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진(茵蔯)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미생물활성 및 total polyphenol함량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 and Artemisia iwayomogi Kitam· Used as Injin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1, 2011년, pp.10 - 16  

서경순 (신흥제약사 연구소) ,  윤경원 (순천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인진으로 쓰이는 사철쑥과 더위지기의 항미생물활성을 검정한 것으로 추출용매에 따른 항미생물활성은 gram양성균 3종과 gram음성균 2종 모두에서 ethylacetate 추출물들이 ether추출물들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실험미생물 중 B. subtilis와 B. cereus에 대한 추출물들의 활성이 다른 실험미생물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났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이 사철쑥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보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최소저해농도는 ethylacetate추출물이 ether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대부분의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더위지기와 사철쑥 부위별로는 잎과 줄기에서 잎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 미생물들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더위지기 추출물들의 최소저해농도가 사철쑥 추출물들보다 낮았다.총 폴리페놀함량은 사철쑥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27.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잎 추출물에서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er and ethylacetate fraction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used as Inji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s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Artemisia iwayomogi for tested microb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Total polyphenol함량 측정은 Folin-Denis의 방법(Joslyn, 1970)을 일부 수정하여 실험하였다. 시료 5 g을 취하여 70% methanol 50 ml로 환류 추출하고, 희석 한 후 Folin 시약 2 ml을 첨가하여 3분 후에 10% Na2SO3 5 ml을 가하고 혼합하여 발색시켰다.
  • 각 건조시료 30 g을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ASE 100, Dionex, USA)에 의한 용매별 분획으로 hexane, ether, ethylacetate, methanol 및 water로 연속추출하여 166 mL 추출물을 얻었다. 각 용매 추출물 중 예비실험을 통하여 항 미생물 활성이 양호하게 나타난 ether와 ethylacetate 분획물을 30 mL로 농축하여 본 실험의 항 미생물활성 실험과 최소저해농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 각 건조시료 30 g을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ASE 100, Dionex, USA)에 의한 용매별 분획으로 hexane, ether, ethylacetate, methanol 및 water로 연속추출하여 166 mL 추출물을 얻었다. 각 용매 추출물 중 예비실험을 통하여 항 미생물 활성이 양호하게 나타난 ether와 ethylacetate 분획물을 30 mL로 농축하여 본 실험의 항 미생물활성 실험과 최소저해농도 측정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진으로 사용되는 사철쑥과 더위지기를 시료로 하여 부위와 추출용매에 따른 항미생물활성,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및 total polyphenol함량을 측정하였다.
  •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한천배지 확산법(disc plat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별 추출물의 고형물 함량을 0.1, 0.25, 0.5, 1.0, 1.5, 2.0 및 3.0 mg/mL이 되도록 조절한 filter paper disc(Toyo seisakusho, 8 mm)에 흡수시킨 후 고체배지를 petri dish에 부어 고르게 펴서 응고시킨 후 전 배양된 시험균액을 0.1 mL씩 접종한 다음 생육적온에서 48시간 배양하여 균주 증식이 되지 않은 농도로 결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배지는 Difco(USA)사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출용매 및 시약은 일급 또는 특급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THUNBERG.)과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KITAMURA)는 생육이 왕성한 7월에 전북농업기술원 약초연구소에서 채취하였고, 두 종 식물의 잎만을 분리한 시료와 시중에서 한약재로 유통되어질 때와 동일하게 잎과 줄기로 이루어진 시료를 각각 음건한 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들어서 100 mesh 체로 걸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람 양성균 3종, 그람 음성균 2종, 효모 1종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생육배지는 세균은 Nutrient broth와 agar, 효모는 YM broth와 agar를 각각 사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람 양성균 3종, 그람 음성균 2종, 효모 1종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생육배지는 세균은 Nutrient broth와 agar, 효모는 YM broth와 agar를 각각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실험은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여 실험결과를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실험군간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였으며 유의성 검정은 Duncan의 다중비교로 처리하였다.

이론/모형

  • 미생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한천배지 확산법(disc plat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별 추출물의 고형물 함량을 0.
  • 사철쑥과 더위지기의 항균활성 검색은 한천배지 확산법(Disc plate method)으로 측정하였다(Kang et al., 199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위지기의 성분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사철쑥 전초의 정유성분은 capillin, capillein, capillone, capillarin등이며(Lee et al., 2002), 더위지기의 성분으로는 정유, 방향족 oxycabonic acid, scopoletine, 배당체인 scopolin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ong et al., 2001).
사철쑥 전초의 정유성분은 무엇인가? , 2002). 사철쑥 전초의 정유성분은 capillin, capillein, capillone, capillarin등이며(Lee et al., 2002), 더위지기의 성분으로는 정유, 방향족 oxycabonic acid, scopoletine, 배당체인 scopolin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ong et al.
사철쑥의 지상부는 무엇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가? 인진은 특히 황달, 간염, 간경화, 간기능 항진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강식품으로 많이 활용되는 것은 더위지기로 사철쑥에 비하여 향이 좋기 때문이다(Park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B.Y. 1992.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 J. Food Hygiene 7:157-160 (in Korean). 

