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거세 한우의 육성기 기간에 각각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여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시 사료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60%와 티모시 건초 40% 비율로 급여하였고 TDN 함량은 71.4%, CP는 14.6% 이었다. 시험은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2007)에 따라 각각 일당 증체량 0.7 kg/일에 필요한 각각의 TDN량 2.80 kg의 공시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tripled 2 ${\times}$ 2 Latin square design으로 수행하였다. 사료 및 환경 적응기간 총 14일과 분 뇨 가스 측정기간 4일로 하여 진행하였고, 메탄가스는 후드식 챔버에서 입식되어 하루 동안 측정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보리 처리구에서 3.9 kg, 옥수수 처리구는 3.8 kg으로 보리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섭취량이 높았다(P<0.05).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사료를 급여했을 때 사료의 특성상 보리가 옥수수보다 반추위 내 정체 시간 및 소화속도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DM, CF, NFE, NDF와 ADF 소화율의 차이는 없었다. 보리와 옥수수 급여구 섭취에너지는 대사체중 당 총에너지 섭취량은 각각 337.6 kcal/$BW^{0.75}$와 337.2 kcal/$BW^{0.75}$이었다. 총 섭취에너지 중 분으로 손실된 에너지는 보리 26.5%와 옥수수 29.6% 수준이었고, 뇨로 손실된 에너지는 보리 2.8%와 옥수수 2.3% 수준이었다. 체열에 의한 손실량도 보리와 옥수수 급여구 각각 32.4%와 34.0% 이었다. 보리와 옥수수 섭취에 따른 대사율(ME/GE)은 보리 0.64(ME/GE), 옥수수 0.62 (ME/GE) 이었다. 호흡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산소,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은 보리위주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 산소 소모량 1.89 kg/day, 이산화탄소와 메탄 생성량은 2.71 kg/day와 86.8 g/day이고,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의 산소 소모량 1.68 kg/day, 이산화탄소와 메탄 생성량은 2.23 kg/day와 77.7 g/day 이었다. 육성기에서는 보리위주 농후사료와 옥수수위주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산소 소모량이 거의 같았고, 보리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이 각각 19.2%와 8.2% 높았다. 메탄배출계수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급여 시 31.7 $CH_4\;head^{-1}\;yr^{-1}$과 28.4 kg $CH_4\;head^{-1}\;yr^{-1}$로 나타났다. 메탄전환계수는 섭취한 사료에 대한 에너지 손실율이 보리는 보리 급여구에서 6.5% (0.065 Ym) 이었고, 옥수수 급여구에서 5.5% (0.055 Ym)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후드식 챔버를 이용하여 급여사료와 급여 에너지 차이가 사양시기별 한우에 의해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여 메탄 배출계수와 메탄전환계수를 예측하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에 그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hane production during anaerobic fermentation in the rumen represents an energy loss to the host animal and induces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in the environment. Our study focused on comparison in methane production from growing Korean native steers fed different grain sources. Six Hanwoo 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곡류사료원에 따른 메탄 배출량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우의 에너지원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곡물 사료원인 보리와 옥수수 주체사료를 급여하여 육성기 거세한우의 메탄 배출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 보리와 옥수수 위주 사료급여에 따른 산소소비량,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의 발생량을 Table 9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서는 보리와 옥수수의 급여에 따른 에너지 섭취 수준과 사료급여량이 산소소비량,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 발생량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호흡가스에 의해 배출되는 산소, 이산화탄소와 메탄생성량은 보리위주 농후사료를 급여했을 때 산소 소모량 1.
  • 본 연구는 거세 한우의 육성기 기간에 각각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를 급여하여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시 사료는 보리와 옥수수 위주의 농후사료 60%와 티모시 건초 40% 비율로 급여하였고 TDN 함량은 71.
  • 본 연구는 후드식 챔버를 이용하여 급여사료와 급여 에너지 차이가 사양시기별 한우에 의해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측정하여 메탄 배출계수와 메탄전환계수를 예측하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에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4) Values in parenthesis represent percentage of intake energ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간 메탄가스가 가축으로부터 발생되는 양은? 메탄의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은 이산화탄소의 21배 이상이고, 반추동물에 의해 방출되는 메탄의 양은 총 메탄발생량의 23% 이상을 차지한다(IPCC, 2001). 메탄가스는 모든 가축으로부터 연간 8천만 톤 이상이 발생되고, 이중 반추동물에 의해서 대부분이 발생되며 반추동물 중에서도 소가 75%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물소, 면양 그리고 산양으로부터 발생된다(Crutzen 등, 1986).
반추가축으로부터 메탄가스는 왜 생성되는가? 또한 메탄가스는 반추가축의 장내 발효에 의해서 생성되어 섭취에너지 중 2~12%의 손실을 가져오는데(Johnson 등, 2000), 이전의 다른 연구들에서 메탄가스에 의한 에너지 손실 범위가 보리 위주의 사료 급여시험에서 6.5~12%, 옥수수 위주의 사료를 급여한 연구에서 2~4%로 보고된 바 있다(Hashizume 등, 1968; Whitelaw 등, 1984).
반추가축에 의해 발생되는 메탄가스에 의한 에너지 손실 범위는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5~12%, 옥수수 위주의 사료를 급여한 연구에서 2~4%로 보고된 바 있다(Hashizume 등, 1968; Whitelaw 등, 1984). 이 에너지 손실 범위는 섭취 사료의 급여수준과 조성 그리고 섭취사료의 소화율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Johnson과 Johnson 1995; Moss 등, 2000; Benchaar 등, 2001). 섭취한 사료의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에 따른 반추위 정체시간의 차이에 의해서 메탄생성대사에 영양을 미칠 수 있다(Blaxter, 1962; Matsuyama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 O. A. 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 Balch, C. C. 1971. Proposal to use time spent for chewing as an index of the extent to which diets for ruminants prossess the physical property of fibrousness characteristics of roughages. Brit. J. Nutr. 26:383-392. 

