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Arm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8 no.2, 2011년, pp.27 - 34  

이문규 (광주 씨티재활병원 재활센터) ,  김종만 (서남대학교 보건학부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observation training on arm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Fourteen chronic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action-observation training. Initially, they were asked to watch video that illustrated arm actions used in daily activities;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에게 일상생활동작을 관찰하도록 요구하였고 이 동작들은 대상자들이 운동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대상자들의 운동 레퍼토리에 이미 들어 있는 동작들이었다. 또한 대상자들은 모두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었으며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을 3개월 이상 받은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동작관찰 훈련의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동작관찰 훈련을 전통적 재활 중재에 포함시키면 추가적인 기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 이는 동작관찰과 실행의 신경 기전이 서로 유사하며 움직임의 처리과정은 여기에 기초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본 연구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 수행한 동작관찰훈련은 대상자들의 운동 레퍼토리(motor repertoire)에 들어 있는 동작을 관찰하고 이를 모방하려는 과정에서 운동시스템을 동원시켰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상지의 기능적 향상을 위한 재활의 프로그램으로써 동작관찰 훈련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 집단의 뇌졸중 환자들을 훈련시켰으며 대조군은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설계의 제한점으로 인해, 동작관찰 훈련의 효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는 없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들에게 일상생활동작을 관찰하도록 요구하였고 이 동작들은 대상자들이 운동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대상자들의 운동 레퍼토리에 이미 들어 있는 동작들이었다. 또한 대상자들은 모두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었으며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포함하는 재활 훈련을 3개월 이상 받은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동작관찰 훈련의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동작관찰 훈련을 전통적 재활 중재에 포함시키면 추가적인 기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 운동상상이 스포츠 분야와 재활분야에 유용한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으나(Page 등, 2001) 아직 체계화되어 있지는 않으며 그 유용성에 대한 검증도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난이도를 체계화한 기능적 동작을 관찰하고 이를 집중적으로 훈련하는 동작관찰 훈련을 진행하여 동작관찰 훈련이 뇌졸중 재활에서 손과 팔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그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작관찰훈련은 어떠한 것에 기초를 두고 있나? 동작관찰훈련은 동작을 관찰하고 관찰한 동작을 모방하여 반복적으로 훈련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거울신경세포 시스템(mirror neuron system; MNS)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Small 등, 2010). 거울신경세포(mirror neuron)란특정한 움직임을 할 때나 다른 개체가 수행하는 움직임을 관찰할 때 활동하는 세포로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Rizzolatti 등, 1996).
거울신경세포란 무엇인가? 이 방법은 거울신경세포 시스템(mirror neuron system; MNS)에 이론적 기초를 두고 있다(Small 등, 2010). 거울신경세포(mirror neuron)란특정한 움직임을 할 때나 다른 개체가 수행하는 움직임을 관찰할 때 활동하는 세포로 원숭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Rizzolatti 등, 1996). 거울신경세포라는 명칭은 동작을 수행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그 동작을 관찰할때에도 활성화되는 거울과 같은 특성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Rizzolatti 등, 1996).
강제움직임유도치료란 무엇인가? 강제움직임유도치료는 뇌졸중 이후 학습된 비사용 증후군을 제거함으로써 상지의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법이다(Wolf 등, 2006). 이러한 반복적이고 집중적인 훈련으로 인해 향상된 기능적 수행능력은 움직임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신경 네트워크의 실질적 변화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Nudo, 2006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종만, 양병일, 이문규.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 조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0;17(2):17-24. 

  2. Bobath B. Adult Hemiplegia; Evaluation and treatment Oxford Butterworth-Heinemann, 1990. 

  3. Buccino G, Binkofski F, Fink GR, et al. Action observation activates premotor and parietal areas in a somatotopic manner: An fMRI study. Eur J Neurosci. 2001;13(2):400-404. 

  4. Buccino G, Lui F, Canessa N, et al. Neural circuits involved in the recognition of actions performed by nonconspecifics: An fmri study. J Cogn Neurosci. 2004a;16(1):114-126. 

  5. Buccino G, Riggio L. The role of the mirror neuron system in motor learning. Kinesiology. 2006:38(1):5-15. 

  6. Buccino G, Solodkin A, Small SL. Functions of the mirror neuron system: Implications for neurorehabilitation. Cogn Behav Neurol. 2006;19(1):55-63. 

  7. Buccino G, Vogt S. Ritzl A, et al. Neural circuits underlying imitation learning of hand actions: An event-related fMRI study. Neuron. 2004b;42(2):323-334. 

  8. Calvo-Merino B, Glaser D, Grezes J, et al. Action observation and acquired motor skills: An fMRI study with expert dancers. Cereb Cortex. 2005;15(8):1243-1249. 

  9. Carr JH, Shepherd RB. Neurological Rehabilitation: Optimizing motor performance, 2nd ed. Oxford Churchill Livingston, 2002. 

  10. Cattaneo L, Rizzolatti G. The mirror neuron system. Arch Neurol. 2009;66(5):557-560. 

  11.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San Diego. CA, Academe Press, Lawrence Erlbaum, 1988. 

