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톳 (Hizikia fusiforme)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증가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2, 2011년, pp.111 - 117  

송호수 (부경대학교 식품가공센터) ,  엄성환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영미 ((주)마린바이오프로세스) ,  최종덕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김영목 (부경대학교 식품가공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viously reported that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brevis LB-20 isolated from Kimchi resulted in improvement of the sensory quality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to improve the func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톳 특유의 이취를 경감시키면서 GABA 와 같은 유용성분을 증대시키는 유산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톳 발효 추출액의 상업적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산균 발효에 의한 톳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세포 독성 평가 및 항염 활성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 이상의 항산화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톳 추출액은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radical, alkyl radical과 같은 각종 유해 radical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활성은 유산균 발효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유산균 발효에 의해서 세포 독성이 생성되지 않는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이후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톳은 무엇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가? 톳 (Hizikia fusiforme)은 다시마와 더불어 천연 정미 성분인 아미노산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 등)과 혈액응고작용 (Kim et al., 1998), 면역증강작용 등의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중성다당류인 laminaran과 함황산성 다량류인 fucoidan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oo et al., 1995; Koo et al.
톳과 같은 해조류의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이용할 때, 해조류를 열수 추출이나 알칼리, 산 또는 효소처리 등에 의하여 추출 후 가공하는 방법들의 단점은 무엇인가? , 1997; Kim and Bae, 2002). 그러나 이러한 추출공정은 해조류에 포함되어 있는 탄수화물의 대부분이 비소화성 복합다당류로서 산이나 알칼리에 비교적 안정하고 특수한 미생물 효소에 의하지 않고서는 분해되기가 어려워 여러 가지 생체 활성 물질의 변질 및 파괴 등을 수반하는 결과를 초래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추출해내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Lim et al., 1995; Kim and Bae, 2002).
톳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 2006). 톳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톳에서 추출한 fucoidan의 화학적 특성 (Koo et al., 1995; Koo et al., 1997), 톳 추출물들에 대한 향균성에 관한 연구 (Kim, 1990; Kim et al., 1994; Lim et al., 1995) 및 톳 추출물이 지질대사 및 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Jang et al., 2007; Jung et al., 2001), 또한 생체 내 항고지혈증 (Shan et al., 1999), 항고콜레스테롤 (Abdussalam, 1990)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Hruch et al., 1989;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dussalam S. 1990. Drugs from seaweeds. Med Hypotheses 32, 33-35. 

  2. Bae HN and Kim YM. 2010.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qualities of sea tangle extract through fermentation by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ish Aquat Sci 13, 12-17. 

  3. Bradford MM. 1976.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4. Do JR, Kim EM, Koo JG and Jo KS. 1997.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Korean J Fish Aquat Sci 30, 291-296. 

  5. Eom SH, Lee BJ and Kim YM. 2010. Effect of yeast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a tangle water extract. Korean J Fish Aquat Sci 43, 117-124. 

  6. Guo Q. Zhao B, Shen S, Hou J, Hu J and Xin W. 1999. ESR study on the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 of tea catechins and their epimers. BBA 1427, 13-23. 

  7. Heo SI and Wang MH.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effect of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H. Kor J Pharmacogn 39, 255-259. 

  8. Hiramoto K, Kato T and Kikugawa K. 1993. Generation of DNA-breaking activity in the Maillard reaction of glucose-amino acid mixtures in a solid system. Mutat Res 285, 191-198. 

  9. Hurch FC, Meade JB, Treanor RE and Whinna HC. 1989. Antithrombotic activity of fucoidan with heparin co-factor II, antithrombin III and thrombin. J Biol Chem 6, 361-375. 

  10. Jang SE and Chyun KH. 2007. Effects of dietary calcium level and Hizikia fusiforme supplementation on bone indices and serum lipid levels in ovariectomiz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19-427. 

  11. Jung BM, Ahn CB, Kang SJ, Park JH and Chung DH. 2001.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riton-induced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84-1189. 

  12. Kang YM, Lee BJ and Kim JS. 2010.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sea tangle juice. Korean J Fish Aquat Sci 43, 1-5. 

  13. Kim HH, Park GH, Park KS, Lee JY and An BJ. 2010.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fractions from Aster glehni Fr. Schm. Kor J Micorobial Biothchnol 38, 434-441. 

  14. Kim HS and Bae TJ. 2002.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seaweed using microorganism and its application. Korean J Food Nutri 15, 257-266. 

  15. Kim JA and Lee JM. 2004. The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9, 200-208. 

  16. Kim KI, Seo HD, Lee HS, Jo HY and Yang HC, 1998. Studies on the blood anticogulant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hot water extracts on Hizikia fusifor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04-1210. 

  17. Kim SH. 1990. Antitumor effect of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herbs, seaweeds, and mushrooms in cheju island. M.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18. Kim SH, Lim SB, Ko YH, Oh CK, Oh MC and Park JS. 1994. Extraction yields of Hizikia fusiforme. by solvents and their antimicrobial effects. Korean J Fish Aquat Sci 27, 462-468. 

  19. Koo JG, Jo JS, Do JR, Park JH and Yang CB. 1995. Chem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fulvellum. Korean J Fish Aquat Sci 28, 659-666. 

  20. Koo JG, Jo KS and Park JH. 1997. Rheolog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J Korean Fish Soc 30, 329-333. 

  21. Kuppusamy P and Zweier JL. 1989. Characterization of free radical generation by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64, 9880-9884. 

  22. Lim SB, Kim SH, Ko YH, Oh CK, Oh MC, Ko YGand Park CS. 1995 Extraction yields of Hizikia fusiforme and Aloe vera Linne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ir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68-73. 

  23. Lee SJ, Kim EK, Hwang JW, Oh HJ, Yang SI, Lee SJ, Jeon BT, Kim SK and Park PJ. 2009.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ta$ -chitooligosaccharides. J Chitin Chitosan 14, 24-28. 

  24. Masaki H, Sakaki S, Atsumi T and Sakurai H. 1995.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25. Nanjo F, Goto K, Seto R, Suzuki M, Sakai M and Hara Y. 1996. Scavenging effects of tea catechins and their derivatives on 1,1-diphenyl- 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al Biol Med 21, 895-902. 

  26. Park KE, Jang MS, Kim CW, Kim YK, Seo YW and Park HY. 2005.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Hizikia fusiform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35-439. 

  27. Park PJ and Kim SK. 2007. Alk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ulfated chitooligosaccharides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J Chitin Chitisan 12, 6-10. 

  28. Rosen GM and Rauckman EJ. 1984. Spin trapping of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Methods Enzymol 105, 198-209. 

  29. Ryu HS and Kim HS. 2006. Effect of Zingiber officinale and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s on no production in macrophage of mice. Korean J Food Nutr 19, 327-331. 

  30. Shan BE, Yoshida Y, Kuroda E and Yamashira U. 1999. Immunomodulating acitivity of seaweed extract on hu-man lymphocytes in vitro. Int J Immunopharmacol 21, 59-70. 

  31. Shon JH, Kang DY, Oh HC, Jung BM, Kim MH, Shin MO and Bae SJ. 2006. The effects of antimicrobial and cytotoxicity of Hizikia fusiformis fraction. Korean J Nutr 39, 444-450. 

  32. Song HS, Kim HK, Min HO, Choi JD and Kim YM. 2011. Change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izikia fusiformis water extract by th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ish Aquat Sci 44, 104-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