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요구
Perception of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on Issues and Needs in Child Health Manag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1, 2011년, pp.10 - 21  

김신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이정은 (동남보건대학 응급구조과) ,  양순옥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장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오경숙 (면일어린이집) ,  서원경 (서울중앙청사 어린이집) ,  이승희 (가톨릭상지대학 간호과) ,  김성희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ssues and needs related to child health management as recognized by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teachers from 20 day care centers. Each teacher was interviewed in depth and the data were examined through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육현장에서 일차적으로 아동의 건강관리를 직접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면담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요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시설에서의 아동 건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요구를 파악함으로써 보육시설의 아동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대도시, 중소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서울과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에 소재한 20개의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130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 그러나 보육시설의 최일선에서 아동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보육교사가 아동의 건강관리를 함에 있어 무엇이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는지, 어떠한 개선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를 일차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전반적인 아동 건강관리의 문제점과 개선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체계적인 보육시설 아동의 건강관리 서비스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과 비만에 있어서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영양/비만」에 있어서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큰 문제점으로는‘잘못된 식습관’과 ‘질좋은 영양공급의 어려움’으로 보육시설에서 형성된 식습관은 가정과 연계되기 어려우며, 예산부족 등으로 질좋은 식재료를 사용하지 못하는 시설이 많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보육교사들은 부모를 위한 정기적인 영양교육과 질 좋은 식단준비를 위한 급식 및 간식비 지원 등 국가적인 차원의 관심을 요구하였다.
영유아기 아동을 양육하는 보육 시설은 무엇이 필요한가? 영유아기는 일생 동안 누릴 건강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시기일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에 매우 취약한 시기이기도 하다(Oh, Sim, & Choi, 2008).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을 집단으로 양육하는 보육시설에서는 무엇보다도 아동의 건강관리에 세심한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대다수의 보육시설에 전문적인 건강관리인의 배치가 어려운 상황에서 보육아동의 건강관리는 담당 보육교사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있다(Kim, Ra, Lee, & Choi, 2008).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교사의 질」범주에 있어서는 76% 이상의 보육교사가 교사 대 아동의 비율이 높아 건강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기에 시간의 제한과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교사 대 아동 비율은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정부는 연령대별 교사 대 아동 비율을 고시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아직 이를 준수하지 못하는 시설이 많은 현실에서 보육교사를 도와 줄 보조교사와 건강전문가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Han 등(2007)은 보육교사들이 아동의 건강문제 발생 시 아픈 아동의 건강관리를 상의할 전문가가 없는 점을 가장 어려워한다고 지적하였는데 현실적으로 모든 보육시설에 간호사를 배치하는 것이 어렵다면 선행연구(Kim & Kang, 2005; Kim, 2007)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보건소 방문간호사가 교사의 아동건강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H. S. (2001). Research methods: Media content analysis. Seoul: Communication Books. 

  2. Ball, T. M., Holberg, C. J., Aldous, M. B., Martinez, F. D., & Wright, A. L. (2002). Influences of attendance at day care on the common cold from birth through 13 years of age.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6, 121-126. 

  3. Chung, W. J. (2007). The problem point and improvement plan in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51, 45-64. 

  4. Han, K. J., & Kim, J. S. (2007). Parent's needs for center-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43-50. 

  5. Han, K. J., Kim, J. S., & Choi, M. Y. (2007). Needs of day-care staff for a center- based child care health program I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128-135. 

  6. Kim, E. M. (200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utdoor play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outdoor play in deagu city.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4, 271-286. 

  7. Kim, H. S., Lee, C. Y., Lee, T. W., & Ham, O. K. (2004). Health problems and health behavio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82-190. 

  8. Kim, H. S., Ra, J. S., Lee, H. J., & Choi, E. K. (2008). Health management status of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295-304. 

  9. Kim, I. O., & Kang, R. H. (2005). A survey on the health examination of child 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 308-315. 

  10. Kim, J. S. (2007). Effects of a training program on infection prevention for staff of child 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3, 467-477. 

  11. Kim, J. S., & Han, K. J. (2006). Health problems and health services in child day care cent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2, 25-33. 

  12. Kim, J. S., & Park, G. S. (2005). Predictors of 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among nurse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1, 211-220. 

  13. Kopjar, B., & Wickizer, T. (1996). How safe are day care centers? Day care versus home injuries among children in Norway. Pediatrics, 97, 43-47. 

  14. Lee, E. S., & Kim, C. N. (2003). A study on the occurrences of accidents among children in nursery school and kindergarte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7, 96-112. 

  15. Lee, S. J., & Lee, J. S. (2006). A study on the safety management practice of child-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2, 1-15. 

  16. Lu, N., Samuels, M. E., Shi, L., Baker, S. L., Glover, S. H., & Sanders, J. M. (2004). Child day care risks off common infectious diseases revisited.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0, 361-368. 

  17. Ministry of Governmental Legislation. (2008, June 13). Child welfare law. Retrieved August 7, 2010, from http://law.go.kr/LSW/lsInfoP.do?lsiSeq 105657#0000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a, June 4). 2009 Child abuse status report (Issue Brief No.11-1352000-000025-10).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b, May 24). Statistics on child care programme. Retrieved August 11, 2010, from http://www.e-welfare.go.kr 

  20. Oh, K. S., Sim, M. K., & Choi, E. K. (2008).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practice of teachers concerning health and safety of children in child-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155-162. 

  21. Oh, K. S., Sim, M. K., & Choi, E. K. (2009).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child health and safety for child 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5-14. 

  22. Song, E. S., & Kim, E. G. (2009).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san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4, 846-860. 

  23. Yang, S. O., Kim, S. J., Lee, S. H., Shin, H. R., & Seo, W. K.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strategies for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facility. Seoul: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24. Yu, J. C. (1989). Mass-media research survey. Seoul: Nana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