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민자 주부의 이유식에 대한 지식 및 인지도 조사
A Study on the Knowledge of Immigrant Housewives on Infant Weaning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1, 2011년, pp.17 - 29  

민경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숙대학원 식생활문화) ,  강정민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숙대학원 식생활문화)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숙대학원 식생활문화)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public is already aware, baby foo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 baby'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t is also very important because choice of baby food forms proper eating habits, which will affect health in the future. In particular, recognition of appropriate baby food by the mother or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주부들을 대상으로 이유식에 대한 인식정도와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현황 파악을 하여 적절한 교육을 통해 올바른 이유식에 대한 교육자료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의 특징은? 이러한 영향은 성 인이 된 후 질병과도 관계가 있다(홍 1997). 특히 이 시기의 영유아들은 신진대사가 활발하고 단위체중당 체표면적이 커 서 다량의 영양소 공급이 필요한데 소화기의 구조와 기능이 미숙한 생리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여야 한다(김 2002). 또한 이유식 시기에는 모유 또는 조제분유에만 의존하던 영아가 새로운 여러 가지 식품의 맛 과 질감을 접하게 되는 시기로 이때 적절하고 다양한 이유 식의 선택과 제공은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는데 매우 큰 영 향을 미치게 된다.
영유아란? 영유아는 생후 1개월 이후부터 3세까지의 어린이로 이 시 기에 영양은 신체적인 것은 물론 정신적인 발육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므로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Kikafunda 등 1998; Briley 등 1999; Robert 등 2000). 이러한 영향은 성 인이 된 후 질병과도 관계가 있다(홍 1997).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 로 지속적인 올바른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그러므 로 이유식은 영유아의 성장속도와 신체기능 및 생리적 발달 에 맞추어 적절하게 시작되어야 한다(Lee 등 2005). 영유아는 어른과 달리 자기 스스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 므로 양육을 책임지고 있는 어머니들의 지식 및 태도와 행 동에 영향을 받는다(Kim 2001). 그러므로 어머니를 대상으 로 지속적인 올바른 교육이 필요하다(Lee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원도청. 2008. 결혼이민자 현황. 

  2. 김은경, 남혜원, 박명심, 명춘옥, 이기완 . 2001.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pp 111-155 

  3. 김은경, 남혜원, 박명심, 명춘옥, 이기완 . 2001.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pp 111-155 

  4. 여성가족부. 2005.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모성보호 가이드. pp 43-45 

  5. 정상진. 2005. 우리아기 이유식 제대로 하는 방법. 국민영양지. 28(10):26 

  6. 지영희. 2007.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 정책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20-25 

  7. 홍창의. 1997. 소아과학. 완전 개정판.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 134 

  8. Ahn HS. 1999. Nutritional Intake Levels of Korean Infa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4(2):22-41 

  9. Beauchanp GK, Mennella JA. 1995. Early feeding and the acquisition of flavor preferences. In: Long term donsequense of early feeding. From the 36th Nestle nutrition workshop. Nestle nutrition services, 1995:23-25 

  10. Briley ME, Jastrow S, Vickers J, Roberts-Gray C. 1999. Dietary intake at child care centers and away: are parents and care providers working as parenta or at cross-purposes. JADA 99:950-954 

  11. Fomon, S.J. 1993. Recommendation for feeding normal infants. In nutrition of normal infants. Mosby, St Louis, pp 455-458 

  12. Hwang MA. 2002. A Study of Mothers' Senses on Weaning foods and the Present State over using them. Department of Hom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pp 56-58 

  13. Hwang YJ. 2008. Female Married Immigrants Inflow into Rural Areas and Their Adjustment Experiences. Department of Women's Studies,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4-5 

  14. Jeon JH, Sohn KH, Lee YM. 1993. A study of Weaning Practice and Propositions about processed baby foods -Focused on the Seoul and Kyunggi area-. Korean J. Soc. Food. Sci. Vol. 9(3):61-62 

  15. Kikafunda JK, Walker AF, allan EF, Tumwine JK. 1998. Effect of zinc supplementation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Uganda preschool children: a radomized, controled intervention trial. Am J Clin Nutr. 68:161-166 

  16. Kim KA, Lee ES, Lee YH, Shin SM, Choi KH. 1997.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Women in Taegu toward Weaning Diet for Infants. The Yeungnam Univ. Med. J. 14(2):377-379 

  17. Kim MS. 2001. A Study on the Mothers'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the Infant Weaning diet.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p 40-42 

  18. Kim HJ. 1992. A Descriptive Study on Feeding and a Supply of Supplementary meal for Infant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36-40 

  19. Kim KN, Ko SM, Kwon HJ. 2005. Weaning Practices of Infants and Their Mothers' Reliability on Advertisements of Commercial Weaning Foods in Cheongju Area. J. of Human Ecology Vol. 9(2):143-154 

  20. Kim HJ. 1993. A Study of Mother's senses on marketing weaning foods and the Present stste over using them.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 p 20 

  21. Kim HH, Kim HY(A) 2009. Supplemental Feeding Status Infants at Bundang Area. Bull. Nat. Sci., Yong-In Univ. Vol. 14. No. 1. DEC. pp 2-7 

  22. Kim SS. 2005. A Study on Infant Weaning Practices Based on Maternal Education and In come Lev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7):1000-1007 

  23. Lee JS, Choi KS. 2005. A Survey on Location and Weaning Pratice of Infants and Their Mothers' Attitude on Infant Nutrition in Kang won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4):373-385 

  24. Lee SB. 2003. The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Projects and the Role of Health Ceaters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2):2 

  25. Lee YS. 2002. A Study on Weaning Practice of Infants in Seoul and in Selected Areas of Kyung-gi Province. Graduate School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52-55 

  26. Lim YS. 200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fant's Obesity based on Infant Feeding and Weaning Practic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pp 66-70 

  27. Pang HG, Kim KH, Park JO, Lee SJ. 1987.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Weaning, Journal of the Korean Pediatric Association. 30(3):41-43 

  28. Robert SB, Heyman MB. 2000. Micronutrient shortfalls in young children's diets: common, and owing to inadequate intake both at home and atchild care centers. Nutation Review. 58(1):27-29 

  29. Roncagliolo M, Garrido M, Walter T, Peirano P, Lozoff B. 1998. Evidence of altered central nervous system development in infants with iron deficiency anemia at 6 mo: delayed maturation of auditory brainstorm responses. Am J Clin Nutr. 68:683-690 

  30. Sultan AN, Zuberi RW. 2003. Late weaning: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iron deficiency anaemia at 1-2 years of age. J Ayub Med Coll Abbottabad 15:3-7 

  31. Woo JH. 2001.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behavior developments of infants. Graduate School of Yong-in University. p 22 

  32. Yoon AR. 2007.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Instruction in Weaning Foods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the Instructional Needs of Mothers with Infants. Graduate Schoo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pp 10-15 

  33. Yoon US, Lee JY. 1994. The Study of Supplementary Food in Terms of Weaning. Annual Bulletin of Seoul Health Junior College Vol. 14 (111-122):114-1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