  3. Beauchemin and McGinn, S. M. 2005. Methane emission from feedlot cattle fed barley or corn diets. 

  4. Benchaar, C., Pomar, C. and Chiquette, J. 2001. Evaluation of dietary strategies to reduce methane production in reminants: A modeling approach. Can. J. Anim. Sci. 81:563-574. 

  5. Blaxter, K. L. 1962. The energy metabolism of rumenants. Charles C Thomas, Springfield, IL. 

  6. Chung, Y. H., Lee, S. C., Kang, S. W., Chung, C. S. and Chung, C.Y. 1992. Estimation of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s for Korean Native Heifers. Ⅰ. Estimation of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s for Korean native heifer by metabolism trail. Korean. J. Anim. Sci. 34:293-300. 

  7. Crutzen, P. J., Aselmanm, I. and Seiler, W. 1986. Methane production by domestic animals, wild ruminants, other herbivorous fauna and humans. Tellus. 388:271-284. 

  8. Hashizume, T., Morimoto, H., Haryu, T., Itch, M. and Tanabe, S.1968. Utilization of the energy of fattening rations containing ground or steam-rolled barley by Japanese Black Breed cattle. Pages 261-271 in Energy Metabolism of Farm Animals, EAAP Publ. No. 12. K. L. Blaxter, J. Kielanowski, and G. Thorbek, ed. Oriel Press, Newcastle upon Tyne, U.K. 

  9. Hungate, R. E. 1966. The rumen and its microbes. Academic Press, New York. 

  10.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http : // www.grida.no / climate / ipcc_tar / wg1 / index.htm Accessed Apr.11, 2007. 

  11.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Inventories. 2006.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 

  12. Johnson, D. E., Johnson, K. A., Ward, G. M. and Branine, M. E. 2000. Ruminants and other animals, Chapter 8. Pages 112-133 in Atmospheric Methane: Its Role in the Global Environment. M. A. K. Khalil, ed.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Germany. 

  13. Johnson, K. A. and Johnson, D. E. 1995. Methane emissions from cattle. J. Anim. Sci. 73:2483-2492. 

  14. Kim, K. H., Oh, Y. G., Kim, W., Lee, S. C., Shin, K. J. and Jeon, B.T. 2004. Determination of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in Hanwoo steers. J. Anim. Sci & Technol. (kor) 46(2):193-200. 

  15. Lee, S. C., Thak, T. Y., Kim, K. H. and Yoon, S. G. 2003. Metabolizable energy requirement of growing Hanwoo bulls for maintenance by energy equilibrium method. J. Anim. Sci. & Technol. (kor). 45:123-130. 

  16. Matsuyama, H., Horiguchi, K., Takahashi, T., Ishida, M., Ando, S.and Nishida, T. 2000. Control of methane production from expiratory gas by ruminal dosing with mechanical stimulating goods in holstein steer. Page 215 in Proc. 9th Congr. Asian-australas. Assoc. Anim. Prod. Soc. and 23rd Biennial Conf. Aust. Soc. Anim. Prod., Sydney, Australia. Asian-australas J. Anim. Sci., Seoul, Korea. 

  17. Monteny, G. J., Groenestein, C. M. and Hilhost, M. A. 2001. Interaction and coupling between emission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from anomal husbandry. Nutr. Cycl. Agroecosyst. 60, 123-132. 

  18. Moss, A. R., Jouany, J. P. and Newbold, J. 2000. Methane production by rumints: its contribution to global warming. Ann. Zootech. 49:321-253. 

  19.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2007.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 

  20.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2007. Standard Tables of Feed Composition in Korea. 

  21. Orskov, E. R., Fracer, C. and Kay, R. N. B. 1969. Dietary factors influencing digestion of starch in the rumen and small and large intestine of early weaned lambs. Brit. J. Nutr. 23:2217-226. 

  22. Osuji, P. O., Gordon, J. G. and Webster, A, J. F. 1975. Energy exchanges associated with eating and ruminantion in sheep given grass diets of different physical forms. Brit. J. Nutr. 34:59-71. 

  23.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1 Edition. 2002. SAS Inst., Inc., Cary, NC. 

  24. Van Kessel, J. A. S. and Russell, J. B. 1996. The effect of pH on ruminal methanogenesis. FEMS Microbiol. Ecol. 20:205-210. 

  25. Whitelaw, F. G., Eadie, J. M., Bruce, L. A. and Shand, W. J. 1984. Methane formation in faunated and ciliate-free cattle and its relationship with rumen volatile fatty acid proportions. Br. J. Nutr. 52:261-275. 

  26. Williams, Y. J., Klein, L. and Wright, A. -D. G. 2007. A protocol for the operation of open-circuit chambers for measuring methane output in sheep. 

  27. Yang, W. Z., Beauchemin, K. A., Koenig, K. M. and Rode, L. M. 1997. Comparison of hull-less barley, barley, or corn for lactating cows: Effects on extent of digestion and milk production J. Dairy Sci. 80:2475-24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