  12. de Vries S, Mulder T. Motor imagery and stroke rehabilitation: A critical discussion. J Rehabil Med. 2007;39(1):5-13. 

  13. Dobkin BH. Clinical practic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 Engl J Med. 2005;352(16):1677-1684. 

  14. Dobkin BH. Training and exercise to drive poststroke recovery. Nat Clin Pract Neurol. 2008;4(2):76-85. 

  15. Ertelt D, Small S, Solodkin A, et al. Action obser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habilitation of motor deficits after stroke. NeuroImage. 2007;36:164-173. 

  16. Ewan LM, Kinmond K, Holmes PS. An observation-based intervention for stroke rehabilitation; Experiences of eight individuals effected by stroke. Disabil Rehabil. 2010;32(25):2097-2106. 

  17. Fabbri-Destro M, Rizzolatti G. Mirror neurons and mirror systems in monkeys and humans. Physiology (Bethesda). 2008;23:171-179. 

  18. Garrison KA, Winstein CJ, Aziz-Zadeh L. The minor neuron system: A neural substrate for methods in stroke 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0;24(5):404-412. 

  19. Haslinger B, Erhard P, Altenmuller E, et al. Transmodal sensorimotor networks during action observation in professional pianists. J Cognitive Neurosci. 2005;17(2):282-293. 

  20. Iacoboni M, Dapretto M.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the consequences of its dysfunction. Nat Rev Neurosci. 2006;7(12):942-951. 

  21. Iacoboni M, Woods RP, Brass M, et al. Cortical mechanisms of human imitation. Science. 1999;286(5449):2526-2528. 

  22. Jeannerod M, Neural simulation of action: A unifying mechanism for motor cognition. Neuroimage. 2001;14(1 Pt 2):S103-109. 

  23. Johansson BB. Current trends in stroke rehabilitation: A review with focus on brain plasticity. Acta Neurol Scand. 2011;123(3):147-159. 

  24. Koch G, Versace V, Bonni S, et al. Resonance of cortico-cortical connections of the motor system with the observation of goal directed grasping movements. Neuropsychologia. 2010. 

  25. Lin JH, Hsu MJ, Sheu CF, et al. Psychometric comparisons of 4 measures for assessing upper-extremity function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2009;89(8):840-850. 

  26. Morris DM, Uswatte G, Crago JE, et al. The reliability the wolf motor function test for assess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6):750-755. 

  27. Nudo RJ. Mechanisms for recovery of motor function following cortical damage. Curr Opin Neurobiol. 2006a;16(6):638-644. 

  28. Nudo RJ. Plasticity. NeuroRx. 2006b;3(4):420-427. 

  29. Oujamaa L, Relave I, Froger J, et al. Rehabilitation of arm function after stroke. Literature review. Ann Phys Rehabil Med. 2009;52(3):269-293. 

  30. Page SJ, Levine P, Sisto S, et al. A randomzed efficacy and feasibility study of imagery in acute stroke. Clin Rehabil. 2001;15(3):233-240. 

  31. Perrett DI, Harries MH, Bevan R, et al. Frameworks of analysis for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animate objects and actions. J Exp Biol. 1989;146:87-113. 

  32. Portney L, Watkins M.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2008. 

  33. Rizzolatti G, Craighero L. The mirror-neuron system. Annu Rev Neurosci. 2004;27:169-192. 

  34. Rizzolatti G, Fadiga L. Gallese V, et al. Premotor cortex and the recognition of motor actions. Brain Res Cogn Brain Res. 1996;3(2):131-141. 

  35. Shepherd RB.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functional performance in stroke: Driving neural reorganization? Neural Plast. 2001;8(1-2):121-129. 

  36. Small SL, Buccino G, Solodkin A. The mirror neuron system and treatment of stroke. Dev Psychobiol. 2010. 

  37. Stefan K, Cohen LG, Duque J, et al. Formation of a motor memory by action observation. J Neurosci. 2005;25(41):9339-9346. 

  38. Strafella AP, Paus T. Modulation of cortical excitability during action observation: A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tudy. Neuroreport, 2000;11(10):2289-2292. 

  39. Umilta MA, Kohler E, Gallese V, et al, I know what you are doing: A neurophysiological study. Neuron. 2001;31(1):155-165. 

  40. Voss DE, Ionta MK, Myers BJ.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s and techniques, 3rd ed. Philadelphia, Harper & Row, 1985. 

  41. Wolf SL, Catlin PA, Ellis M, et al. Assessing wolf motor function test as outcome measure for rsearch in patients after stroke, Stroke. 2001;32(7):1635-1639. 

  42. Wolf SL, Lecraw DE, Barton LA, et al. Forced use of hemiplegic upper extremities to reverse the effect of learned nonuse among chronic stroke and head-injured patients. Exp Neurol. 1989;104(2):125-132. 

  43. Wolf SL, Winstein CJ, Miller JP, et al.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3 to 9 months after stroke: The EXCITE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06;296(17):2095-2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