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韓國産) 가문비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구과(毬果), 종자(種子) 및 발아특성(發芽特性) 변이(變異)
The Variation of Cone,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arini) Carriere Population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4 no.1, 2011년, pp.69 - 75  

송정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장경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김두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  임효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육성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변이를 조사하였다. 지리산과 덕유산 집단의 25개 개체목에서 구과를 채취하여 13가지 구과 및 종자특성과 3가지 발아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종자의 폭 및 무게, 종자날개지수 및 평균발아일수 특성을 제외한 9개 형질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값은 구과와 종자의 무게, 충실율, TTC, 발아율발아속도 형질들에서 29.7%~57.1% 범위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형질들에서는 10% 내외의 비교적 변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형태적 특성은 지리산집단의 경우 구과 및 종자날개가 작으며 긴 경향을 보인반면 덕유산 집단이 종자가 크고 긴 형태를 나타냈다. 종자충실율과 TTC 활력은 지리산 집단이 덕유산 집단에 비해 각각 1.79배, 1.87배 정도 우수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가문비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조건의 영향을 보면 발아적온은 $20^{\circ}C$였으며, 이때의 평균발아일수는 7.5일, 발아속도는 2.9개/일로 나타났다. 지리산 집단의 경우 평균발아율이 40.7%, 발아속도가 0.90개/일로서 덕유산 집단(17.7%, 0.37개/일)보다 발아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국내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은 종자활력이 한정된 분포에 따른 근친교배 및 특정 개체의 편중개화 현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소멸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cone,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mong populations and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of Picea jezoensis(Siebold & Zuccarini) Carriere distributed in Korea. Cone collected from 25 trees in two natural populations(Mt. Jiri and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의 현지외 유전자원 보존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변이를 구명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문비나무의 주요 분포지는? 가문비나무(P. jezoensis(Siebold & Zuccarini) Carrière) 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Lee, 1990; Krestov and Nakamura, 2002; IUCN, 2010), 수고가 40~50 m이고 지름이 1 m에 달하는 상록교목으로 재질이 무게에 비하여 강할 뿐만 아니라 냄새가 없고 섬유장이 길며 수지의 함량이 적어서 건축재, 기구재, 펄프재 등으로 적합한 조림수종이다(Lee, 1990).
가문비나무의 형질특성에 대한 변이계수 값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5%로 나타났다(Table 4). 특히, 형질특성에 대한 변이계수 값을 살펴보면 종자무게, 구과무게, 충실율 및 TTC 활력 특성들이 36.3%~45.6% 범위로 집단내 개체간 차이가 큰 형질들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특성들은 10.0~16.4%의 비교적 변이가 작은 값을 나타냈다.
가문비나무의 용도는? 가문비나무(P. jezoensis(Siebold & Zuccarini) Carrière) 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Lee, 1990; Krestov and Nakamura, 2002; IUCN, 2010), 수고가 40~50 m이고 지름이 1 m에 달하는 상록교목으로 재질이 무게에 비하여 강할 뿐만 아니라 냄새가 없고 섬유장이 길며 수지의 함량이 적어서 건축재, 기구재, 펄프재 등으로 적합한 조림수종이다(Lee,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izawa, M., H. Yoshimaru, H. Saito, T. Katsuki, T. Kawahara, K. Kitamura, F. Shi and M. Kaji. 2007. Phylogeography of a northeast Asian spruce, Picea jezoensis, inferred from genetic variation observed in organelle DNA markers. Molecular Ecology DOI:10.1111/J.1365-294X. 2007.0339x. 

  2. Baskin, J.M. and C.C. Baskin. 1998. Seeds Ecology, Biogeography Biogeography, and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p. 181-237. 

  3. Choi, C.H., K.J. Cho and W.S. Tak. 2007. Seed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properties according to change of cone production in Pinus densiflora stands. J. of Kor. Forest Society 96(3):317-324 (in Korean). 

  4. Forest Research Institute (FRI). 1994. Forest Tree Seeds and Nursery Practice. Research Library 91. p. 51 (in Korean). 

  5. Fujiwara, T., N. Okada and K. Yamashita. 1999. Comparison of growth response of Abies and Picea species to climate in Mt. Norikura, central Japan. The Japan Wood Res. Soc. 45:92-97. 

  6. Ganatsas, P. and T. Marianthi and C. Thanos. 2008. Seed and cone diversity and seed germination of Pinus pinea in Strofylia Site of the Natura 2000 Network. Biodivers Conserv 17:2427-2439. 

  7. Iijima, H. and M. Shibuya. 2009. Evaluation of suitable conditions for natural regeneration of Picea jezoensis on fallen logs. Journal of Forest Research DOI 10.1007/s 10310-009-0133-9. 

  8.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0.2. (2010.8.4). 

  9. Khan, M.L., P. Bhuyan, U. Shankar, and N.P. Todaria, 1999.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fitness in Mesuaferrea L. in relation to fruit size and seed number per fruit. Acta Oecologia 20:599-606. 

  10. Kobayashi, O., R. Funada, K. Fukazawa and J. Ohtani. 1997. Abrupt growth changes in Norway spruce and Yezo spruce near an industrial district in Hokkaido, Japan. Trees- Structure and Function 11(3):183-189. 

  11. Korea National Aboretum (KNA). 2009.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 Co. Seoul. p. 332 (in Korean). 

  12. Krestov, P.V. and Y. Nakamura, 2002.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Picea jezoensis forests of the Far East. Folia Geobotanica 37(4):441-473. 

  13. Lee, C.B. 1990. Dendrology. Hangmoon Pub. Co., Seoul. p. 331 (in Korean). 

  14. Lee, S.W., B.H. Yang, S.D. Hur, J.J. Lee, J.H. Song and Y. Moriguchi. 2008.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natural populations of Picea jezoensis in South Korea. J. Kor. Forest Soc. 97(2):187-195 (in Korean). 

  15. Moriguchi, Y., K.S. Kang, K.Y. Lee, S.W. Lee and Y.Y. Kim. 2009. Genetic variation of Picea jezoensis populations in South Korea revealed by chloroplast, mitochondrialand nuclear DNA markers. J. Plant Res. 122:153-160 

  16. Nakagawa, M., T. Hirokawa, T. Shima, S. Ogasawara and A. Kurahashi. 2003. Effect of seed source elevation on bud opening of Yezo spruce (Picea jezoensis). J. Forest Res. 8(4):267-270. 

  17. Navarro, L. and J. Guitian. 2003.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survival of two threatened endemic species of the northwest Iberian peninsula. Biological Conservation 109:313-320. 

  18. Park, Y.D., K.S. Chang, G.S. Jin, H. Kim and C.S. Chang. 2010. Cone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Picea jezoensis complex in Eastern Asia. J. of Kor. Forest Society 99(2):235-243. 

  19. Potenko, V.V. 2007. Allozyme vari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Picea jezoensis (Pinaceae) Populations of the Russian Far East. Biochemical Genetics 45(3):291-304. 

  20. SAS Institute Inc. 1996.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12 SAS Institute. USA. 

  21. Scott, S.J., R.A. Jones and W.A. Williams. 1984. Review of data analysis methods for seed germination. Crop Sci. 24:1160-1162. 

  22. Song, J.H., S.D. Hur, K.S. Kang, B.H. Yang and J.J. Lee. 2009. The variation of needle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ere populations in Korea. Kor. J. Plant Res. 22(1):31-36 (in Korean). 

  23. Thomas, L.N., C.P. William and E.M. Andree. 2006. Natural variation in seed characteristics of eastern white pine (Pinus strobus L.). New Forests 32:87-1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