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한 쇠고기의 신선도 평가
Evaluation of Beef Freshness Using Visible-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1 no.1, 2011년, pp.115 - 121  

최창현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부) ,  김종훈 (한국식품연구원) ,  김용주 (LS엠트론(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통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쇠고기 신선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쇠고기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설정된 저장기간에 대하여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쇠고기 시료는 총 216개를 사용하였으며 0-14일의 기간 동안 2일 간격으로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쇠고기의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총균수, pH, VBN, TMA, TBA값을 공인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예측모델은 다중회귀분석 방법과 최적 변수 선택이 가능한 stepwise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예측모델의 선정은 결정계수, 오차, RPD를 이용하였다. 예측모델의 검증은 미지의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결정계수, 오차, RPD는 총균수에서 각각 0.74, 0.64, 2.75 Log CFU/$cm^2$, VBN은 각각 0.73, 1.45, 2.00 mg%, TMA는 각각 0.70, 0.19, 2.58 mg%, TBA값은 각각 0.73, 0.13, 2.77 mg MA/kg로 비교적 안정된 예측성능을 보여 주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예측모델의 검증결과는 결정계수, 오차, RPD가 각각 0.77, 1.94일, 2.53으로 실험 시 저장기간이 2일 간격인 점을 고려할 때, 비교적 높은 정밀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H의 예측성능은 결정계수, 오차, RPD가 각각 0.43, 0.10, 1.10로 다른 신선도 인자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선-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이용하여 쇠고기 신선도의 비파괴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유통현장에서 적용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시료의 확보를 통한 예측모델의 신뢰성 향상과 stepwise방법으로 선정된 파장 영역을 기본으로 하는 부분최소자승법, 인공지능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의 적용을 통한 성능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dels to predict freshness factors (total viable counts (TVC),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rimethylamine (TMA),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and the storage period in beef using a visible and near-infrared (NIR) spectroscopic technique.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현장에서 실시간 쇠고기의 신선도 측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총균수, pH, 단백질의 변패 정도를 나타내는 VBN, 축육의 부패에 의해 생성되는 TMA, 지방 산화도를 나타내는 TBA값, 실험 시 설정한 저장기간에 대한 예측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통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쇠고기 신선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쇠고기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설정된 저장기간에 대하여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쇠고기 시료는 총 216개를 사용하였으며 0-14일의 기간 동안 2일 간격으로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쇠고기의 신선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총균수, pH, VBN, TMA, TBA값을 공인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품질 농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국민소득의 증대와 함께 소비자의 고품질 농축산물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기초 산물의 수확, 가공, 저장뿐만 아니라 유통에 있어서 품질과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Kim et al., 2004).
쇠고기의 신선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쇠고기의 신선도는 물리적 인자, 미생물 인자 그리고 화학적 인자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Byun, 2000). 물리적 인자에는 경도(hardness), 미생물 인자에는 총균수(total viable counts, TVC), 화학적 인자에는 pH, 휘발성염기태 질소(volatile basic nitrogen, VBN), trimethylamine(TMA), thiobarbituric acid(TBA) 값 등이 있다.
쇠고기의 신선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물리적 인자의 단점은 무엇인가? 물리적 인자에는 경도(hardness), 미생물 인자에는 총균수(total viable counts, TVC), 화학적 인자에는 pH, 휘발성염기태 질소(volatile basic nitrogen, VBN), trimethylamine(TMA), thiobarbituric acid(TBA) 값 등이 있다. 그러나 물리적 인자를 측정하는 방법은 시험자의 숙련도에 따라 측정값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미생물 및 화학적인자를 측정하는 방법은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양한 화학 시료를 사용하므로 전문가가 필요하여 유통현장에서 실시간 측정이 어려워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측정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Lee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omar, D., Gallo, C., Castaneda, and M., Fuchslocher, R. (2003) Chemical and discriminant analysis of bovine meat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Meat Sci. 63, 441-450. 

  2. APHA (2001)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3. Bajwa, S. G., Kandaswamy, J., and Apple, J. K. (2009) Spectroscopic evaluation of the nutrient value of ground beef patties. Int. J. Food Eng. 92, 454-460. 

  4. Bong, C. K., Park, S. J., Kim, J. H., Park, S. G., Jeon, J. M., and Hwang, U. H. (2009) Characteristics of odorous pollutants from cooking of meats. Korean J. Soc. Urban Environ. 9, 49-56. 

  5. Byun, J. S. (2000) Determination of physicochemical freshness indices in fresh mea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6. Cho, S. I., Kim, Y. Y., Park, T. S., and Hwang, K. Y. (2004) Development of beef freshness sensor using NIR spectroscopy. J. Biosystem Eng. 29, 539-543. 

  7. Johnson, R. A. and Wichern, D. W. (2007)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6th ed, Prentice Hall, NJ, USA. 

  8. KFDA (2002)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an, Korea. 

  9. Kim, J. M. (1997) Quality evaluation of rice by optical properties. Ph. D. thesis, Sungkyunkwan Univ., Suwon, Korea. 

  10. Kim, K. Y., Lee, G. J., Choi, K. H., Choi, D. S., Son, J. R., Kang, S. W., and Chang, Y. C. (2004) Odor analysis for beef freshness estimation with electronic nose. J. Biosystem Eng. 29, 317-322. 

  11. Kim, Y. B. and Yoo, I. J. (1994) Non-destructive measurement of protein and moisture content of beef by NIR spectroscopy. Food Sci. Technol. 14, 255-257. 

  12. Lee, H. S. (2009) Development of a electronic nose system for evaluation of freshness of meat. Master's thesis, Chungnam Univ., Daejeon, Korea. 

  13. Lee, H. S., Cho, B. K., Chung, C. H., Lee, K. T., and Jo, C. H. (2009)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nose system for evaluation of freshness of pork. J. Biosystem Eng. 34, 462-469. 

  14. Leroy, B., Lambotte, S., Dotreppe, O., Lecocq, H., Istasse, L., and Clinquart, A. (2004) Prediction of technologic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beef Longissimus thoracis from near-infrared reflectance and transmission spectra. Meat Sci. 66, 45-54. 

  15. NVRQS (2010) Processing standards and component specification of livestock products.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Anyang, Korea. 

  16. Prieto, N., Ross, D. W., Navajas, E. A., Nute, G. R., Richardson, R. I., Hyslop, J. J., Simm, G., and Roehe, R. (2009) Online application of visible and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to predict chemical-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f quality. Meat Sci. 83, 96-103. 

  17. Raghavachari, R. (2001) Near-infrared applications in biotechnology. Marcel Dekker, Inc., NY, USA. 

  18. Rosenvold, K., Micklander, E., Hansen, P. W., and Burling- Claridge, R. (2009) Temporal, biochemical and structural factors that influence beef quality measurement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Meat Sci. 83, 379-388. 

  19. Sinelli, N., Limbo, S., Torri, L., Di Egidio, V., and Casiraghi, E. (2010) Evaluation of freshness decay of minced beef stored in high-oxygen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at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NIR and MIR spectroscopy. Meat Sci. 86, 748-752. 

  20. Turner, E. W. (1954) A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Am. Oil Chem. Soc. 8, 326-332. 

  21. Williams, P. C. (1996) Recent advances in near-infrared applications for the agriculture and food industries. Int. Japanese Conference on Near Infrared Spectroscopy, Tsukuba, Japan, 20-21 November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