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i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tal and Home Hospice Pati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3, 2013년, pp.292 - 301  

김복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포항성모병원) ,  박희옥 (계명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tal and home hospic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16 patients from 4 hospice hospitals in D city and P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anuary to April 2012. To measure spiritual well-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2012년 2월부터 서비스표준개발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호스피스 전문간호사가 가정호스피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안녕감과 삶의 질 을 파악하여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안녕감과 삶의 질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각 대상자에게 적합한 호스피스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에게 있어 중요한 간호개념인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였고 특히 호스피스 환자의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는 병동호스피스와 가정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호스피스 환자를 병동과 가정으로 구별하여 환자특성에 따른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각 환자에게 적합한 호스피스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 본 연구는 K도 D시와 P시에 위치한 병동호스피스와 가정호스피스를 동시에 운영하고 있는 4개 의 종합병원에서 치료 중인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와 비교함으로서 호스피스간호 유형에 따른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였다는데 그 연구적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로 그 연구결과를 다른 지역 환자에게 일반화하고 적용하는데 제한점이 있겠고,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통제하지 못한 것에 제한점이 있겠다.
  • 본 연구는 병동호스피스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에게 있어 중요한 간호개념인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였고 특히 호스피스 환자의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는 병동호스피스와 가정호스피스 환자를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호스피스 환자를 병동과 가정으로 구별하여 환자특성에 따른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각 환자에게 적합한 호스피스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안녕과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서 각 환자에게 적합한 호스피스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개 도시에 위치한 4개의 종합병원 대상으로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는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결과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 정도는 3.13점이고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 정도는 3.28점으로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정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나 두 그룹 간 영적 안녕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에서도 병동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 정도는 3.10점이고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 정도는 3.26점으로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삶의 질 정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동 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 모두 교육과 종교형태에따라 영적 안녕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그룹 모두 종교와 통증여부에 따라 삶의 질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는 무엇인가? 호스피스는 말기임종 환자에게 안위로운 환경을 제공하고 이들 가족이 환자의 죽음을 수용하고 사별에 잘 대처할 수 있는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Ro & Kim, 1998). 또한 임종 과정을 정상적인 삶의 일부과정으로 보고 남아 있는 삶의 질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지 죽음을 재촉하거나 연기하지는 않는다(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NHPCO], 2011).
병동호스피스의 단점은? 최근 전국 43개 병원에서 운영 중에 있 으며(National Cancer Center [NCC], 2011), 전국적으로 병동 호스피스 대상자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6,564명으로 전체 말기 암 환자의 9%정도이다(Chung, 2011). 병동호스피스는 기존 시스템의 자원 활용이 용이하고 응급 시 빠른 대처로 의료 인력의 활용이 용이하지만, 별도의 공간과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K. A. (2002). A study on the attitudes and preparation for death among the aged in rural areas.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6, 39-52. 

  2. Bae, S. H., & Park, J. S. (2007). Symptom di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in patients with cancer according to illness and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4), 457-465. 

  3. Byun, H. S., & Kim, G. D. (2012). Impacts of fatigue, pain, anxiety, and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12 (1), 27-34. 

  4. Cho, H. (199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hospice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Choi, S. E., & Kang, E. S. (2009). Effects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2 (4), 209- 219. 

  6. Choi, Y. S. (2011). Hospital-based home hospice care business. In J. Y. Hahn(Ed.),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home hospice and palliative care(pp. 41-44). Seoul: Korean Hospice and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7. Chung, J. H. (2011).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home hospice care in Korea. In J. Y. Hahn (Ed.),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hom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p. 41-44). Seoul: Korean Hospice and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8. Hong, Y. S., Yeom, C. H., & Lee, K. S. (2000). Past, present of hospice in Korea.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3 (2), 113-117. 

  9. Jang, I. S., & Kim, S. M. (2003).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of elderly people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5 (2), 193-204. 

  10. Kang, M. H. (2009). A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and factors affecting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1. Kim, C. N., & Song, M. O. (2003). A study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hospice pati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7 (2), 255-265. 

  12. Kim, H. K. (2006).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family members by the generation and the type of living arrangement. Social Welfare Policy, 27, 55-77. 

  13. Koh, S. J. (2011). Developing standard service for home hospice care. In J. Y. Hahn(Ed.),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hom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p. 47-66). Seoul: Korean Hospice and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14. Lee, T. W., Lee, W. H., & Kim, M. S. (2000). Comparison of the costs of care and nursing services for terminally ill patients receiving home hospice care in comparison to institution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4), 1045-1054. 

  15. Moon, D. H., Lee, M. A., Koh, S. J., Choi, Y. S., Kim, S. H., & Yeom, C. H. (2006). Doctor's attitudes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9 (2), 93-100. 

  16. National Cancer Center. (2011). Defini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trieved October 23, 2012, from http://hospice.cancer.go.kr 

  17. National Hospice and Palliative Care Organization. (2011). Preamble to NHPCO standard of practice & hospice philosophy statement. Retrieved October 23, 2012, from http://www.nhpco.org/i4a/pages/index.cfm?pageid5308 

  18. Oh, P. J. (1997).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9 (2), 189-198. 

  19.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rlman (Eds.), Loneliness: A source 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 224-237). New York: Wiley Interscience. 

  20. Park, J. S. (2005). A correlation study among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1. Park, T., Song, H. H., Ra, J. R., Seo, I. O., Cho, Y. Y., Park, M. H., et al. (2000). Quality of life changes in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ce unit.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3 (1), 18-27. 

  22. Ro, Y. J., & Kim, C. G. (1998). A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the families of hospital hospice patients and those of home-based hospic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3), 773-785. 

  23. Ro, Y. J., Kim, C. G., & Lee, Y. S. (1999).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quality of life reported in Korea from 1987 to 199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 (4), 743-767. 

  24. Statistics Korea. (2010). The causes of death. Retrieved October 23, 2012, from http://www.kostst.go.kr. 

  25. Sun, J. J. (2003). Changes in pain and quality of life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rough hospice home ca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6. Yong, J. S. (2005). Analysis of major complaints, reasons for referring home hospice, and nursing diagnosis of home hospice patients.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9 (1), 8-17. 

  27. Yoo, S. Y. (2001). The effects of hospice care on quality of 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Yoon, M. O. (2004). The effect of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spiritual distress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 54-6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