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맥 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pical Anesthetic Cream on Pain at Venipuncture in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3, 2014년, pp.142 - 148  

김윤수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박호란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정맥 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사 실험 설계로 반복 측정연구이다.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의 적용시간을 기존 1시간 적용보다 30분 단축한 30분으로 하였고, 대상자를 입원 시의 학령기 아동으로 하여 국소마취크림이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대한 반응을 피부 전기반응, 아동의 자가 보고와 심박동수 측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대한 피부 전기반응의 최대값과 평균값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정맥 천자 시 아동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통증의 생리적 변수 이외에 피부 전도도(SCL)라는 변수를 통증반응의 지표로 측정하였고, 이는 통증의 새로운 지표를 아동의 통증 연구에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아동의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의 적용 시간을 단축하여 향후 간호 실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MLA cream on pain related to venipuncture among children. Methods: In this study, 48 children were evaluated using a sequential measurement for level of pain by Skin Conductance Level (SCL) based on Galvanic Skin Response (GSR), heart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사 실험 설계로 반복 측정연구이다.
  • 통증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표현 방법의 한계, 발달 수준에 따른 사정 도구 사용의 제한 등은 아동의 통증 사정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통증의 자가 측정 방법(시각적 상사 척도, 안면 척도(Wong-Baker faces scale))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생리적 지표를 함께 측정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높인다. 생리적 지표로는 심박동수, 호흡수 등이 있으나, 아동의 통증 측정을 대표하는 특정 생리적 지표는 아직 없는 실정이며(Drendel, Kelly, & Ali, 2011), 피부 전기 반응을 사용하여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을 측정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 본 연구는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사 실험 설계로 반복 측정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이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정맥 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연구시작 전 해당 병원 간호부에 자료수집에 대한 승인을 얻고, 소아청소년과 주치의와 Unit Manager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 연구 대상 기준에 적합한 아동과 그 보호자를 만나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국소마취크림의 약리 작용과 사용방법,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관한 설명을 하였다. 또 GSR의 원리, 컴퓨터 화면에 표현되는 그래프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 후 GSR 센서 부착 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연구자가 직접 부착방법을 시행해보였다.
  • 본 연구는 C대학의 임상시험연구 윤리위원회의 승인(CUM-C10U016)을 받은 후 시행하였다. 연구시작 전 해당 병원 간호부에 자료수집에 대한 승인을 얻고, 소아청소년과 주치의와 Unit Manager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 연구 대상 기준에 적합한 아동과 그 보호자를 만나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국소마취크림의 약리 작용과 사용방법,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관한 설명을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의 적용시간을 30분으로 제한하고, 대상자를 입원 시의 학령기 아동에 국한시켜 국소마취크림이 학령기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정맥 천자 경험이 있는 아동이 실험군은 29.
  • 이에 본 연구자는 학령기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 관리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국소마취크림의 도포가 아동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크림 적용 전과 크림 적용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아동의 통증 정도를 피부 전기 반응, 심박동수라는 생리적 변수로써 측정,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이 제일 두려워하고 급성 통증을 느끼는 경험인 것은? 입원 아동은 치료과정 중 여러 가지 검사 및 치료를 받게 되는데 질병이나 입원의 가장 고통스러운 측면으로 종종 침습적인 처치에 관련된 예기 불안을 표현한다(von Baeyr, Marche, Rocha, & Salmonn, 2004). 그 중 수액요법이나 채혈을 위한 정맥 천자는 간호사에 의해 시행되는 침습적인 처치 중 가장 흔하고 고통스러운 것들 중 하나이며(Rogers & Ostrow, 2004), 아동이 제일 두려워하고 급성 통증을 느끼는 경험이기도 하다(McMurtry, Noel, Chambers, & Chambers, 2011).
아동의 통증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아동의 통증은 관리되지 않을 경우 잠재적으로 신체적, 행동적, 그리고 발달상의 문제를 일으키며(Bush, 1990), 구조적, 기능적 손상을 영구적으로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아동기에 치료되지 않은 통증은 불안, 감각감소, 주사바늘 공포(needle phobia)와 같은 장기간의 후유증을 남긴다. 또한 이런 경험은 이후 아동의 통증 경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Fitzerald & Anad, 1993).
입원 아동에게 고통스러운 측면으로 꼽히는 것은? 입원 아동은 치료과정 중 여러 가지 검사 및 치료를 받게 되는데 질병이나 입원의 가장 고통스러운 측면으로 종종 침습적인 처치에 관련된 예기 불안을 표현한다(von Baeyr, Marche, Rocha, & Salmonn, 2004). 그 중 수액요법이나 채혈을 위한 정맥 천자는 간호사에 의해 시행되는 침습적인 처치 중 가장 흔하고 고통스러운 것들 중 하나이며(Rogers & Ostrow, 2004), 아동이 제일 두려워하고 급성 통증을 느끼는 경험이기도 하다(McMurtry, Noel, Chambers, & Chambers,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and, K. J. S., & Hickey, P. R. (1987). Pain and its effects in the human neonate and fetu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7, 1321- 1329. http://dx.doi.org/10.1056/NEJM198711193172105 

  2. Borland, M. L., Jacobs, I., & Geelhoed, G. (2002) Intranasal fentanyl reduces acute pain in childre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safety and efficacy study. Emergency Medicine, 14(3), 275-280. 

