and career selection. Korean J Educ Psychology 22(3), 609-629. 

  21. Kim KE(2011) Emotions, openness to experience, self-efficacy and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Korean J Human Development, 18 (1), 1-18. 

  22. Kim KH, Kwon HJ, Choi MH(2004) The relationship of personality, sensation seeking and adjustment to school in the adolescents. J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 13(4), 476- 486. 

  23. Kim JB, Kim TE(200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chool happiness scale. Korean J Educ Psychology 22(1), 259-279. 

  24. Ladd GW, Kochenderfer BJ, Coleman CC(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 1103-1118. 

  25. Laidra K, Pullman H, Allik J(2007)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A cross-sectional study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J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42(3), 441-451. 

  26. Lazarus RS,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27. Lee JK(2005)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work prefer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Korean J Educ Psychology 19(2), 413-432. 

  28. Lee OJ(2003) Eysenck's personality dimensions and stress coping styles as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7(3), 77-85. 

  29. Lounsbury JW, Sundstrom E, Loveland JM, Gibson LW(2003) Intelligenc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work drive as predictors of course grad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231-1239. 

  30. MacKinnon DW(1969) Personality inventory correlates of creativity among architects. J Applied Psychology 53, 322-326. 

  31. McCrae RR, Costa PT(1997) Conceptions and Correlates of Openness to Experience. In Hogan R, Johnson JA, Briggs SR (Eds.), Handbook of Personality Psychology (pp. 825- 847). Orlando, FL: Academic Press. 

  32. Runco MA, Richards R(1998) Eminent Creativity, Everyday Creativity, and Health. Greenwich, CT: Ablex. Simonton. 

  33. Runco M.A, Plucker JA, Lim W(2001)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integrity of a measure of ideational behavior. Creativity Research J 13, 393-400. 

  34. Shaffer LF, Shoben EJ(1956) The Psychology of Adjustment. Boston: Houghton Mifflin. 

  35. Silvia PJ, Nusbaum EC, Berg C, Martin C, O'Connor A(2009) Openness to experience, plasticity, and creativity: Exploring lower-order, higher-order, and interactive effects. J Res Personality 43, 1087-1090. 

  36. Sobel ME(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 (pp.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37. Spencer MB(1999)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cultural ecological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34(1), 43-45. 

  38. Sternberg RJ, Lubart TI(1992) Buy low and sell high: An investment approach to creativit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1), 28-57. 

  39. Sternberg RJ, Grigorenko EL, Singer JL(2004) Creativity: The Psychology of Creative Potential and Realiz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0. Vollrath M, Torgersen S, Alnaes R(1995) Personality as longterm predictor of cop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8, 117-125. 

  41. Yoo TY, Kim MU, Lee DH(1997) The Big-Five personality test : Development and criterion-related validation. Korean J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0(1), 85-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