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 생장 특성 및 계통간 교잡균주의 rDNA 분석
Characteristic of mycelial growth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using replacement culture with Trichoderma and rDNA analysis in genealogy of crossbreeding strain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2 no.1, 2014년, pp.41 - 51  

오득실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  김현석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  김영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위안진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  윤병선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  박화식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  박형호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  왕승진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ta}$-glucan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꽃송이버섯의 농가재배 활성화를 위하여 푸른곰팡이 내성균주를 선발하고자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생장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생장이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하고자 교잡육종 균주에 대한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6951 (T. viride)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후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6952 (T. spp.) 균주에서는 대치선을 형성한 다음 보다 많은 포자를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6426 (T. harzianum) 균주에서는 꽃송이버섯 균사가 생장하고 있던 부분까지 모두 덮어버리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중 특이하게도 구례에서 채집선발한 균주인 JF02-06 균주에서는 다른 균주에 비해 푸른곰팡이 포자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되어 다소 푸른곰팡이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남 산림자원연구소에서 보유 중인 균주 중 생장 및 자실체 발생이 우수한 모균주를 선발하여 교잡을 실시하여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송톱밥배지에서 JF02-47, 49, 50 균주의 균사생장량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교잡육종 균주의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TS1, 5.8S와 ITS4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enebank에 등록된 다른 꽃송이버섯 균주와 높은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꽃송이버섯의 포자 및 균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생장 특성을 확인한 결과, 포자의 크기는 장경 $6{\mu}m$, 단경 $5{\mu}m$의 물방울 모양으로 확인되었고, 균사에서 3가지 형태의 꺽쇠가 관찰되었다. 균사의 폭은 $3{\mu}m$이며 꽃송이버섯 균사의 특징으로는 약 50% 정도 꺽쇠에서 균사가 뻗어나가는 특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균사의 생장 속도는 $0.507{\mu}m/min$이며, 2차 균사는 $0.082{\mu}m/min$의 속도로 생장하다가 모균사와 평행을 이루는 시점에서는 모균사의 생장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생장하였다. 꺽쇠발생은 약 5시간 동안 균사 내부 전해질의 이동이 관찰된 후 작은 꺽쇠를 형성하였다. 약 3시간 후 격막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로부터 2시간 후 최종적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꽃송이버섯의 푸른곰팡이 저항성을 확인하고, 교잡균주의 유전 다양성 및 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하여 꽃송이버섯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버섯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uliflower mushroom widely known high concent of ${\beta}$-glucan for farm cultivation invigoration verified characteristics of mycelia growth, genetic diversity, resistance to Trichoderma by replacement culture with Trichoderma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new variety crossbleeding 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β-glucan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꽃송이버섯의 농가재배 활성화를 위하여 푸른곰팡이 내성균주를 선발하고자 푸른곰팡이 대치배양에 의한 꽃송이버섯 균사생장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생장이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하고자 교잡육종 균주에 대한 유전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 일반적으로 꽃송이버섯 배양 시 발생되는 대부분의 푸른곰팡이 오염은 살균미숙보다는 배양실 내부의 잡균에 의하여 배양실에서 오염되는 특성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재배 시 푸른곰팡이에 비교적 내성이 강한 꽃송이버섯 균주를 선발하고 재배현장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푸른곰팡이 균주를 파악하고자 대치배양을 실시하였다. 먼저 꽃송이버섯 10개 균주를 20일전에 PDA (Potato Dextrose Agar) 배지 좌측에 접종하여 25°C에서 20일간 항온배양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꽃송이버섯의 푸른곰팡이 저항성 및 균사 생장 특성을 확인하고, 교잡육종을 통한 교잡균주의 유전다양성 및 현미경 관찰을 통한 균사의 기본적인 특성을 확인하여 꽃송이버섯 재배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더 나아가 버섯산업 발전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 약 3시간 후 격막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그로부터 2시간 후 최종 적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꽃송이버섯의 푸른곰팡이 저항성을 확인하고, 교잡균주의 유전 다양성 및 균사의 생장 특성을 확인하여 꽃송이버섯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버섯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송이버섯는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 버섯인가? 특히, 푸른곰팡이의 오염에 취약한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유럽, 호주 등에 분포하고 있는 식용 버섯으로 자실체는 주로 5~9월에 살아있는 침엽수의 뿌리 근처 줄기 혹은 그루터기에 뭉쳐서 양배추처럼 발생하며 주로 7월에 많이 발견되고 있다(Oh et al., 2009).
버섯은 오래전부터 어떻게 여겨지고 있으며 어떤 효능을 갖는가? , 2010). 또한 오래전부터 불로장수의 약으로 매우 귀한 식품으로 여겨지고 활용되어 왔으며 cholesterol 저하, 항암 및 각종 성인병 등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awade et al., 1984).
꽃송이버섯은 어떤 효능을 갖는가? 꽃송이버섯이 β-glucan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인공재배 및 기능성 물질 추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Oh, 2003). 또한 꽃송이버섯은 β1,3-glucan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해 월등히 높아 항암 효과(Harada et al., 2002), 항종양(Ohno et al., 2000), 항전이(Yamamoto et al., 2009), 항염증(Kim et al., 2012), 항당뇨(Kwon et al., 2009), 혈압조절(Yoshitomi et al., 2011) 및 미백작용(Kawagishi et al., 2007)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특히 sparassol (methyl-2-hydroxy-4-methoxy-6-methyl-benzoate)과 같은 항균성 대사물질(antifungal metabolite)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sparassol은 인간의 질병 치료제와 엽병 (leaf stalk)의 방제용으로 연구되고 있다(Woodward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ach WS. 1937. control of mushroom disease and seed fungi. Penn. Stat coll. Agric. Bull. 351:1-32. 

