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줄버섯 피해 표고골목의 특성 및 표고균과의 대치배양
Characteristics of Bed-log of Shiitake Damaged by Bjerkandera adusta and Antagonism between These Two Fungi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39 no.1, 2011년, pp.44 - 47  

박원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연구실) ,  이봉훈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연구실) ,  박영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연구실) ,  김현석 (전남산림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라남도 장흥군 일대에서 재배 중인 표고골목에 대량으로 발생한 해균을 육안과 현미경관찰 및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분석한 결과, 줄버섯(Bjerkandera adust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줄버섯이 표고골목에 대량 발생한 예는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이 해균에 대한 특성 또한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줄버섯에 의해 피해를 입은 골목 내부의 상태와 일부 생리적인 특성 및 표고균에 대한 길항력에 대해 시험을 진행했다. 먼저, 줄버섯은 표고와 같은 백색부후균이기 때문에 골목 내부의 상태가 표고에 의해 부후된 것과 비슷했다. 하지만 표고균에 의해 부후된 골목과 달리 수피 아래 목질 조직에 깨알 같은 점들이 많이 있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표고균의 최적균사생장 온도가 $25^{\circ}C$ 내외인 반면에 줄버섯균주는 $30^{\circ}C$에서 최적의 생장을 보였다. $15^{\circ}C$, $20^{\circ}C$, $25^{\circ}C$, $30^{\circ}C$에서 표고균주와의 대치배양 결과, 모든 온도조건에서 표고균주보다 균사생장이 빨라 표고균사를 덮었다. 이런 시험결과는 표고골목이 고온에 노출될 경우, 줄버섯의 대량 번식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일단 줄버섯에 오염되면 표고균이 입을 피해가 큼을 의미한다. 따라서 줄버섯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골목 내부에서 표고균이 빠르게 만연될 수 있도록 배양하면서 여름에는 골목이 고온에 노출되지 않게 관리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harmful fungus occurred seriously in bed-log of shiitake(Lentinula edodes) in Jangheung-Gun, Korea. The fungus was identified as Bjerkandera adusta by its morphology and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alysis. The fungus was reported as causal agent of stem-rot of Populus euramericana in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줄버섯은 그 분포가 세계적으로 분포된 균류로서 조건만 갖추어진다면 표고재배에 충분히 심각한 피해를 불러 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와 관련된 연구 자료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줄버섯에 오염된 표고골목의 상태를 육안 및 현미경 관찰하고 줄버섯의 배양온도, pH에 따른 균사배양 정도와 온도에 따른 표고와 대치배양 양상을 조사하여 표고골목의 해균방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줄버섯이 표고골목에 대량 발생한 예는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이 해균에 대한 특성 또한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줄버섯에 의해 피해를 입은 골목 내부의 상태와 일부 생리적인 특성 및 표고균에 대한 길항력에 대해 시험을 진행했다. 먼저, 줄버섯은 표고와 같은 백색부후균이기 때문에 골목 내부의 상태가 표고에 의해 부후된 것과 비슷했다.

