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 배초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주름개선 효능
Effect of Anti-Skin Wrinkle and Antioxidant of Agastache rugosa Kentz through Fermentation Process of the lactic acid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3 no.1, 2015년, pp.37 - 42  

김남영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  박대수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현용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skin wrinkle effect of Agastache rugosa Kentz extracts by extraction processes. In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he solvent extraction, the extracts by 70% ethanol (EE) showed better biological activities that those by hot water. Therefore, further fermented A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배초향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한 후 주름 개선 활성평가를 실시 하였으며, 배초향의 추출을 기존의 단일 추출방법이 아닌 복합 추출 공정으로 발효 전처리 공정법을 실시하여 수율 및 활성증진을 높이고자 하였다 (Park et al., 2004).
  • 본 연구는 배초향의 항산화 효능을 본 후 항노화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의 탄력 유지 단백질인 collagen생성과 collagen의 생성을 저해하는 효소 MMP-1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배초향 추출물의 주름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배초향에 발효공정을 도입함으로서 일반 종래 추출법에 비하여 항주름에 대한 효능 증진을 확인하였다.
  • 본 실험 결과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배초향의 경우도 항산화능의 증가가 동종의 균의 발효에 의한 배초향 내 acacetin, agastachin 등의 유용성분 함량 증가에 의한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유산균 발효에 의한 배초향의 구체적인 유효성분 변화에 대해서 향후 심도 있는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배초향의 항주름에 대한 결과로 향장소재로서 배초향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초향은 어디서 재배 되는가? 배초향은 꿀풀과에 속하는 작물로 동북아시아 및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에서 잘 자라나 특히 남부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Lee and Hwang, 2000; Kim et al., 1999).
배초향의 효능은 무엇인가? , 1999). 곽향이라고도 불리어지는 배초향은 식용이나 향신료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배초향의 지상부는 복통, 설사, 구토 및 위장질환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콜레라, 해열, 항균작용 (Lee et al., 2002; Kim et al., 2013)에 대한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Kim et al., 2001).
곽향이 가지는 성분은 무엇인가? , 2001). 배초향은 주로 monoterpene, sesquiterpene 및 diterpene, triterpene, flavonoid가 함유 되어있다고 보고 되었으며, 그 중 flavonoid에는 주성분으로 acacetin, tilianin, agastachin, agastachoside, isoagastachoside 등을 함유하고 있다 (Itokawa et al., 1981; Zou and Cong,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 JY, Kim YS, Park YJ, Bae JH, Oh DM, Park SM and Heo BG. (2011). Physiological activity of Agastache rugosa extract. Journal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Research. 33:1-8. 

  2. Choi WS, Kwon HS, Lim HW, No RH and Lee HY. (2013). Whitening effect of Lactobacillus rhamnosus associated with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41:183-189. 

  3. Choi WY, Lim HW, Choi GP and Lee HY. (2014). Enhancement of ginsenosides conversion yield by steaming and fermentation process in low quality fresh ginse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223-230. 

  4. Dietz BM, Kang YH, Liu G, Eggler AL, Yao P, Chadwick LR, Pauli GF, Farnsworth NR, Mesecar AD and van Breemen RB. (2005). Xanthohumol isolated from humulus lupulus inhibits menadione-induced DNA damage through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18:1296-1305. 

  5. Itokawa H, Suto K and Takeya K. (1981). Structure of isoagastachoside and agastachin, new glucosylflavones isolated from Agastache rugosa.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9:1777-1779. 

  6. Jang MJ, Jun DH, Kim SH, Han SI and Lee JT. (2013). Antiwrinkle effect of chestnut leaf. Journal of Life Science. 23:751-756. 

  7. Jhee OH and Yang CB.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 from Bangah herb.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1157-1163. 

  8. Kang DH and Kim HS. (2010). Characterization and anti-Helicobactor pylori activity of Xanthium strumarium L. extract on lactic acid fermentation.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5:244-250. 

  9. Kim HS and Ham JS.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3:186-192. 

  10. Kim KS, Kim SK, Kim YH, Kim YH and LEE JC. (2001). Comparison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extracted from Agastache rugosa by steam distillation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obacco Science. 23:65-70. 

  11. Kim JB, Kim JB, Cho KJ, Hwang YS and Park RD. (1999).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rosmarinic acid, a potent antioxidant extracted from korean Agastache rugos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2:262-266. 

  12. Kim JE, Kim AR, Kim MJ and Park SN. (2011).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Allium cepa peel extract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2:178-184. 

  13. Kim YB, Kim JK, Uddin MR, Xu H, Park WT, Tuan PA, Li X, Chung ES, Lee JH and Park SU. (2013). Metabolomics analysis and biosynthesis of rosmarinic acid in Agastache rugosa Kuntze treated with methyl jasmonate. PLOS ONE. 8:1-8. 

  14. Lee JY and An BJ. (2010).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Prunus persica Flos.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3:154-161. 

  15. Lee SE, Park CG, Cha MS, Kim JK, Seong NS, Bang KH and Bang JK.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vaud and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rium.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206-211. 

  16. Lee SY and Lee JY. (2013). Inhibitory efficacy of Smilax china L. on pro-collagen type-1 activity and MMP-1 gene expression in fibroblasts(CCD-986sk). Journal of Life Science. 23:1239-1245. 

  17. Park JH, Lee HS, Mun HC, Kim DH, Seong NS, Jung HG, Bang JK and Lee HY. (2004).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ation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Ephedra sinica Stapf, Rubus coreanus Miq.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273-278. 

  18. Park SH, Lee KH, Han CS, Kim KH and Kim YH. (2010).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36:129-136. 

  19. Ryu IH and Kwon TO. (2012). Enhancement of piperidine alkaloid contents by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472-478. 

  20. Shin DC, Kim GC, Song SY, Kim HJ, Yang JC and Kim BA. (2013).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complex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8:95-100. 

  21. Song HS, Kim HK, Min HO, Choi JD and Kim YM. (201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4:104-110. 

  22. Zou ZM and Cong PZ. (1991).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from roots of Agastache rugosa. Acta Pharmaceutica Sinica. 26:906-2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