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HD 위험 아동에 대한 반응성 부모교육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중심축 발달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Responsiv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on Child's Behavioral Problems and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17 no.1, 2011년, pp.39 - 47  

신희선 (단국대학교의료원 환경보건센터.단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미 (백석예술대학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responsive teaching strategies is effective for parenting stress, maternal interactional behavior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Particip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부모중재 프로그램의 목적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부모가 ADHD위험군 아동을 실제 가정에서 예방 및 중재하여 차후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중재프로그램은 Mahoney와 MacDonald (2007)에 의해 개발된 반응성교수(Responsive Teaching, RT)중재 프로그램에 근거하였다.
  • 본 연구는 ADHD 위험 아동에 대한 부모교육 효과를 검증하는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ADHD 성향을 가진 아동 부모 17명에 대한 반응성 교수방법에 의한 부모 중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총점과 하위요인에 있어서 부모중재 교육 후 약간의 감소는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Z=-1.
  • 본 연구에서는 ADHD 발생 위험이 높은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반응성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ADHD 증상에 대해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양육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고 궁극적으로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자 시도하였다(Figure 1)
  • 본 연구에서는 ADHD위험 아동의 부모에 대한 중재가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 증진과 아동의 문제행동 및 중심축 발달행동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 중 특히 지시적 행동과 아동의 중심축 발달행동과 관계가 있음이 증명되었고, 이와 함께 아동의 중심축 발달행동과 문제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의 중심축 발달행동과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중재 전후 아동의 중심축발달행동(KCBRS)과 아동의 문제행동(K-CBCL)점수의 변화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히 아동의 ‘지속성(persistence)’ 중심축행동과 아동의 총 문제행동 증후군 척도(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errin과 Hatton가 말한 아동의 행동문제는 어머니와 어떤 관련이 있다고 하였는가? 즉, 학교에서의 성취저하와 함께 친구, 교사, 그리고 부모와 적절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고 정서적으로 자존감저하를 나타내며 우울, 불안, 그리고 청소년 범죄의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Klassen, Miller, & Fine, 2004). Kendall, Leo, Perrin과 Hatton (2005)은 아동의 행동문제는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은 가족의 갈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ADHD 아동 어머니는 일반 아동에 비해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보이며 강압적 양육행동으로 아동의 행동문제를 악화시키고 이로 인해 가족의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oi, Kim, Cho, Hong, & Oh, 2002; Oh, 2008).
ADHD는 어떤 문제를 야기시키는가? , 2007)로 보고되어 증가추세에 있다.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학교와 가정에서 심각한 학습 문제뿐 아니라 정서 사회적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즉, 학교에서의 성취저하와 함께 친구, 교사, 그리고 부모와 적절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고 정서적으로 자존감저하를 나타내며 우울, 불안, 그리고 청소년 범죄의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Klassen, Miller, & Fine, 2004). Kendall, Leo, Perrin과 Hatton (2005)은 아동의 행동문제는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은 가족의 갈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ADHD 성향을 가진 아동 부모 17명에 대한 반응성 교수방법에 의한 부모 중재를 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ADHD 성향을 가진 아동 부모 17명에 대한 반응성 교수방법에 의한 부모 중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총점과 하위요인에 있어서 부모중재 교육 후 약간의 감소는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Z=-1.00, p=.320). 둘째,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유형에서는 좀 더 반응적이고 효율적인 행동을 나타내어 중재 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아동의 ADHD 성향점수는 유의하게 낮아졌으며(Z=-2.41, p=.016), 아동의 중심축 발달행동도 중재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Z=-2.67, p=.008). 문제행동에서는 내재화 행동문제 중 신체적 증상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Z=-2.05, p=.040). 넷째, 어머니의 상호작용요인 중 특히 지시성 요인은 아동의 중심축 발달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발달행동에서 지속성 변화는 문제행동 감소에 영향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반응성 증진을 위한 부모 중재가 앞으로 ADHD 성향을 가진 아동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nard, K. E., & Kelly, J. F. (1990). Assessment of parent-child interaction. In S. J. Meisels & J. P. Shonkoff (Ed.),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pp. 278-302).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Cho, S. C. (2001). Attention-deficit and hyperactive disorder. Seoul: Seoul University Publishing. 

  3. Cho, S., Kim, B., Kim, J., Rohde, L. A., Hwang, J., Chungh, D., et al. (2009). Full syndrome and subthreshol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 Korean community sample: Comorbidity and temperament findings.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8, 447-457. 

  4. Choi, Y., Kim, J., Cho, S., Hong, S., & Oh, E. (2002). The effect of ADHD child mother's depressive mood,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related attitude on parent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3, 153-162. 

  5. Daley, D. (2006).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 review of the essential facts.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32, 193-204. 

  6. Froehlich, T. E., Lanphear, B. P., Epstein, J. N., Barbaresi, W. J., Katusic, S. K., & Kahn, R. S. (2007). Prevalence,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 national sample of US children. Archives of Pediatric and Adolescence Medicine, 161, 857-864. 

  7. Im, H. J., Ghim, H. R., Sohn, J. W., & Kim, Y. R. (2008). The effect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social skills training and parent training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DHD.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7, 225-239. 

  8. Kang, O. R. (2007). A review on the effects of parent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research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8, 29-49. 

  9. Kendall, J., Leo, M. C., Perrin, N., & Hatton, D. (2005). Modelling ADHD child and family relationship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7, 500-518. 

  10. Kim, J. (2004). The positive effect of maternal responsive interaction on children's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3), 25-41. 

  11. Kim, J., & Mahoney, G. (2009). Parent-child interactive rating scales. Seoul: Pakhaksa. 

  12. Kim, S. S., Ahn, D. H., & Lee, Y. H. (1998). The effects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medication and parent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 683-699. 

  13. Klassen, A. F., Miller, A., & Fine, S. (2004).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a diagnosi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Pediatrics, 114, 541-547. 

  14. Koegel, R. L., Koegel, L. K., & McNerny, E. K. (2001). Pivotal areas in intervention for autism.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 19-32. 

  15. Mahoney, G. (1999). Family/child curriculum: A relationship focused approach to parent education/early intervention. Tallmadge, OH: Family Child Learning Center. 

  16. Mahoney, G., Kim, J., & Lin, C. (2007). The pivotal behavior model of developmental learn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20, 311-325 

  17. Mahoney, G., & MacDonald, J. (2007). Autism and developmental delays in young children. Austin, TX: Pro-ed. 

  18. Oh, K., Ha, E., Lee, H., & Hong, K. (2007). 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HUNO Consulting. 

  19. Oh, W. O. (2008). Factors influencing family quality of lif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4, 396-404. 

  20. Park, J. K., & Oh, K. J. (2004). Effects of parent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disruptive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A comparison of cognitivebehavioral and behavioral parent trainin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829-849. 

  21. Pfiffner, L. J., McBurnett, K. M., Rathouz, P. J., & Judice, S. (2005). Family correlates of oppositional and conduct disorder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3, 551-563. 

  22. Shin, H. S., & Kim, J. M. (2010).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maternal depression,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53-461. 

  23. Shin, M. S., Oh, K. J., & Hong, K. E. (1995). Comparison of the treatment effects between medication only and medication-plus-parent training in ADH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6, 65-73. 

  24. Shin, S., & Chung, M. (1998).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Child Studies, 19, 27-42. 

  25. So, Y. K., Noh, J. S., Kim, Y. S., Ko, S. G., & Koh, Y. J. (200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parent and teacher ADHD rating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 283-289. 

  26. Yoon, S. A. (2007). Literature review: Parent training intervention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3(4), 1-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