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의적 변비 분류에 의한 정상군과 변비군 여대생의 식사관련 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Constipation Groups by Self-reported Constipa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1, 2011년, pp.23 - 36  

이채린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순경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eline data on dietary management of women's constipation. We estimated the prevalence of self reported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foods & nutrients intake. The subjects were 169 female college students (normal = 92, constipation group = 77) aged 19 to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젊은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변비 유병율과 그와 관련된 식사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변비유무에 따라 정상군과 변비군으로 분류한 후, 건강관련 항목, 배변습관, 식품섭취량 및 영양소섭취량 등을 비교하였고, 조사된 각 항목 간에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젊은 여자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변비의 유병율과 배변습관 등을 조사하여, 정상군과 변비군으로 분류한 후, 건강관련 사항, 식품 섭취량 및 영양소 섭취상태 등을 비교하고, 각 항목 간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변비 유병율을 파악하기 어려운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 변비 유병율은, 관련 연구가 부족하고 실제로 의원이나 병원에서 상담이나 치료를 받는 환자는 극소수에 불과하여(Choi 등 1999) 정확한 유병율을 파악하기 어렵다. 그러나 2006년 만 1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Jun & Lee 2006)에서 스스로 변비가 있다고 한 자의적 변비(self reported constipation) 유병율은 16.
기능성변비에 가장 취약한 대상자로 대학생을 지목한 이유는? 최근까지 알려진 기능성변비(장의 활동이 미약해서 나타나는 변비)의 주된 요인으로는 식사습관과 생활양식 등이 알려져 있는데, 특히 섬유소나 수분 섭취량의 부족, 운동량 부족, 변비치료제 남용 등이 관련성이 높고, 이런 요인들에 가장 취약한 대상자중 하나가 대학생으로 지적되고 있다(Shin & Ly 2003; You 등 2009). 즉, 대학생 시기는 식사나 생활습관들을 중·고등학교 시절에 비해 가장 자유롭고 폭넓게 선택할 수 있으나, 실제로 식생활습관 등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있다(Kim 2009; Kang & Byun 2010). 특히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대생들의 경우는 실제로 불필요한 체중감량 실시로 식사섭취량이 너무 적어서 유발되는 변비가 대부분일 것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젊은 연령층에서는 손쉽게 변비치료제 등을남용하여 변비 증세를 간과하기 쉬우나,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는 결장이나 직장암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Watanabe 등 2004; Shemerovski 2005), 대장암에 의한 사망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Statics Korea 2010) 변비의 원인규명과 예방에 대해 좀 더 다양한 자료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변비가 일상 생활에 미칠 수 있는 영향으로는 어떤 것이 있나? 변비는 흔히 볼 수 있는 위장관증세로 가볍게 여겨지나, 변비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의외로 심각하다. 단순히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는 정도를 지나 정신적인 고통을 주기도 하고(Irvine 등 2002), 잘못된 자가진단이나 약물의 오남용, 부작용 등으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Myung 등 2010). 최근에는 일부환자들의 경우, 만성변비가 몸에 독이 된다고 믿는 잘못된 상식이나,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을 우려하여 자신을 변비 환자로 오인하여 부적절한 치료를 시작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 YJ, Lee JC, Kim MH (2007):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n Diet Assoc 13(4): 311-330 

  2. Byeon YS (2002): The dietary habits and elimination of university woman. J Korean Aca Nurs 14(1): 18-25 

  3. Choi H, Choi MG, Kim SW (1999):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Korean J Gas Troenterol 33: 741-748 

  4. Choi JH, Kim SK (2008):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osteopenia groups by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7): 869-878 

  5. Choi JS, Paik HY (2004): Seasonal variation of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in adults in longevity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4): 668-678 

  6. Choi MG (2005): Evidence based guidelin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 Diagnostic guideline for constipation.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11(3): 44-50 

  7. Cheon LY, Ho KY, Phua KH (2000): Noraml bowl habits and prevalence of functional bowel disorders in Singaporean adultsfindings from a community based study in Bishan. Singapore Med J 41: 255-258 

  8. Cheong SH, Kwon WJ, Ch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7(3): 293-303 

  9. Chung HJ, Park HW, Choi EJ, Lee JJ (2002): A study of the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constipation among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Korean J Community Nutr 7(5): 654-663 

  10. Drossman DA (2006):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process. Gastroenterol 130: 1377-1390 

  11. Hong JY (2004): Diet theraphy for constipation. Industrial Health 195: 54-60 

  12. Irvine EJ, Ferrazzi S, Pare P (2002):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GI disorders; Focus on constipation and resource utilization. Am J Gastroenterol 97: 1986-1993 

  13. Jun DW, Lee OY (2006): A population-based study on bowl habit in a Korean community; Prevalance of functional costipation and self-reported costipation. Korean J Gastroenterol 12: 181-182 

  14. Kang HJ, Byun KW (2010): Effect of two-year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habits of junior college feam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6): 750-759 

  15. Kim SH (2009): A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liquid consum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ngju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Korean J Nutr 42(4): 327-337 

  16. Lee KA, Kim HJ, Yoon HS (2009): Constipation prevalance and lifestyl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Gimhae area. J Korean Diet Assoc 15(4): 419-432 

  17. Lee RD, Nieman DC (2007): Nutritional assessment. McGraw-Hill International ed. 4th ed, New York 

  18. Lim ET, Kim YN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beverage intak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8(6): 856-866 

  19. Lim YJ, Choi YS (2008): Dietary behaviors and seasonal diversity of food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Gyeongbuk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3(5): 620-629 

  20. Myung SJ, Lee TH, Huh CH, Choi SC, Sohn CI (2010): Diagnosis of constipation; a systematic review. Korean J Gastroenterol 55: 316-324 

  21. Na HJ, Kim YN (2000): The prevalence of constipation and dietary fiber intake of 3rd grade high school girls. Korean J Nutr 33(6): 675-683 

  22. ShemerovkiI KA (2005): Constipation-a risk factor for colorectal cancer. Klin Med (Mosk) 83(12): 60-64 

  23. Shin JR, Ly SY (2003): Dietar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s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5): 675-688 

  24. Song YJ, Paik HY (1988): Seasonal variation of dietary intake and quality from 24 hour recall survey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 775-784 

  25. Statics Korea (2010): Cause of death statics, 2009 

  26. Teitelbaum JE, Sinha P, Micale M, Yeung S, Jaeger J (2009): Obesity is related to multiple functional abdominal diseases. J Pediatr 154(3): 444-446 

  27. Thompson WG, Longstrech GF, Drossman DA, Heaton KW, Irvine EJ, Muller-Lissner SA (1999):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45(suppl II): 1143-1147 

  28.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2008 

  2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30. Yang HG (1999): Knowledge of the anus disease. Yangbangwon press, Seoul, p. 193 

  31. You JS, Chin JH, Kim MJ, Chang KJ (2008): College students' dietary behaviors,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by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41(8): 818-831 

  32. You JS, Chin JH, Chang KJ (2009):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42(8): 702-713 

  33. Watanabe T, Nakaya N, Kurashima K, Kuriyama S, Tsubono Y, Tsuji I (2004): Costipation, laxative ues and risk of colorectal cancer : The miyagi cohort study. Eur J Cancer 40(14): 2109-2115 

  34. Wei X, Chen M, Wang J (2001): The epidemiolog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unctional constipation of Guangzhou residents. Zhunghua Nei Ke Za Zhi 40: 517-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