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뇌졸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Influencing Factors in Korea Adults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227 - 6236  

신승옥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노은경 (동강대학교 보건행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뇌졸중 대상자를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동반질환과 건강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4,449명으로 의사로부터 뇌졸중으로 진단 받았다고 인지한 대상자로 인구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동반질환을 분석하였다. 연령, 교육수준, 흡연, 음주는 뇌졸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남녀 모두 동반질환은 당뇨, 심근경색증, 우울이 관련이 있었다. 생애주기별에 따라 교육수준, 고혈압, 심근경색증, 우울이 유의하였으며 특히 19-44세는 과거흡연, 45-64세는 과거흡연, 당뇨, 고지혈증, 65-74세는 과거흡연, 당뇨, 고지혈증, 아토피 피부염이었고, 75세 이상은 당뇨, 고지혈증, 아토피 피부염, 결핵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대상자의 성별 및 생애주기별에 따른 동반질환과 건강행태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및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health behavior and comorbidity based on a community health survey of stroke patients in 2010. The subjects were 4,449 adults over the age of 19 years, who were diagnosed by doctors and completed a community health questionnaire.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확률비례계통추출법으로 1차 표본 지점을 추출한 후 계통추출법으로 2 차 표본 가구를 선정 후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모집단의 건강수준을 추정한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Community Health Survey)의 자료를 토대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건강조사(Community Health Survey)[10]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뇌졸중과 동반질환 및 건강행태를 파악하여 뇌졸중 자가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혈관질환은 무엇인가? 뇌혈관질환은 뇌의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의 혈관 이 혈액을 공급받지 못해 오는 질환으로 2012년 통계청 사망원인 조사에서 뇌혈관질환이 암 다음인 3위로 2012 년 10만 명당 51.1명이었다[1].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동반질환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고혈압, 당뇨와 고지혈증은 동반질환으로 특히 고혈압이 뇌졸중 위험요인으로 가장 관련이 높다[7]. 출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고혈압 이 동반시 6개월 이후 사망에 영향을 미쳤다[8]. 또한 뇌졸중 대상자의 생애주기별 평균 연령대가 높아 대부분 동반질환을 갖고 있디.
성별의 차이에 따라 뇌졸중 발생률은 어떻게 다른가? 성별의 차이로 인한 뇌졸중 발생은 남성이 여성보다 뇌졸중 발생률이 높은것은 건강행태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 평균 수명의 연장 으로 뇌졸중 발병 후 합병증의 비율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2012 Cause of Death Statistics Statistics. 

  2. M. J. Reeves, C. D. Bushnell, G. Howard, J. W. Gargano, P. W. Duncan, G. Lynch, A. Khatiwoda, L. Lisabeth, Sex differences in stroke : epidemiology clinical presentation, medical care,and outcomes", The Lancet Neurology, 7(10), pp. 915-926, 2008. DOI: http://dx.doi.org/10.1016/S1474-4422(08)70193-5 

  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Korean. 

  4. J. H. Im, K. S. Lee, K. Y. Kim, N. S. Hong, S. W. Lee, H. J. Bae, "Follow-up study on mortality in Korea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 54(11), pp.1199-1208, 2011.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11.1199 

  5. Y. Ko, J. H. Park, W. J. Kim, M. H. Yang, O. K. Kwon, C. W. Oh, C. O. Jung, N. J. Paik, M. K. Han, H. J .Bae, "The Long-term incidence of Recurrent Stroke: Single Hospital based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n Neurology Assoc, 27(2), pp.110-115, 2009. 

  6. B. Jung, O. Y. Yoon, K. H. Park, K. Y. Lee, Y. J. Lee, H. T. Kim, S. Hy. Kim, J. H. Kim, M. H. Kim, "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Recurrent Ischemic Stroke: Based on Data of Outpatient Clinic in an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Neurology Assoc, 22(6), pp.598-603, 2004. 

  7. T. H. Park, M. K. Kim, K. B. Lee, J. M. Park, S. J. Lee, K. H. Jung, Y. J. Cho, J. S. Lee, J. Y. Lee, H. J. Bae, "Prevalence of Risk Factors for Ischemic Stroke in Korea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Neurology Assoc, 27(1), pp.19-27, 2009. 