  2. Doyle O, E Morris and K Clancy. 1991. Trichoderma green mould-Update. Irich. Mush. Rev. 3:13-17. 

  3. Harada T, Miura NN, Adachi Y, Nakajuma M, Yadomae T andn Ohno N. 2002. Effect of SCG, 1,3- $\beta$ -D-glucan from Sparassis crispa on the hematopoietic response in cyclophosphamide induced leukopenic mice. Biol. Pharm. Bull. 25:931-939. 

  4. Healey KW and Harvey JM. 1989.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the mushroom industry. J. Biotechnol. conference. 322-324. 

  5. Hong JS. 1980. Nutrition value and medicine efficacy of mushroom. Food Ind. 53:79-84. 

  6. Kawade M, Sumiya T, Shimura K and Ito H. 1984. Activation of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by antitumor polysaccharide from Agaricus blazei iwade. Med. Biol. 109:299-302. 

  7. Kawagishi H, Hayashi K, Tokuyama S, Hashimoto N, Kimura T and Dombo M. 2007. Novel bioactive compound from the Sparassis crispa mushroom. Biosci. Biotechnol. Biochem. 71: 1804-1806. 

  8. Kim BK, Kwun JY, Park YI and Choi EC. 1992. Antitumor components of the cultured mycelia of Calvatia craniformis. J. Kor. cancer Assoc. 24:57-63. 

  9. Kim HH, Lee S, Singh TS, Choi JK, Shin TY and Kim SH. 2012. Sparassis crispa suppresses mast cell-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Role of calcium,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nuclear factor-KB. Int. J. Mol. Med. 30:344-350. 

  10. Kim SH, Kim HW, Choi OC and Kim BK. 1993. Immunological studies on colluban isolated Collubia confluens. J. Kor. Cancer Assoc. 25:288-298. 

  11. Kim SY, Son MH, Ha JU and Lee SC. 2003.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ried surimi gel containing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J. Kor. Soc. food Sci. Nutr. 32: 855-858. 

  12. Kwon AH, Qiu Z, Hashimoto M, Yamamoto K and kimura T. 2009. Effects of medicinal mushroom (Sparassis crispa) on wound heal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m. J. Surg. 197:503-509. 

  13. Lee SS, Kim SK, Lee TS and Lee MW. 1997.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using the garlic peel as an agricultural byproduct. Kor. J. Mycol. 25:268-275. 

  14. Lim CW, Kang KK, Yoo YB, Kim BH and Bae SH. 2012. Dietary fiber and $\beta$ -glucan contents of Sparassis crispa fruit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Monascus pilosus. J. Kor. Soc. Food. Sci. Nutr. 41(12):1740-1746. 

  15. Oh DS, Park JM, Park H, Ka KH and Chun WJ. 2009.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abitate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Kor. J. Mycol. 37: 33-40. 

  16. Oh DS. 2003. Studies on the optimal cultural media and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Sparassis crispa (wulf.) fr.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7. Ohno N, Miura NN, Nakajima M and Yadomae T. 2000. Antitumor 1,3- $\beta$ glucan from cultured fruit body of Sparassis crispa. Biol. Pharm. Bull. 23:866-872. 

  18. Ospina-Giraldo MD, DJ Royse, X Chen and CP Romaine. 1999.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biological control strains of Trichoderma harzianum and other bio-types of Trichoderma spp. associated with mushroom green mould. Phytopathology. 89:308-313. 

  19. Park WP, Lee SC Bae SM, Kim JM and Lee MJ. 2001. Effect of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0:210-214. 

  20. Ryu J, Lee GJ, Jung GT Na JS and Hwang CJ. 1996. Study on the media development of Pleurotus ostreatus by waste cotton stuff. Kor. J. Mycol. 24:176-179. 

  21. Seaby DA. 1987. Further observations on Trichoderma. Mushroom J. 197:147-151. 

  22. Sinden J and E Hauser. 1953. Nature and control of three mildew diseases of mushrooms in America. Mushroom Sci. 2:177-180. 

  23. Wani BA, Bodha RH, Wani AH. 2010. Ntritional and medicinal importance of mushrooms. J Medicinal Plants Res., 4:2598-2604 

  24. Wells JM, Sapers GM, Felt WF, Butterfield JE, Jones B, Bouzar H and Miller FC. 1996. Postharvest discoloration of the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caused by Pseudomonas tolaasii, P. Reactans and P. gingeri. Phytopathology. 86:1098-1104. 

  25. Woodward S, Sultan HY, Barrett DK and Pearce RB. 1993. Two new antifungal metabolites produced by Sparassis crispa in culture and in decayed trees. J. Gen. Mirobiol. 139:153-159. 

  26. Yamamoto K, Kimura T, Sugitachi A and Matsuura N. 2009. Anti-angiogenic and anti-metastatic effects of $\beta$ -1,3-d-glucan purified from Hanabiratake, Sparassis crispa. Biol. Pharm. Bull. 32:259-263. 

  27. Yoshioka Y, Tabeta RH, Saito N and Fukuoka F. 1985.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P. ostrestus (Fr.) Quel.: Isolation and structure of a-glucan. Carbohydr. Res. 140:92-100. 

  28. Yoshitomi H, Iwaoka E, Kubo M, Shibata M and Gao M. 2011. Beneficial effect of Sparassis crispa on stroke through activation of Akt/eNOS pathway in brain of SHRSP. J. nat. Med. 65:135-1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