  3. Bush, J. P. (1990). Understanding pediatric pai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T. W. Miller & C. T. Madison (Ed.), Chronic pain: Clinical issues in health care management (pp. 757-786).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 Chung, Y. S., Park, K. W., & Kim, J. S. (2006). Effect of EMLA cream to decrease venipuncture related pain and anxiety in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2), 253-259. 

  5. Davidson, A., & McKenzie, I. (2011). Distress at induction: Prevention and consequences. Current Opinion in Anaesthesiology, 24(3), 301-306. http://dx.doi.org/10.1097/ACO.0b013e3283466b27 

  6. Drendel, A. L., Kelly, B. T., & Ali, S. (2011). Pain assessment for children: Overcoming challenges and optimizing care. Pediatric Emergency Care, 27(8), 773-781. http://dx.doi.org/10.1097/PEC.0b013e31822877f7 

  7. Eichenfield, L. F., Funk, A., Fallon-Friedlander, S., & Cunningham, B. B. (2002). A clinical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LA-Max (4% liposomal lidocaine) as compared with 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tics cream for pain reduction of venipuncture in children. Pediatrics, 109(6), 1093-1099. http://dx.doi.org/10.1542/peds.109.6.1093 

  8. Fitzgerald, M., & Anand, K. J. S. (1993). Developmental neuroanatomy and neurophysiology of pain. In N. L. Schechter, C. B. Berde, & M. Yaster (Ed.), Pain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pp. 11-31). Baltimore: Williams & Wilkins. 

  9. Harrison, D., Boyce, S., Loughnan, P., Dargaville, P., Storm, H., & Johnston, L. (2006). Skin conductance as a measure of pain and stress in hospitalised infants. Early Human Development, 82(9), 603-608. 

  10. Hopkins, C., Buckley, C., & Bush, G. (1988). Pain-free injection in infants. Anaesthesia, 43, 198-201. 

  11. Kim, H. J., Ko, S. B., Hong, S. S., Lee, C. S., & Lee, S. H. (2002). The topical anesthesia with EMLA cream in children.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9(1), 69-75. 

  12. Koo, H. Y. (2003). Uncertainty and anxiety in families of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8(1), 67-76. 

  13. Marco, C. A., Plewa, M. C., Buderer, N., Hymel, G., & Cooper, J. (2006). Self-reported pain scor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Lack of association with vital sign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3(9), 974-979. 

  14. Mathew, P. J., & Mathew, J. L. (2003).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ain in infants.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79(934), 438-443. http:// dx.doi.org/10.1136/pmj.79.934.438 

  15. Merskey, H., & Bogduk, N. (1994). Classification of chronic pain (2nd ed.). IASP Press, Seattle. 

  16. McMurtry, C. M., Noel, M., Chambers, C. T., & McGrath, P. J. (2011). Children' fear during procedural pain: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children' fear scale. Health Psychology, 30(6), 780-788. http://dx.doi. org/10.1037/a0024817 

  17. Pereira-da-Silva, L., Virella, D., Monteiro, I., Gomes, S., Rodrigues, P., Serelha, M., et al. (2012). Skin conductance indices discriminate nociceptive responses to acute stimuli from different heel prick procedures in infants.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Medicine, 25(6), 796-801. http://dx.doi.org/ 10.3109/14767058.2011.587919 

  18. Rogers, T. L., & Ostrow, C. L. (2004). The Use of EMLA cream to decrease venipuncture pain in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9(1), 33- 39. http://dx.doi.org/10.1016/j.pedn.2003.09.005 

  19. Song, J. H., Cho, K. J., Park, E. S., Park, I. S., Kim, M. W., Park, H. R., et al. (2011). Nursing Care of Children (3rd ed.). Hyunmoonsa, Seoul. 

  20. Sung, M. H. (2000). A study on Health/Illness concepts in hospitalized preschooler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6(3), 291-304. 

  21. Taddio, A., Shah, V., Stephens, D., Parvez, E., Hogan, M. E., Kikuta, A., et al. (2011). Effect of liposomal lidocaine and sucrose alone and in combination for venipuncture pain in newborns. Pediatrics, 127(4), e940- 947. http://dx.doi.org/10.1542/peds.2010-2914 

  22. von Baeyer, C. L., Marche, T. A., Rocha, E. M., & Salmonn, K. (2004). Children' memory for pain: Overview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Journal of Pain, 5(5), 241-249. http://dx.doi.org/10.1016/j.jpain.2004. 05.001 

  23. Yoon, Y. H., Roh, Y. I., Kim, E. Y., & Park, S. K. (2004). Pain reduction at venipuncture in preterm infants: Oral glucose solution compared with EMLA cream and pacifier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29(2), 1-7. 

  24. Young, S. S., Schwartz, R., & Sheridan, M. J. (1996). EMLA cream as a topical anesthetic before office phlebotomy in children. Southern Medical Journal, 89(12), 1184-1187. http://dx.doi.org/10.1097/00007611- 199612000-00010 

  25. Zempsky, W. T., Sullivan, J., Paulson, D. M., & Hoath, S. B. (2004). Evaluation of a low-dose lidocaine iontophoresis system for topical anesthesia in adults and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Therapeutics, 26(7), 1110-1119. 

  26. Zempsky, W. T., & Cravero, J. P. (2004). Relief of pain and anxiety in pediatric patients in emergency medical systems. Pediatrics, 114(5), 1348- 1356. http://dx.doi.org/10.1542/peds.2004-17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