가설 설정

  • B : Lentinula edodes was covered with Bjerkandera adust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고의 재배 방법과 국내에서 의존하는 재배 방법은 무엇인가? ) Pegler)는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대만 등 주로 동북아지역에서 주로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고 있는 식용버섯이다. 표고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를 통해 생산이 가능한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생산량의 대부분을 원목재배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원목재배는 자연환경에 일정부분 노출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균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다.
백색부후 균인 줄버섯이 해로운 균으로 알려진 이유는? 표고와 같은 백색부후균인 줄버섯은 표고재배에 있어서 경제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 임상에서는 사람에게 기관지 천식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Katayama et al., 2008) 해로운 균으로 알려져 있다.
백색부후균인 줄버섯의 농업 또는 공업 분야에서 쓰일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 사례는? 그러나 농업이나 공업 분야에서는 그 쓰임새가 다양해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줄버섯이 다른 담자균류와 달리 배양액 농도가 낮을 경우 배추와 무에 대한 생육 촉진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공업용 염료 분해나 화약의 주재료인 nitrocellulose의 분해에 이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조 등, 1996; Heinfling et. al., 1998; Sundaram et al., 1995). 또한 줄버섯은 높은 수준의 aryl-alcohol oxidase와 Mn 2+ -oxidizing peroxidase를 분비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저장장치인 컴팩디스크(CD)의 홈(pits)과 표면(lands)를 파괴하는 것도 확인되었다(Pelez et al., 1995; Romero et al., 2007). 이밖에도 1990년대 말에는 줄버섯이 분비하는 lignin peroxidase (Lip), manganese peroxidase (MnP), laccase (Lac)와 같은 리그닌 분해효소들을 이용한 대규모의 리그닌분해, 펄프 표백, 독성오염물질 분해에 관한 작업 구상이 있었으며(Nakamura et al., 1999), 최근에는 줄버섯이 고독성 환경오염물질 분해에 관련된 pentachlorophenol(PCP) 생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Rubilar et al., 2007), 특이하게도 항암제인 daunomycin을 분해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Kornillowicz-Kowalska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박원철, 윤갑희, 김선철, 홍기성. 2008. 표고재배 신기술. 국립산림과학원. p.25. 

  2. 조수묵, 유승헌, 신관철. 1996. 목재부후성 담자균류 배양균사체의 생물학적 연구-항균활성, 식물생 장조절활성, 항암활성, 효소활성탐색. 한국균학회지 24(1):17-24. 

  3.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한국 식물병명목록. p.44. 

  4. Doma, S. 1982. Bjerkandera adusta on young Quercus rubra and Quercus robur injured by late spring frosts in the Upper Silesia Industrial District of Poland. Europ. J. For. Pathol. 12(6):406-413. 

  5. Gardes, M. and Bruns, T. D. 1993. ITS primers with enhanced specificity for basidiomycetes. appl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mycorrhizae and rusts. Molecular Ecology 2:113-118. 

  6. Heinfling, A., Martinez, M. J., Martinez, A. T., Bergbauer, M. and Szewzyk, U. 1998.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dyes by manganese peroxidases from Bjerkandera adusta and Pleurotus eryngii in manganese-independent reaction. Appl. Environ. Microbiol. 64(8):2788-2793. 

  7. Katayama, N., Fujimura, M., Yasui, M., Ogawa, H. and Nakao, S. 2008.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and bronchial asthma attacks caused by environmental fungi. Allergology international : official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Allergology 57(3):277-280. 

  8. Kornillowicz-Kowalska, T., Wrazosek, M., Ginalska, G., Iglik, H. and Bancerz, R. 2006. Iden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a new fungal strain Bjerkandera adusta R59 in decolorization of daunomycin wastes. Enzyme & Microbial Tech. 38(5):583-590. 

  9. Nakamura, Y., Sungusia, M. G., Sawada, T. and Kuwahara, M. 1999. Lignin-degrading enzyme production by Bjerkandera adusta immobilized on polyurethane foam. J. Biosci. & Bioengin. 88(1):41-47. 

  10. Pelez, F., Martinez, M. J. and Martinez, A. T. 1995. Screening of 68 species of basidiomycetes for enzymes involved in lignin degradation. Mycol. Res. 99(1):37-42. 

  11. Romero, E., Speranza, M., Garia-Guinea, J., Martinez, A. T. and Martinez, M. J. 2007. An anamorph of the white-rot fungus Bjerkandera adusta capable of colonizing and degrading compact disc components. FEMS Microbiol Lett. 275:122-129. 

  12. Rubilar, O., Feijoo, G., Diez, C., Lu-Chau, T. A., Moreira, M. T. and Lema, J. M. 2007. Biodegradation of pentachlorophenol in soil slurry cultures by Bjerkandera adusta and Anthracophyllum discolor. Indust. & Engin. Chem. Res. 46(21):6744-6751. 

  13. Sundaram, S. T., Zhang, Y. Z., Sharma, A., NG, K. and Brodman, B. W. 1995. Screening of mycelial fungi for nitrocellulose degradation. J. Appl. Polym. Sci. 58:2287-22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