  2. Cho, H.Y., S.Y. Yoon, J.J. Park, K.W. Yun and J.M. Park. 2006.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soluble extract from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Kor. J. Biotechnol. Bioeng. 21:129-132 (in Korean). 

  3. Choi, I.H., Y.H. Kim, D.N. Lee and H.J. Kim. 2005. Antifungal effects of Cinamon Ramulus, Pulsatillae Radix, Dictamni Radicis Cortex, Paeoniae Radix, Arecae Semen, Artemisiae Capillaries Herba against Candida albicans. Kor. J. Oriental Physiol. & Pathol. 19:690-695 (in Korean). 

  4. Choi, S.R., I.O. Ju, D.H. You, Y.E. Song, I. Jang and J. Ryu. 2007.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 J. Medicinal Crop Sci. 15:189-193. 

  5. Choi, S.R., D.H. You, J.Y. Kim, C.B. Park, J. Ryu, D.H. Kim and J.S. Eun.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ii. Kor. J. Med. Crop Sci. 16:112-117 (in Korean). 

  6. Choi, Y.M., B.H. Chung, J.S. Lee and Y.G. Cho.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 J. Crop Sci. 51:209-214. 

  7. Guo, D.-J., H.-L. Cheng, S.-W. Chan and P.H. Yu. 2008.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tonic Chinese medicinal herbs. Inflammopharmacology 16:201-207. 

  8. Joslyn, M. A. 1970. Methods in food analysis. Acad. press. New York. 710-711. 

  9. Kang, S.K., Y.D. Kim and O.J. Choi.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s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27:232-238 (in Korean) 

  10. Kim, S.S., C.K. Lee, S.S. Kang, H.A. Jung and J.S. Choi. 1997. Chlorogenic acid, an antioxidant principle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iwayomogi that acts on 1,1-diphenyl- 2-picrylhydrazyl radical. Arch Pharm Res. 20:148-154. 

  11. Lee, C.K. and J.J. Seo.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J. Kor. Soc. Food Sci. Nutr. 32:1227-1232 (in Korean). 

  12. Lee, H.J., E.H. Hwang, H.H. Yu, I.S. Song, C.M. Kim, M.C. Kim, J.H. Hong, D.S. Kim, S.B. Han, K.J. Kang, E.J. Lee and H.W. Chung. 2002.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J. Kor. Soc. Food Sci. Nutr. 31:361-366 (in Korean). 

  13. Lee, M.K., G.P. Choi, L.H. Ryu, G.Y. Lee, C.Y. Yu and H.Y. Lee. 2004. Enhanced immun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extracts against human cell lines. Kor. J. Medicinal Crop Sci. 12:36-42 (in Korean). 

  14. Lee, S.H., K.M., Kang, H.J. Park and L.M. Baek. 200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for use functional materials in seasoning sauce for pork meat. Kor. J. Food Sci. Technol. 41:100-105 (in Korean). 

  15. Lee, S.J., D.W. Park, H.G. Jang, C.Y. Kim, Y.S. Park, T.C. Kim and B.G. Heo. 2006. The 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pear cut branch extract. Kor. J. Hort. Sci. Technol. 24:338-341. 

  16. Lee, S.M. 1975.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lk medicine. Kor. J. Raw Med. 6:75 (in Korean). 

  17. Lee. Y.C., S.W. Oh and H.D. Hong. 2002.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edible medicinal herbs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4:700-709 (in Korean). 

  18. Mabry, T.J., K.R. Markham and M.B. Tomas. 1970. The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J. of Molecular Structure 10:320. 

  19. Park, J.Y., J.C. Shim, H.K. Kim, S.G. Sun, S.S. Jin, J.C. Kim and J.H. Han. 2002.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n the airway smooth muscle. Kor.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6:322-326 (in Korean). 

  20. Park, Y.J., Y.S.Park, K. Towantakavanit, J.O. Park, Y.M. Kim, K.J. Jung, J.Y. Cho, K.D. Lee and B.G. Heo. 2009. Chemical components an biological activity of Stauntonia hexaphylla. Kor. J. Plant Res. 22:403-411. 

  21. Seo, H.C., M. Suzuki, O.K. Mayumi, M.J. Oh, H.R. Kim, J.H. Kim and T. Nagata. 2003.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Artemisia capillaris herba. Plant Foods Human Nut. 58:1-12. 

  22. Seo, K.S., C.K. Huh and Y.D. Kim. 2008. Changes of biological active components in Prunus mume fruit. Kor. J. Food Preserv. 14:269-270 (in Korean). 

  23. Seo, K.S. and K.W. Yun.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THUNB. and Artemisia iwayomogi KITAM. used as Injin. Kor. J. Plant Res. 21: 292-298 (in Korean). 

  24. Song, Y.E., J.S. Ryu, J.R. Chung, J.S. Kwak, D.H. Kim, B.S. Kim and C.W. Rim. 2001.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Kor. J. Med. Crop Sci. 9:116-123 (in Korean). 

  25. Yang, M.S., Y.L. Ha, S.H. Nam, S.U. Choi and D.S. Jang. 1995. Screening of domestic plant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gric. Chem. Biotech. 38:584-589. 

  26.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Shinil Publusihing. Co., Seoul. p. 285, 3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