  8. Jimenez.C. P, Lopez. E. F, Portilla. C. J, Ramirez. M. J, Pedrera, Z. J, Casado, N. I, "Charlson Comorbidity Index in Ischemic Stroke and Intracerebral Hemorrhage as Predictor of Mortality and Functional Outcome after 6 Months", the official journal of National Stroke Association, 22(1), pp.1-5, 2013. 

  9. H. S. Nam, M. H. Son, S. S. Kweon, S. Y. Kim, H. C. Park, C. W. Lee, S. J. Sohn, J. A. Rhee, J. S. Cho, "Chronic Diseas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n Urban Elderlies",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4(3), pp.172-190, 2000.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1). 

  11. C. L. Chang, M. G. Marmot, T. M. Farley, N. R. Poulter, "The influence of economic developm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and the risk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J 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55(8), pp. 741-74, 2002. 

  12. Y. J. Kim, C. Y. Kwak,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Findings from the 2005,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Health Promot, 11(3), pp.169-176, 2011. 

  13. Y. J. Cho, "Alcohol and Ri나 of Ischemic Stroke in the Elderly people: A Nested Case-Control Stud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4. 

  14. Daniel. S, Bereczki. D, "Alcohol as a risk factor for hemorrhagic stroke", Ideggyogy Sz, 20;57(7-8), pp.247-256. 2004. 

  15. M. S. Song, Y. S. Byeon, K. S. Lim, J. W. Oak, "A Study on Health Behavior in People at Risk for a Cerebrovascular Accid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7), pp.1091-1097. 2007. 

  16. Towfighi. A, Saver. J, L. Engelhardt, R. Ovbiagele. B, "A midlife stroke surge among women in the United States", Neurology, 69(20) pp.1898-1904, 2007. 

  17. C. I. Lee, Y. j. Son, K. S. Kim, M. S. Kim, J. H. Bae, J, S. Song, "Clinical Study on the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and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Circulation Journal, 15(2), pp.247-253, 1985. 

  18. Stratton, I. M., Adler, A. I., Neil, H. A. W., Matthews, D. R., Manley, S. E., Cull, C. A., Holman, R. R. "Association of glycaemia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UKPDS 35):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mj, 321(7258), pp.405-412. 2000 

  19. E. M. Whyte, B. H. Mulsant, "Post stroke depression :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Biological Psychiatry, 52(3), pp. 253-264, 2002. 

  20. I. J. Kim, N. J. Sue, K. S. Kim, N. O. Joe, H. J. Choi, "Predicting Fa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2(1), pp.147-162, 2000. 

  21. E. J. Kang, "Clustering of Lifestyle Behaviors of Korean Adults Using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7(2), pp. 44-66, 2007 

  22. Kissela BM, Khoury JC, Alwell K, Moomaw CJ, Woo D, Adeoye O, Flaherty ML, Khatri P, Ferioli S, De Los Rios La Rosa F, Broderick JP, Kleindorfer DO, "Age at stroke: temporal trends in stroke incidence in a large, biracial population." Neurology, 23;79(17), pp.1781-1787. 2012. 

  23. I. H. Cha, "Primary prevention of strok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hyperlipi demia",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11(3), pp.362-365, 2001. 

  24. S. Ju, S. H. Cho, N. S. Cho. "Clincal Study of Stroke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Chosun University Medical Institute, 27(2). 2002. 

  25. J. S. Choi, Y. M. Song, J. H. Sung, "Serum total cholesterol and mortality in middle-aged Korean women". Atherosclerosis. 192(2), pp.445-447. 2007. 

  26. Y. E. Kim, "A Cohort study on the risk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6. 

  27. Sheu. J. J, Chiou. H. Y, Kang. J. H, Chen, Y. H, Lin. H. C, "Tuberculosis and the Risk of Ischemic Stroke A 3-Year Follow-Up Study. Stroke", 41(2), pp.244-24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